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글 목록

반응형
신성장산업1
반응형
반응형

 

 

 

 

●순항하는 엔비디아 실적향상세 

 

 

 

 

 

 

 

 

 

 

 

엔비디아는 2024 회계연도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14% 증가한 1305억달러를 기록했다.순이익은 220억 9000만달러로 이는 전년동기 112억 9000만달러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매출이 견인한 것은 데이터센터 사업부이다. 엔비디아의 4분기 데이터센터 매출은 356억달러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93%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블룸버그 통신이 취합한 시장 예상치 340억 9000만달러보다 높은 수준이었다.엔비디아는 2025년도 1분기 실적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엔비디아는 1분기 매출이 430억달러로 LSEG 추정치 417억 8000만달러를 크게 웃돌 것이라고 밝혔다.특히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인 블랙웰 매출이 2024년도 4분기에만 110억달러 발생했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는 성명에서 블랙웰에 대한 수요가 놀랍다 라고 말했고 콜레트 크레스 재무책임자 CFO는 회사가 역사상 가장 빠른 제품 출시 속도라고 말했다. 그는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블랙웰을 사들이고 있다고 말했다.투자자들에게 이전까지 엔비디아의 칩이 주로 AI를 개발하거나 학습시키는 데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새로운 블랙웰과 같은 칩은 AI 소프트웨어를 실행추론하는 데 더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크레스 CFO는 또 딥시크의 R1과 같은 효율적인 모델이 나타나며 엔비디아 GPU 수요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생각하고 추론하는 AI는 한 번의 추론에 비해 작업당 100배 더 많은 컴퓨팅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젠슨황 CEO 역시 오늘날 우리의 컴퓨팅 대부분은 추론이다 라며 차세대 AI 알고리즘은 현재 컴퓨터 용량의 수백만배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강력한 실적을 뽐낸 엔비디아이지만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큰 것은 갈수록 둔화되는 성장세다. 78% 성장이라는 것이 낮은 것은 아니지만 이는 최근 7개 분기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이번 분기 매출 가이던스 역시 전년 동기 대비 65% 성장하는 셈인데 이는 직전 분기와 비교해 13%포인트나 내려앉게 될 것이란 셈이다.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매출총이익률 역시 소폭 하락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엔비디아의 4분기 조정 매출총이익율마진은 73.5%로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다. 엔비디아는 1분기 조정 매출총이익률은 71%로 예상했는데 이는 시장의 예상치에는 기대에 못 미치는 수치다. 한때 엔비디아의 매출총이익률은 78%에 달했지만 서서히 줄어드는 모양새다.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엔비디아가 더 복잡하고 어려운 제품을 설계하면서 매출 원가가 늘어나고 이익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크레스 CFO는 현재 매출총이익율이 70% 초반이지만 블랙웰 생산라인이 완전 가동되면서 연말까지 70% 중반까지 회복될 것이라고 밝혔다.황 CEO는 블랙웰 양산 과정에서 발생했던 기술적 문제들이 해결되면서 차기 신제품 출시가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블랙웰 차기 신제품인 블랙웰 울트라는 올해 하반기 출시될 것이란 예정도 밝혔다.

 

 

 

 

 

 

 

 

 

 

그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신제품 출시는 어렵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일부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집중된 수익구조 역시 엔비디아의 차기 과제로 꼽히고 있다. 현재 데이터센터 부문은 엔비디아 전체 매출의 9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1년 전 84%과 2023년 60%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지난 2년 동안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은 약 10배 성장했다. 성능 좋은 AI반도체를 선점해 AI 컴퓨팅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려는 빅테크들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한편에는 이처럼 거액 투자가 가능한 일부 고객에 대한 의존도가 향후 엔비디아에 부메랑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엔비디아 역시 이를 모르는 것은 아니다. 크레스 CFO는 빅테크 고객과 일반 기업 고객의 성장률이 거의 동일하며 두 부문 모두 매우 잘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장기적으로 일반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훨씬 더 크게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를 위한 차기 성장동력을 찾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당장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25년 1분기에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사업부 매출에는 네트워킹 부문에서 발생한 30억달러의 매출도 포함됐다. 이 네트워킹 부품들은 수십만 개의 GPU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다만 엔비디아가 네트워킹 부문을 차기 성장동력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9% 감소했다.한때 회사의 주요 매출처였던 게임 및 AI 개인용 컴퓨터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1% 감소한 25억달러의 매출을 올랐다. 스트리트어카운트의 30억 4000만달러 예상을 밑돌았다.아직 규모는 작지만 놀랄만한 성장률을 보여주는 사업부문도 있다. 엔비디아는 이날 4분기 자동차·로봇용 반도체 매출이 5억 7000만달러라고 밝혔는데 이는 전년대비 103% 증가한 수치다.점점 강화되는 미국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도 엔비디아에게는 고민거리다. 전날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반도체 제재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며 그 중 하나로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대중 수출을 제한하는 것을 꼽았다. 현재도 엔비디아는 강력한 대중 규제에 따라 일부 성능이 제한된 반도체만 판매하고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당국의 허가 없이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엔비디아 반도체의 수량과 유형을 더욱 제한할 것으로 알려졌다.젠슨황 CEO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가 엔비디아 매출에 미친 영향에 대해 4분기 중국 매출이 직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무역 규제가 시행되기 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반도체용 패키지 유리기판 

 

 

 

 

 

 

 

 

 

