2025. 1. 26. 15:06 시장탐색1
9.수익성지표 자기자본이익률 ROE
'시장탐색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심리투자 빚을내서 투자하지 말라 (0) | 2025.01.27 |
---|---|
10.심리투자 실수를 극복하라 (0) | 2025.01.27 |
8.경기침체 국내시정과 HBM반도체 (0) | 2025.01.25 |
7.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관세 및 환율의 흐름 (0) | 2025.01.23 |
2025. 1. 26. 15:06 시장탐색1
11.심리투자 빚을내서 투자하지 말라 (0) | 2025.01.27 |
---|---|
10.심리투자 실수를 극복하라 (0) | 2025.01.27 |
8.경기침체 국내시정과 HBM반도체 (0) | 2025.01.25 |
7.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관세 및 환율의 흐름 (0) | 2025.01.23 |
2025. 1. 26. 14:09 거래소성장모멘텀주1
풍산실적 (단위: 억원, %, 배 ) 28,024,000
분석일자 | 2025.3.10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3,896억X12.80)÷28,024,000주=177,950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2,660억X12.80)÷28,024,000 주=121,495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79,101원X12.80) ÷3.00=337,498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12,314원 |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 | 2021 | 2022 | 2023 | 2024(E) |
ROE | 15.56 | 9.94 | 8.12 | 12.80 |
매출액순이익률 | 6.94 | 4.01 | 3.79 | 5.71 |
매출액성장률 | 19.75 | -6.00 | 11.37 | |
제무레버리지비율 | 186.77 | 184.30 | 186.20 | 187.70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
2021 | 2022 | 2023 | 2024(E) | |
부채비율(%) | 86.77 | 84.30 | 86.20 | 87.70 |
자기자본비율(%) | 53.54 | 54.26 | 53.71 | 53.28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상.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부채베율은 150%까지는 안정적 기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
5.항공기.우주선.위성체.발사체 사업 성장모멘텀 한국항공우주산업 (0) | 2025.04.18 |
---|---|
4.고부가가치 특수선박 HD현대미포조선 (0) | 2025.04.15 |
4.미국시장 진출 본격화 HD현대중공업 (0) | 2025.04.10 |
3.함정정비MRO사업 한화오션 (0) | 2025.03.15 |
2.AI수혜주 유리기판 선두주자 삼성전기 (0) | 2025.02.23 |
2025. 1. 25. 16:46 시장변동성요인2
2020 | 2021 | 2022 | 2023(E) | |
ROE | 12.14 | 15.45 | 18.24 | 20.18 |
순이익률 | 4.30 | 5.94 | 9.01 | 12.12 |
총자산회전율 | 7.80 | 11,80 | 15,65 | 18.06 |
재무레버리지 | 9.05 | 8.88 | 7.34 | 5.25 |
9.주식투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공매도 제도 (0) | 2025.03.03 |
---|---|
8.트럼프관련수혜주 및 경제동향 (0) | 2025.01.26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 관세및 환율 흐름 (0) | 2025.01.22 |
5.2025년 3월 공매도개선 규제 체계 최종안 (0) | 2025.01.19 |
4.미국시장의 인플레이선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7 |
2025. 1. 25. 08:40 시장탐색1
10.심리투자 실수를 극복하라 (0) | 2025.01.27 |
---|---|
9.수익성지표 자기자본이익률 ROE (0) | 2025.01.26 |
7.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관세 및 환율의 흐름 (0) | 2025.01.23 |
5.복합적 시장변동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떻게 싸울 것인가? (0) | 2025.01.18 |
2025. 1. 24. 18:47 종목창고1
7.휴머노이드 로봇기술개발 뉴로메카 (0) | 2025.02.06 |
---|---|
6.로봇 자동화 솔루션 기업 씨메스 (0) | 2025.02.04 |
5.협동로봇솔루션 선도적전문기업 두산로보틱스 (0) | 2025.02.03 |
4.로봇용 액츄에이터와 ARM 자율주행로봇을 동시에 추구하는 로보티즈 (0) | 2025.02.03 |
1.반도체세정 초순수 수처리 및 인공신장기 개발 시노펙스 (0) | 2024.03.11 |
2025. 1. 23. 22:34 시장탐색1
9.수익성지표 자기자본이익률 ROE (0) | 2025.01.26 |
---|---|
8.경기침체 국내시정과 HBM반도체 (0) | 2025.01.25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관세 및 환율의 흐름 (0) | 2025.01.23 |