메모리 반도체를 이을 차세대 기술로 유리기판이 부상하고 있다. 기판이란 CPU. GPU. 메모리 등 반도체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핵심 부품이다. 반도체 간 데이터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도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반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 역할도 수행한다.기존 반도체 패키징에서는 탄소를 기반으로 한 플라스틱 계열 소재 유기기판이 사용됐다. 유기기판은 오랜 기간 반도체 패키징의 기본 소재로 활용됐지만 최근 고성능 반도체 사용이 늘면서 유기기판의 치명적인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우선 데이터 전송 시 신호가 약해지고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또 GPU를 구동할 때 발생하는 열 때문에 기판이 물리적으로 변형되고 반도체 간 연결이 쉽게 끊긴다. 더 나아가 최신 반도체는 굵기가 2㎛ 이하인 초미세 배선으로 연결되는데 유기기판에는 이렇게 가느다란 배선을 새기기가 어렵다. 반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커 AI 구동 과정에 수백W 전력이 소모된다는 점도 문제다. 이에 따라 현재는 실리콘기판이 유기기판의 대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 기판은 열에 의한 변형이 유기 기판보다 적고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도 덜 발생하며 초미세 배선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실리콘 기판은 크기를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고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차세대 유리 기판은 실리콘 기판의 한계마저 극복할 수 있다. 유기기판 대비 전력 소모는 30%나 적고 데이터 처리 속도는 40% 빠르다. 기존 유기기판이 데이터가 이동하는 국도였다면 유리기판은 고속도로에 비유할 수 있다. 유리라는 소재의 특성상 열에 의한 휨 현상이 매우 적은 것도 장점이다. 다만 유리 기판은 아직 양산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 공정 과정에서 깨지기 쉽고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공정을 최적화해야 한다는 여러 기술적 도전이 남아 있다.현재 삼성전기.SKC .LG이노텍 등이 유리기판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유리 기판의 시장 규모와 수익성은 반도체에 비해 크지 않다. 하지만 유리 기판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유리 기판은 단순히 반도체를 연결하는 부품이 아니라, 반도체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기술이기 때문이다.따라서 한국 기업들이 유리기판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과 첨단 소재 가공 능력을 접목해 유리기판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유리기판 개발을 발판으로 신경망처리장치 NPU. 전력 반도체 등 시스템 반도체 개발 기회도 잡을 수도 있다. 유리기판 시장에서 선두적인 기술을 확보한다면 한국 기업들은 AI 시대 거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AI 반도체의 등장과 함께 반도체용 패키지 기판으로 유리기판이 떠오르고 있다. 기존 반도체 패키징에 주로 사용되던 플라스틱 기판 및 실리콘 기판은 고성능 반도체의 열 발산 문제와 미세 회로 구현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유리 기판은 높은 열전도율과 우수한 평탄도를 바탕으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반도체 패키지 기판은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유리기판은 반도체 시장의 미래기술 칩렛(Chiplet) 패키징  적용에도 가장 적합한 기술로 꼽히고 있다.칩렛은 하나의 칩에 서로 다른 종류.다양한 기능의 칩을 자유롭게 붙이는 기술이다.이는 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고성능 칩을 구현할 수 있다.유리기판은 플라스틱기판의 유기 소재 대신  유리를 채용하는 것이다.유기 소재보다 더 딱딱해 세밀한 회로 형성이 가능하고  열과 휘어짐에 강해 대 면적화에 수월하다. 동시에 더 얇게 채용할 수도 있다.전기신호 손실과 신호 속도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으며 전력 소비도 우수해  꿈의 기판으로 불린다.중간기판 없이 MLCC 등 수동 소자를 유리에 내장시켜 제한된 표면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유리기판을 채용할 경우 실질적으로 반도체 미세공정을 두 세대 이상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유리기판은 이미 20년 가까이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상용화되지 못했다. 유리의 특성상 외부의 강한 충격이나 누적압력에 취약해 제조시 수율을 높이기 어렵고  판매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 내구성 측면에서도 약점이 있다.오버 스펙으로 분류됐던 유리기판이 주목받는 이유는 AI의 급격한 확산이 불러일으켰다.향후 AI의 데이터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디스플레이는 유리기판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연합전선을 구축하고  공동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삼성전기가 유리기판의 연구개발 및 양산을 담당하고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기판의 결합.삼성디스플레이는 유리공정 관련 역할을 각각 맡을 전망이다. 삼성전기는 유리기판 경쟁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연내 세종 파일럿 라인 가동을 시작으로 2025년 시제품 생산을 출시하고2026년에는 본격 양산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HBM 고대역폭매모리 어드밴스트패키징 모듈 외관검사장비 시장에 진입한 인텍플러스는 차세대 반도체 기판으로 각광받는 유리기판 검사장비 개발에도 착수했다.반도체용 유리 기판 시장이 개화하면서 공급망을 책임질 소재·부품·장비의 소부장 업체의 행보도 빨라졌다. 유리 기판은 기존 플라스틱 기판과 구조적 특징과 물성이 상이한 만큼 새로운 소부장·기술이 요구된다. 주요 유리기판 제조업체와 소부장 기업 간 합종연횡도 예상된다.필옵틱는 유리 기판 핵심 기술인 글래스관통전극(TGV)과 절단 장비를 개발했다. TGV는 유리 기판에 미세한 전극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유리는 플라스틱과 견줘 깨지기 쉽다는 특성이 있어 미세한 구멍(비아홀) 가공이 어렵다. 유리기판 구현의 기술 난제로 꼽힌다.필옵틱스 TGV 장비는 레이저 기반으로 유리 기판에 초미세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레이저 기술을 활용, 구멍 가공 속도가 기존 장비 대비 48배 빠르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공정 생산성이 개선되는 만큼 장비 활용 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필옵틱스는 레이저 TGV 장비에 이어 유리 기판 절단 장비도 확보했다. 디스플레이 유리 원장을 레이저로 가공하는 원천 기술을 접목, 기판을 개별 칩으로 자를 수 있다. 유리 기판용 절단 장비의 첫 국산화 사례로 알려졌다. 전자용 부품·화학 소재 업체인 켐트로닉는 레이저와 식각을 결합해 유리를 가공 기판에 미세 구멍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플라스틱 유기 재료는 외부 자극에 쉽게 손상돼 미세 구멍 공정에 식각 공정을 적용할 수 없었지만 유리를 사용하면서 식각이 가능해졌다.하나기술은 이차전지 장비사지만 유리 기판 시장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았다.하나기술은 초박형강화유리(UTG) 가공 장비를 개발했다. 기존 레이저 커팅 방식이 아니라 열면취 기술로 유리를 박리한다. 독성물질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 없이 유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이외에도 비상장기업 태양광 설비 업체인 에스이에이(SEA)도 반도체 유리 기판용 장비를 출시했다. 지난 2019년 유리 기판 패키징 습식 장비 연구개발(R&D)에 80억원 이상을 투자, 최근 앱솔릭스의 미국 조지아 공장에 제품을 공급했다.에스이에이는 반도체 부문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 중인데, 해당 장비를 앞세워 성장성이 높은 유리 기판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7년 매출 2000억원을 달성하는 게 회사 목표다.따라서 반도체 트렌트에서 이 유리기판 관련기업을 관심종목에 편성하고 정밀한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겠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CXL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양이 급증하자 메모리를 확장하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CXL이 주목받고 있다.CXL은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의 약자이다.CXL은 2019년 등장한 개념으로 메모리 채널과 다른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고속 인터페이스를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다양한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한 기술이다. 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메모리.저장장치 등을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 CPU 1위 회사 인텔이 CXL을 제안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시스코.델. 메타.구글.HPE.화웨이 등과 CXL 컨소시엄을 설립했다. 현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오라클.마이크론.엔비디아 등도 합류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업체 중 유일한 CXL 컨소시엄 이사회 멤버로 선정돼 CXL 기술의 고도화 및 표준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2023년부터 CXL이 급부상하였다.이는 인공지능AI 산업이 급격하게 확대되었기 때문이다.AI는 방대한 데이터의 학습 및 추론을 무한 반복한다. 챗GPT 등 킬러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AI 활용도가 대폭 늘어 기존 인터페이스 규격 PCIe 로는 한계가 있었다. CPU와 그래픽처리장치 GPU에 연결할 수 있는 메모리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CXL은 이론상 D램 등을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게 한다.CXL은 기존 D램과 공존하며 시스템 내 대역폭과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기존 서버에서 사용하던 D램은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CXL은 용량을 확장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CXL은 두뇌 격인 중앙처리장치 CPU와 메모리 반도체를 연결하는 수단이다.기존에는 CPU가 지원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따라 DDR4.DDR5 등 특정한 규격에 맞는 반도체만 사용할 수 있는데 CXL을 사용하면 종류.용량.성능과 관계없이 어떤 메모리든 탑재할 수 있게 된다.고용량 CXL D램을 연결하면 메인 D램과 더불어 서버 한 대당 메모리 용량을 8내지 10배 이상 늘릴 수 있다.일반적으로 메모리.스토리지 저장장치.가속기.네트워크 등이 CPU와 소통하는 언어가 다르다 보니 CXL 기술은 개발과 양산 난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XL 기반 D램 보급이 활발해지려면 호환 가능한 CPU가 필수적이다.

 

 

 

 

 

 

 

 

CXL 2.0에서는 메모리 풀링이 핵심적인 개념이다. 서버 플랫폼에서 여러 개의 CXL 메모리를 묶어 풀(Pool)을 만들고 여러 호스트가 풀에서 메모리를 필요한 만큼 나눠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CXL 메모리의 전 용량을 유휴 영역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삼성전자는2023년말 기업용 리눅스 운영체제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에 CXL 메모리를 최적화하고 동작 검증을 완료했다. 이에 데이터센터 고객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손쉽게 삼성전자의 CXL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SK하이닉스의 경우 CXL 2.0 메모리 확장 솔루션 . CXL 풀드 메모리 솔루션. CMS2.0 등을 내세워 CXL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2026년에 등장할 CXL3.0은 하나의 서버와 다른 외부의 서버들을 자유롭게 연결하여 광범위한 데이터 호환시스템을 이루어 나갈 것으로 예상돠고 있다.시장조사업체 욜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CXL 시장은 오는 2028년 150억달러 약 20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여기서 우리는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점이 있다.CXL메모리는 CXL 컨소시움이 함께 기술력을 이끌어나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표준화된 기술 셋업이 완료되어야 그 실효성이 나올 수 있다.메모리 업체들이 먼저 앞서 나가고 있지만 로직 업체들이 주도하는 컨소시움에서 CXL 관련 버전 CPU를 출시주어야 비로서 메모리업체들이 납품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인텔이 CXL 2.0 탑재가 가능한 CPU 출시가 늦어지기 때문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CXL2.0 메모리를 개발해 놓고도 상용화를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였다.또한 향후 CXL의 진정한 개화기는  CXL2.0 메모리를 넘어서서 역시 완벽한 메모리 호환체제가 자유롭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CXL 3.0 기술력이 완성되고 탑재가 가능한 CPU도 출시해야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넥스트 HBM으로 꼽히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CXL메모리 양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3월말 양산에 돌입하고 삼성전자는 전파인증 절차를 거치며 양산 준비를 사실상 마무리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속에 CXL 메모리의 시장 선점을 노리던 국내 메모리 기업들은 중국과 격차를 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1분기 말부터 CMM-DDR5 양산에 돌입한다. CMM-DDR5는 SK하이닉스가 만든 CXL 기반 D램이다. 이는 SK하이닉스의 메인 CXL 메모리이며 DDR5를 탑재한 기본 제품이다.현재 SK하이닉스는 이 제품의 고객사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인텔. AMD 같은 중앙처리장치 CPU와 협력해 최종적으로는 데이터센터 기업들에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인증 작업을 진행 중인 고객사는 구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빅테크인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 역시 CXL 메모리 양산 준비를 마쳤다.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2월10일 삼성전자가 신청한 CXL 기반 D램 CMM-D의 적합성평가를 거쳐 적합등록을 완료했다. 전파인증은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수 있는 기자재를 시험해 인증하는 적합성평가다. 통상 인증을 받으면 시장 유통이 임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CXL은 중앙처리장치 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각 반도체의 인터페이스다. 일종의 통신 언어인데 지금은 각 칩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이 인터페이스를 CXL로 통합하면 메모리 용량 확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전에는 각 반도체 칩이 자기가 갖고 있는 메모리만 쓸 수 있었다면 CXL를 도입할 경우 CPU가 GPU에 붙은 메모리도 빌려 연산에 활용할 수 있다. 고대역폭메모리 HBM이 정보의 고속도로를 대폭 늘린 제품이라면 CXL은 메모리 용량을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고 빌려쓰는 식이다. 그동안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CXL 메모리 양산 준비를 마쳤음에도 양산 시점을 구체적으로 확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땅한 수요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도체업계는 CXL 메모리 개화 시점에 관심이 컸다.2024년 하반기 인텔이 서버용 CPU 신제품 "제온6 P코어"를 출시한 게 CXL 메모리 개화 계기가 됐다. 이 CPU가 CXL 2.0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AMD도 AI 서버용 CPU EPYC 5세대 코드네임 "튜린"제품을 공개했는데 이 CPU 역시 CXL 2.0을 지원한다.