5.복합적 시장변동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떻게 싸울 것인가? (0) | 2025.01.18 |
4.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감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8 |
2025. 1. 23. 22:28 시장탐색1
8.경기침체 국내시정과 HBM반도체 (0) | 2025.01.25 |
---|---|
7.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5.복합적 시장변동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떻게 싸울 것인가? (0) | 2025.01.18 |
4.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감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8 |
3.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과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감 (0) | 2025.01.17 |
2025. 1. 23. 22:01 차트연습1
37.일목균형표 저점매수구간 (0) | 2025.01.26 |
---|---|
36.일목균형표와 추정적정목표주가 (0) | 2025.01.26 |
34.일목균형표 일봉상 저점분할매수 고점분할매도 (0) | 2025.01.22 |
33.일목균형표와 추세대의 접목 (0) | 2025.01.22 |
32.일목균형표 일봉상 1차 및 2차 지지선 리스크관리 (0) | 2025.01.20 |
2025. 1. 23. 03:10 신성장산업2
3.의료AI인공지능기업 개요 (0) | 2025.01.30 |
---|---|
8.천연액화가스 LNG 관련주 (0) | 2025.01.27 |
1.AI 인공지능산업 (0) | 2025.01.23 |
14.차세대 우주항공산업 (0) | 2025.01.09 |
13.차세대 컴퓨팅 양자컴퓨터 (0) | 2025.01.09 |
2025. 1. 23. 03:06 신성장산업2
8.천연액화가스 LNG 관련주 (0) | 2025.01.27 |
---|---|
2.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14.차세대 우주항공산업 (0) | 2025.01.09 |
13.차세대 컴퓨팅 양자컴퓨터 (0) | 2025.01.09 |
4.비만치료제 약물지속성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0) | 2024.12.16 |
2025. 1. 22. 22:42 시장변동성요인2
8.트럼프관련수혜주 및 경제동향 (0) | 2025.01.26 |
---|---|
7.투자의본질 수익성지표 ROE 자기자본이익률을 주시하라 (0) | 2025.01.25 |
5.2025년 3월 공매도개선 규제 체계 최종안 (0) | 2025.01.19 |
4.미국시장의 인플레이선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7 |
3.한국은행기준금리 연.3.00% 동결과 미국시장의 인플레이선 효과 (0) | 2025.01.16 |
2025. 1. 22. 19:26 차트연습1
36.일목균형표와 추정적정목표주가 (0) | 2025.01.26 |
---|---|
35.일목균형표와 피보나치 조정대 (0) | 2025.01.23 |
33.일목균형표와 추세대의 접목 (0) | 2025.01.22 |
32.일목균형표 일봉상 1차 및 2차 지지선 리스크관리 (0) | 2025.01.20 |
31.일목균형표 일봉상 대세상승의 기준선 (0) | 2025.01.19 |
2025. 1. 22. 02:42 차트연습1
35.일목균형표와 피보나치 조정대 (0) | 2025.01.23 |
---|---|
34.일목균형표 일봉상 저점분할매수 고점분할매도 (0) | 2025.01.22 |
32.일목균형표 일봉상 1차 및 2차 지지선 리스크관리 (0) | 2025.01.20 |
31.일목균형표 일봉상 대세상승의 기준선 (0) | 2025.01.19 |
30.일목균형표 추세적 대응방법 (0) | 2025.01.19 |
2025. 1. 20. 13:39 거래소실적성장주1
경동나비엔(단위: 억원, %, 배 ) 14,569,000 주
분석일자 | 2025.3.10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585억X17.70)÷14,569,000주=192,562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344억X17.70)÷14,569,000 주=163,283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56,763원X17.70) ÷2.75=365,347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40,397원 |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 | 2022 | 2023 | 2024 | 2025(E) |
ROE | 11.07 | 15.09 | 16.99 | 17.70 |
매출액순이익률 | 4.62 | 6.90 | 7.51 | 8.47 |
매출액성장률 | 4.10 | 3.60 | 13.74 | 14.68 |
제무레버리지비율 | 196.64 | 181.42 | 195.40 | 175.21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
2022 | 2023 | 2024 | 2025(E) | |
부채비율(%) | 96.64 | 81.42 | 95.40 | 75.21 |