 

 

 

 

 

 

 

 

 

 

다만 우리가 새로운 기술이 대두되었을 때 그 의미나 반도체 기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그 발전의 폭을 가름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겠다.실적이 가시화되고 수익성이나 안정성등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고 보겠다.대표적인 관련주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이외의 관련주를 살펴보도록하겠다.네오셈은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기업이다.CXL1.0-DRAM 검사장비 와 CLX2.0-DRAM검사장비 및 낸드 프레시 메모리를 타켓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신뢰성 검사를 테스트한  장비를 개발 완료하여  시장선점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세계 최초로 5세대 SSD검사장비를 개발하고 글로벌 SSD검사장비 1위를 치지하고 공급하고 있으며  현재 차세대인 6세대 SSD검사장비를 개발 중이다.코리아써키트는 DDR5를 비롯하여 DDR5 하이스피드 6,400 Mbps 제품용 모듈 및 차세대 기업향 SSD CXL.LPCAMM 등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며 2025년 물량 본격 확대시 가시적인 수혜주가 돨 것으로 보고 있다.삼성전자가 주고객이라는 점도 CXL관련주로 보고 있다. 티엘비는 메모리 모듈과 SSD핵심부품 인쇄회로기판을 주력으로하는 기업이다.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함께 CXL을 개발하고 있다.국내 대용량 서버 PC용 PCB 인쇄회로기판 1위기업이다. 해외 생산증대와 거점을 확보하가 위하여 베트남 신공장을 완공하였다.오로스테크놀로지는 반도체 노광공정에 필수적인 반도체 웨이퍼의 계측장비를 제조하고 있다.반도체 Wafer의 MI 장비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2011년 국내 최초로 Overlay 계측 장비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이후 High Performance AF System 등 핵심 기술들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현재 3대 반도체 계측 장비 부문 중 하나인 Thin Film Metrology 장비 개발을 통해 MI 장비 분야 전문성 제고를 위해 노력 중이다.

 

 

 

 

 

 

 

 

 

다음은 실적가시화가 아루어지고 있지는 않지만 향후 CLX가 활성화되면 성장할 수  있는 관련기업을 살펴보겠다. 퀄리타스반도체는 디스플레이 칩셋 IP와 MIPI IP 등을 공급하는 반도체 IP전문기업이다. PCle v6.0 CXL. V3 플릿레벨 및 스트리밍 프로토콜 을 지원하는 UCle컨트롤러 IP 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칩렛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CXL관련주로 평가받고 있다.고대역폭.저전력 칩렛 전용 인터페이스IP 기술을 개발중이다.피씨디렉트는 프로세서. 스토리지. 마더보드. SSD 서버제품군 등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IT하드웨어와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 보안솔루션 등 유통사업을 영위하고있다.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인 인텔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인텔의 프로세서 제품과 SSD를 포함한 스토리지 제품.미니 PC제품 NUC 네트워크카드를  공급하고 있다. CXL은 인텔 주도로 결성된 컨소시엄이며 인텔의 CXL을 유일하게 납품하고 있으므로 인텔 CXL 메모리 관련주로 보고있다.파두데이터센터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기업으로 클라우드. AI.Big data.5G.자율주행 등 데이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데이터센터 관련 반도체 시장의 규모 성장뿐 아니라 산업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시스템 반도체 산업 내에서 팹리스 기업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파두의  핵심제품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SSD 컨트롤러이다.파두는 CXL 네트워크반도체. CXL 메모리용반도체 등의 연구 개발을 현재 진행 중이다.구체적으로 CXL 전담을 위한 자회사인 이음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하였으며 이음은 차세대 CXL 제품을 개발 추진 중이다. CXL 메모리 컨트롤러 및 CXL 스위치 개발을 위한 R&D를 시작하였으므로 CXL관련주로 부각되었다.제이티는 주로 어셈블리 공정 후반부에 해당하는 반도체 검사장비를 공급하는 전문기업이다 .최근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 제품에 대한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제이티의 기술은 메모리 밀도와 대역폭이 중요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 필수적인 기술로서 CXL관련주로 평가받고 있다.반도체 소켓 제조 및 반도체 테스트 기업 오킨스전자는 고밀도 미세 PITCH 반도체 웨이퍼 테스트 설비에 적용되는 테스트 보드용 커넥터 개발에 성공하여 매출이 증대되고 있으며 하이엔드메모리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테스트용 장비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여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또한 기존 DDR4에서 DDR5시장으로 전환에 대비 DDR5 메모리 테스트용 인터페이스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을 위한 구축도 완료하였다.CXL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DDR5기반 서버용D램 수요가 높아질것으로 예상되는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다.엑시콘은 반도체 성능및 신뢰성 테스트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현재 CLX2.0 테스터 장비를 개발하고 장비를 삼성전자 벤더사로 선정되어 공급할 예정이다.국내 SSD테스터 시장점유율1위 기업으로 현재 SSD GEN6을 개발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AI시대 떠오르는 반도체 유리기판

 

 

 

 

 

 

 

 

반도체 기판은 칩과 컴퓨터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부품이다. 현재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 소재가 널리 쓰이고 있다. 여러 개의 칩이 하나의 반도체처럼 동작하는 이종집적을 위해선칩과 유기기판 사이에 인터포저 즉 . 중간 기판이 필요하다.고집적 패키지 기판이 필요한 AI용 반도체는 실리콘으로 만든 인터포저를 활용한다. 문제는 실리콘 인터포저 공정이 반도체 전 공정이 준할정도로 복잡해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는 점이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AI 반도체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조만간 유기기판에 기반한 성능 향상은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유기기판의 대안으로 부상한 게 바로 유리기판이다. 유리기판은 명칭 그대로 유리로 만든다. 휘어짐에 강하고 평탄도가 높은 유리기판은 인터포저를 탑재하지 않아도 된다. 유기기판보다 더 많은 트랜지스터 집적이 가능해 이론상 유리기판이 유기기판보다 데이터 처리량이 8배 많고전력 소비는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기존 유기기판은 미세공정에 이용되는 열과 휘어짐에 약해 최근 유리기판이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유리기판은 유기기판과 달리 기판 위가 아닌 내부에 MLCC 즉. 적층세라믹콘덴서를 심을 수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다. 유기기판과 비교해 동일 규격에서 50% 많은 칩을 탑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물론 단점도 있다. 유리 특성상 누적 압력이나 외부 충격에 쉽게 깨져 수율이 떨어진다. 수율 저하는 필연적으로 제품 가격 상승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널리 쓰이는 유리기판이 반도체 시장으로 진입하지 못한 결정적 이유다. 유리기판이 대세로 자리 잡기 위해선 관련 기술 개발과 공정 최적화가 이뤄져야 한다.최근 AI 붐과 함께 AI반도체가 떠오르면서 반도체 유리기판 역시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 기판보다 전달속도와 전력 효율 면에서 강점을 가지는 유리기판은 이미 인텔을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 도입을 추진 중이고 이에 발맞춰 SKC.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국내 기업들도 빠르게 유리기판 시장에서 뛰어들고 있다.유리기판은 원래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사용되다 최근 AI시대에 고성능 반도체가 필요해지자 첨단공정에서 유리기판 사용의 필요성이 제기됐다.AI시대에 반도체의 성능이 AI의 핵심 성능을 결정짓고  이 반도체의 성능을 결정짓는 것은 비단 반도체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패키징 역시 중요 요소다.

 

 

 

 

 

 

 



 

 

 

 

GPU와 D램을 빠르게 연결 시키는 것이 반도체의 성능을 결정짓는다는 뜻이다. 즉. 패키징이 반도체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반도체 패키징에는 다양한 소재들이 쓰이는데 그중에서도 유리 소재가 주목받는 이유는 손실이 적어 고속데이터 전송에 유리하고 공정상 비용절감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여기에 유리기판은 기존 기판보다 더 넓은 면적의 기판을 구축할 수 있어 더 많은 칩을 단일장치에 탑재해 고성능 컴퓨팅에 유리하다. 또한 기판 내부에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MLCC 즉.다층세라믹콘덴서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추가 기판없이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같은 이유로 유리기판이 미래 패키징 기판으로서 성장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SK그룹 계열 SKC는 경우 지난 2021년 공식적으로 유리 기판 사업에 뛰어들었다. 미국 반도체 기업 AMAT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합작해 자회사 앱솔릭스를 세우고 2억 4000만달러 약 3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생산공장을 세웠다.삼성전기는 2026년 이후 양산하겠다고 계획을 밝힌바 있다. 삼성전기가 올해 시제품 생산라인을 구축하겠다고 한 유리기판은 뼈대인 코어를 플라스틱에서 유리 재질로 바꾼 제품이다. 미세화·대면적화에 유리해 서버 중앙처리장치 CPU. AI 가속기 등 고성능 반도체를 탑재하는 하이엔드 제품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된다.LG이노텍 역시 유리기판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이외에도 유리기판장비기업으로  이오테크 닉스.기가버스.HB테크놀로지.우리기판소재 와이씨켐. TGV장비기업으로 필옵틱스. 켐트로닉스.식각공정기업으로 이엔에프테크 등이 관련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향 후 유리기판 시장은 높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은 2028년에 84억 달러 약 11조3391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상용화 시점을 예단하기는 아직  어렵다.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유리기판 공급망을 완전히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따라서  유리기판 관련주 상승세가 다소 이르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관련 공급망의 이익 기여를 논하기 이른 시점이고 따라서 이슈에 따라 주가 변동성도 클 수는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기판 소재는 변화해왔고 새로운 변곡점이 가까워졌다는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고대역폭메리HBM 수율개선 테스트장비 