자기자본비율(%) | 50.85 | 55.12 | 57.04 | 58.30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매우 안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자기자본비율은 70%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그 이상 넘어가면 기업의 안정성은 더욱 커질 수 있으나 성장성이 둔화될 수 있다. 부채비율=(부채총액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 ÷자산총계 |
12.북미시장 노후전력망 전력기기시장 호황 수혜주 효성중공업 (0) | 2025.04.17 |
---|---|
11.게임개발 및 퍼블리싱 크래프톤 (0) | 2025.03.29 |
9.방산및 레일솔루션 실적성장세 현대로템 (0) | 2025.01.19 |
8.선박생애주기전반 애프터서비스솔루션 기업 HD현대마린솔루션 (0) | 2025.01.18 |
7.초고압변압기 고성장 LS ELECTRIC (0) | 2025.01.16 |
2025. 1. 20. 13:10 차트연습1
34.일목균형표 일봉상 저점분할매수 고점분할매도 (0) | 2025.01.22 |
---|---|
33.일목균형표와 추세대의 접목 (0) | 2025.01.22 |
31.일목균형표 일봉상 대세상승의 기준선 (0) | 2025.01.19 |
30.일목균형표 추세적 대응방법 (0) | 2025.01.19 |
29.일목균형표에 세력선 활용 (0) | 2025.01.17 |
2025. 1. 19. 21:09 거래소실적성장주1
현대로템실적 (단위: 억원, %, 배 ) 109,142,000 주
분석일자 | 2025.4.17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7,928억X27.21)÷109,142,000주=197,652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6,417억X27.21)÷109,142,000 주=159,981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24,700원X27.21) ÷2.75=244,395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00,676원 |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 | 2022 | 2023 | 2024 | 2025(E) |
ROE | 14.06 | 10.06 | 21.85 | 27.25 |
매출액순이익률 | 6.15 | 4.37 | 9.26 | 11.47 |
매출액성장률 | 11.81 | 18.03 | 21.75 | |
제무레버리지비율 | 323.45 | 318.25 | 263.17 | 243.68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
÷
2022 | 2023 | 2024 | 2025(E) | |
부채비율(%) | 223.43 | 218.25 | 163.07 | 143.68 |
자기자본비율(%) | 30.92 | 31.42 | 38.01 | 41.04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이상을양호한 기준으로 하고 있다.그러나 부채비율은 150%까지는 안정적을 평가할 수 있다. 부채비율=(자본총계x100)÷부채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
11.게임개발 및 퍼블리싱 크래프톤 (0) | 2025.03.29 |
---|---|
10.사계절사업다변화 실적성장세 경동나비엔 (0) | 2025.01.20 |
8.선박생애주기전반 애프터서비스솔루션 기업 HD현대마린솔루션 (0) | 2025.01.18 |
7.초고압변압기 고성장 LS ELECTRIC (0) | 2025.01.16 |
6.맟춤형수주 실적호전 산일전기 (0) | 2025.01.13 |
2025. 1. 19. 20:37 차트연습1
33.일목균형표와 추세대의 접목 (0) | 2025.01.22 |
---|---|
32.일목균형표 일봉상 1차 및 2차 지지선 리스크관리 (0) | 2025.01.20 |
30.일목균형표 추세적 대응방법 (0) | 2025.01.19 |
29.일목균형표에 세력선 활용 (0) | 2025.01.17 |
28.일목균형표와 볼린저밴드세력선2 (0) | 2025.01.14 |
2025. 1. 19. 13:39 차트연습1
32.일목균형표 일봉상 1차 및 2차 지지선 리스크관리 (0) | 2025.01.20 |
---|---|
31.일목균형표 일봉상 대세상승의 기준선 (0) | 2025.01.19 |
29.일목균형표에 세력선 활용 (0) | 2025.01.17 |
28.일목균형표와 볼린저밴드세력선2 (0) | 2025.01.14 |
27.차트의 탐색 선행스팬 구름층공간 상승추세 전환 (0) | 2025.01.09 |
2025. 1. 19. 13:29 시장변동성요인2
7.투자의본질 수익성지표 ROE 자기자본이익률을 주시하라 (0) | 2025.01.25 |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 관세및 환율 흐름 (0) | 2025.01.22 |
4.미국시장의 인플레이선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7 |
3.한국은행기준금리 연.3.00% 동결과 미국시장의 인플레이선 효과 (0) | 2025.01.16 |
2.미국의 금리정책과 한국금리의 영향 (0) | 2025.01.16 |
2025. 1. 18. 17:26 시장탐색1
7.AI데이터센터와 전기에너지 (0) | 2025.01.23 |
---|---|
6.한국경제지표와 미국관세 및 환율의 흐름 (0) | 2025.01.23 |
4.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감과 긴축금융정책 (0) | 2025.01.18 |
3.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과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감 (0) | 2025.01.17 |
2.미국의 금리정책과 한국금리의 영향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