 

 

 

 

 

 

 

 

 

 

 

인공지능형 AI가 그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를 지원하기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를 집적하는 반도체램이  필요함에 따라 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HBM 시장이 세계적으로 부상하는 추세에서, 국내반도체 산업도 HBM에대한 수요가 급증함에따라 HBM 수율검사장비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반도체수율이란 반도체가 여러 미세공정을 거쳐 서 완성된 칩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그 완성도를 높히는가의 테스팅하는 과정에서 품질기준의 불량품을 줄이는 작업이다.메모리반도체 업체로선 한정된 생산 시설 내에서 최대한 많은 제품을 생산하려면 수율 개선이 필수이고, 이를 위한 검사·계측 수요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 현재 HBM 선두로 평가받는 SK하이닉스의 HBM3 기준 수율은 60~70%대로 추정되는데, 일반 D 램 대비 20~30%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따라서 정밀한 HBM관련 신규장비가 필요하게 된다.국내 HBM장비업체로는 테크윙, 인텍플러스, 펨트론, 고영등이 유력하게 부상하고 있다.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특정 기술·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공급망을 안정화하고자 장비 국산화를 추진하는 점도 이들 업체의 주가를 끌어올리는 요소가 되고 있다.반도체수율 향상을 위한 HBM 검사 장비는 해외 업체인 온투 이노베이션과 캠텍이 과점하고 있으나 국내 장비 업체들도장비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그동안 반도체 미세전공정 장비는 선두 업체들의 기술력으로 대체하기 쉽지 않았으나,  후공정 장비는 주목을 받은 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산화를 서둘루는 국내장비업체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될것으로 보겠다.테크윙은 지난해 실적 부진에도 HBM 관련 신규 장비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주가가 많이 오른편이다.테크윙은 반도체 핸들러 업체로, 올해 HBM 테스트용 큐브 프로버 등을 양산할 계획이다. 이를 이용하면 경쟁사 장비 대비 이론상 4배 많은 HBM 다이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테크윙은 신규 사업으로 큐브 프로버(HBM 테스트), 프로브 스테이션(웨이퍼 테스트) 시장에 진입할 계획을 세우고,  앞으로 HBM 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면서 주요 고객인 글로벌 종합 반도체(IDM) 업체를 대상으로 한 큐브 프로버의 매출 증가에 대비하고 있다.인텍플러스는 외관검사장비 M/S 1위 업체로  Advanced PKG 확대 트렌드에 따른 검사장비 수주 확대 기대되고 있다. 2024년 매출액 1,317억원(+11% YoY), 영업이익 138억원 g흑자전환이 기대된다.실적 회복의 주된 원인은 반도체 패키징 고객사들의 투자 회복과 2차전지 고객사향 매출 성장이  견인할 것으로 보겠다. 2025년부터반도체 패키지 검사장비 납품 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 본격화가 기대된다.인텍플러스는 HBM4 이상에 적용할 예정인 하이브리드 본딩용 검사 장비를 연구·개발하고 있기때문에 HBM반도체수율개선 장비에도 크게 도움이 될것으로 평가받고 있다.펨트론과 고영도 HBM 등 차세대 반도체 분야로 검사 장비 라인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펨트론은  반도체, 이차전지 장비 양 분야에서 본격적인 수주를 통한 매출 증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대역폭메모리 HBM 생산성을  3배 이상 향상 시킬 수 있는 관련 장비를 개발 생산 중인 펨트론이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 즉 CXL관련 장비도 준비 가능한 것으로 관측된다.여기에 세계 최초 리드탭 인라인 검사장비 품질 테스트도 마무리됐다.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는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면 대량공급의 발판이 마련된다. 펨트론은 파우치타입의 배터리 관련 부품 리드탭 인라인 검사장비의 고객사 품질테스트가 마무리됐다.리드탭은 파우치형 배터리의양극과 음극 셀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외부로 내보낼 때 단자 역할을 하는 이차전지 핵심부품이다.세계 최초로 펨트론이 개발해 이미 리드탭 검사장비를 공급 중인데, 새롭게 테스트한 장비의 경우 제조장비와 검사장비를 하나로 합친 제품이라고 한다.고영은 반도체 검사장비 젠스타(ZenStar)를정식 론칭했다. 반도체 어드밴스드 패키징 방식에 따라 장비 라인업을 세분화해 검사 시장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이다. 젠스타는 웨이퍼 레벨 패키징(Wafer-Level Packaging, WLP)에 특화된 제품이다. 반도체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에서 불량 검사로 생산수율 향상을 돕는다. WLP는 최근 온디바이스 AI 시장 확대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며, 차세대 패키징으로써 각광받는 기술이다. 고영은 그동안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er Technology, SMT) 분야에서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난 2017년 세계 최초 3차원 반도체 패키징 검사장비 마이스터(Meister)를 출시했다. 이번 젠스타 론칭으로 고영은 반도체 기업으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됐다. 고영은 젠스타와 마이스터 각자 브랜드 운영을 통해 투입 공정 및 고객사 니즈에 따라 최적의 검사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반도체 어드밴스드 패키징 과정에서 검사장비 중요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고영은 젠스타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기대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HBM 필수공정 레이저어닐링장비

 

 

 

 

 

 

 

 

HBM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 램은 기존의 GDDR 계열 SGRAM을 대체하고 보다 고대역폭 메모리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2013년에 반도체 표준협회인 JEDEC에 의해 채택되었다. 메모리 다이를 적층하여 실리콘을 관통하는 통로 TSV 실리콘관통전극을 통해 주 프로세서와 통신을 한다.이를 위해서는 직접 인쇄회로기판위에 올려지는 GDDR 계열 SGRAM과는 달리 인터포저라는 중간단계를 필요로 한다.GDDR의 경우 32개의 핀을 구리배선으로 연결하면 되므로 따로 미세공정이 필요 없었다.그러나 HBM은 1024개나 되는 미세한 핀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대로 기판에 붙일 수 없다.2012년에 이종간패키징이 가능한 CoWoS를 TSMC가 개발하고 2014년에 AMD와 SK하이닉스가 협력하여 HBM 개발에 성공하면서 이후 본격적으로 HBM을 활용한 제품이 나오게 되었다.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대폭 끌어올린 고대역폭 반도체 D램을 여러 개 적층하면 기반 면적당 훨씬 높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이런한 구조로 인해 HBM의 대역폭은 매우 높다.데이터 전송속도가 매우 빨라 매우 높은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머신 러닝.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그러나 HBM은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일반 D램보다 활용도가 낮았다.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고난도 기술이 필요해 평균판매단가 ASP가 D램의 최소 세 배 이상이었기 때문이다.하지만 2023년 들어 인공지능 AI 챗봇인 챗GPT가 등장하면서 메모리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PC·스마트폰용 메모리반도체에 밀려 큰 관심을 못 받았던 고대역폭 메모리 HBM D램 등 고성능 반도체가 각광받고 있다. AI 서비스 확대로 D램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반도체업계에선 수년내 AI에 특화된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새 판이 짜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2023년 8월 SK하이닉스에서 HBM3E 개발에 성공하였다. 2023년 10월 삼성전자에서 일명 샤인볼트라는 HBM3E의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발표하였다. 2023년 11월 엔비디아는 HBM3E가 탑재된 H200과 B100을 출시하였다. 2024년 2월 SK하이닉스에서 16단 48GB에 1.28TB/s의 대역폭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HBM 시장 전체 규모는 40억 달러. 2024년에는 120억달러로 전년 대비 3배로 늘어났다. 시장에서는 고부가가치 D램이 얼어붙은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의 인위적 감산에 소극적인 것도 AI 기술 등의 확대로 D램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중장기적으론 HBM 등 AI 특화 D램 개발이 업계 판도를 흔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이 미세공정 개발에 열을 올리던 시대는 지났다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연산 처리 능력까지 갖춘 AI 반도체 기술 개발이 업체 명운을 가를 정도로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HBM 시장의 주도권을 쥔 건 SK하이닉스다. SK하이닉스는 2013년 미국 AMD와 함께 세계 최초 HBM을 개발.양산했다. 1세대 HBM. 2세대 HBM2. 3세대 HBM2E.4세대 HBM3 등의 제품을 계속 내놓으면서 60~70%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디아이티는 DRAM.NAND 웨이퍼 수율을 향상시키는 레이저 어닐링 장비를 2019년부터 SK 하이닉스와 공동 개발하고 작년 8월부터 본격적인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최근 웨이퍼 박막화 및 3D 메모리 및 HBM 성능 향상을 위한 레이저 어닐링 기술 채택 확대에 따라 디아이티 장비 적용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레이저 어닐링 장비는 반도체 웨이퍼의 급속어닐링 RTA 대비 뒤틀림 등 불량을 개선하는 공정이다.

 

 

 

 

 

 

 

 

텅스텐 할로겐 램프를 활용한 RTA 방식이 현재 어닐링의 주류 공법인데  RTA는 결정적으로 웨이퍼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의 가열 온도가 달라 웨이퍼가 뒤틀리거나 단층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웨이퍼 결함부에 국소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해 열처리하는 레이저 어닐링 방식은  이러한 RTA의 문제점을 개선한 공정이다. 레이저 조사 방식이기 때문에 열로 인한 불량 문제에서 자유롭다. 어닐(anneal)이란 열처리를함으로써 어느 물질에 축적되어 있는 일그러짐을 없애 전기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어닐링은 반도체에 불순물을 도핑시 킬 때 이온 이식 직후에 반도체의 격자에 생긴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약 1시간 동안 웨이퍼에 400 ºC 정도로 가열하는 공정을 말한다. AI 관련 고사양 HBM 반도체 공정이 활발해 지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모두 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도입했다.삼성전자는 이오테크닉스와 손을 잡고 있다.디아이티는 약 4년 간의 테스트 개발 기간을 거쳐  2024년초에  SK하이닉스 HBM3E 양산공정에 레이저 어닐링 장비를 투입하기 시작했다.HBM3E는 SK하이닉스가 최근 개발에 성공한 AI용 초고성능 D램 신제품이다. 1세대 HBM-2세대 HBM2-3세대 HBM2E-4세대HBM3순을 거쳐 HBM3 확장판 5세대로 평가된다.SK하이닉스는 AI용 GPU 그래픽처리장치 시장의 석권을 노리는 엔비디아에 HBM3E 샘플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초당 최대 1.15TB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발열 제어.고객 사용 편의성 등을 모두 충족해 2025년 상반기부터 HBM3E 양산에 돌입.  AI용 메모리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다진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2025년초부터 양산 물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선단공정에서부터 적용되는 레이저 어닐링 장비 역시 중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10나노미터 이하의 초미세 공정 테크 노드인  1b 나노 공정에 SK하이닉스가 사활을 걸고 있어 1b 나노 공정의 캐파가 커질 수록 웨이퍼 수율을 잡는 레이저 어닐링 장비의 입고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HBM3E를 위한 1b 캐파 확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격 양산구간에 진입하면 약 10k(웨이퍼 기준 1만장) 당 1대 수준의 레이저 어닐링 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2025년  SK하이닉스가 60k~100k 수준의 캐파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약 6대에서 10대 가량의 레이저 어닐장비가 추가 입고될 수 있다.2025년 엔비다아 신제품 출시로 HBM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따라서 GPU반도체 b100이 출시와 함께  b100에는 SK하이닉스 HBM3E가 높은 점유율로 탑재될 것으로 보면서   성장 발판을 마련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반도체 고대역폭 메모리 HBM관련주

 

 

 

 

 

 

 

HBM 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직 큰 규모의 시장은 아니지만 충분히 발전 잠재력이 있는 시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HB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HBM은 조용하지만 서서히 자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중이다. 고대역폭 메모리 High Bandwidth Memory 는  SDR , DDR (Double Data Rate) .SDRAM과 같은 기존 메모리 기술과 비교하여 훨씬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낮은 전력 소비를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메모리 아키텍처이다.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대폭 끌어올린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 D램을 여러 개 적층하면 기반 면적당 훨씬 높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런한 구조로 인해 HBM의 대역폭은 매우 높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매우 빨라 매우 높은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머신 러닝.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그러나 HBM은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일반 D램보다 활용도가 낮았다.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고난도 기술이 필요해 평균판매단가 ASP가 D램의 최소 세 배 이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4년 들어 인공지능 AI 챗봇인 챗GPT가  메모리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PC·스마트폰용 메모리반도체에 밀려 큰 관심을 못 받았던 고대역 메모리 HBM D램 등 고성능 반도체가 각광받고 있다. AI 서비스 확대로 D램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반도체업계에선 수년 내 AI에 특화된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새 판이 짜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시장에서는 고부가가치 D램이 얼어붙은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HBM의 선두주자는 SK하이닉스이다. 한 발 늦은 삼성전자도 본격적으로 개발에 나사고 있고 메모리반도체의 인위적 감산에 소극적인 것도 AI 기술 등의 확대로  2025년  하반기 D램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중장기적으론 HBM 등 AI 특화 D램 개발이 업계 판도를 흔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이 미세공정 개발에 열을 올리던 시대는 지났다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연산 처리 능력까지 갖춘 AI 반도체 기술 개발이 업체 명운을 가를 정도로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HBM관련주

 

                                            HBM관련주
메모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HBM제조
IP 오픈엣지 테크놀로지 HMB IP
장비 오로스테크놀로지 TSV검사장비
    " 제우스, 케이씨텍 세정장비
    " 고영, 파크시스템스, 넥스틴 검사장비
장비 테스
전공정 장비 PECVD, LPCVD, Gas Phase Etch&Cleaning, GPE장비   
부품 미코 HBM히터
신뢰성테스트품질 큐알티 신뢰성평가,검사,오류,리싸이클
후공정장비 한미반도체 TSV, TC본더
    " 피에스케이홀딩스, 에스티아이, 리플로우장비
    " 프로텍 디스펜서, 다이본더,레이저리플로우
    "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다이싱장비
    " 인텍플러스, 디아이 외검사장비, 웨이퍼테스트공정장비
    " 대덕전자, 코리아써키트 FCB(회로기판)
전공정 장비 주성엔지니어링, 파크시스템스, 유진테크, 레이크머트리얼즈, 동진세미캠, HPSP
OSAT SFA반도체, 하나마이크론, LB세미콘, 에이티세미콘, 네패스아크,네패스,한양디텍,시그네틱스,테스나
어닐링열처리 이오테그닉스, 디아이티,HPSP  
기타장비 GST, ISC, 기가비스,타이거일렉,테크윙,코세스
     




▶TC본더는 열과 압력을 이용해 칩을 적층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비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의 핵심 장비다. 식각 공정에서 실리콘관통전극(TSV)을 뚫으면 TC본더는 형성된 TSV를 통해 칩을 적층·연결한다. 한미반도체는 주요 메모리 업체향으로 TSV TC본더를 메인 벤더로 납품 중이다.

▶PECVD(Plasma Enahnced CVD)

i).강한 고주파 전압으로 발생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화학기상 반응으로 중착하는 장치이다.고주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압을 발생시켜서 체임보 내의 가스를 플라스마로 만들어 강한 화학반응을 유도하여 반응물을 증착하는 특징이 있다.

ii).저온으로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박막을 증착하는 장치 PECVD는 650ºC 이상의 고온에서 증착하는 LPCVD와 달리 150ºC에서 350 ºC 정도의 상대적 저온에서 플라즈마의 특성을 이용해서 이온과 라디칼 등을 활용한 저온증착이 가능한 공정정비이다.

▶LPCVD(Low Pressute CVD) 

 

 

 

 

 

 

HBM 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와 관련한 수혜업체를 살펴보자면 한미반도체는 HBM용 TC본더를 SK하이닉스와 공동 개발하고 있다. HBM 1세대부터 HBM3E까지 관련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디아이티는 레이저어닐링장비.HPSP는 고압수소 어닐링 장비에서 HBM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피에스케이홀딩스는 후공정에서 플럭스리스 리플로우 Fluxless Reflow 장비를 글로벌 파운드리 및 메모리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다. 액침냉각기술은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를 위한 새로운 기술 흐름에 발맞춘 장비로서 향 후 액침냉각 장비 매출규모를 추정하기 힘들정도로 폭발적인 잠재력이 있는 기업 GST도 다크호스로 예상되고 있다.이 밖에 테크윙.오로스테크놀로지 등이 신규 공정에 장비를 납품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인텍플러스.제우스의 고객사 확장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오테크닉스.디아이.넥스틴은 해외 장비 이원화로 수혜를 볼 전망이다.HBM 공정 내에서는 TSV식각 램리서치. CMP.다이싱 디스코.몰딩 분야는 일본과 미국 장비사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돼 있지만 본딩. 어닐링. 리플로우.세정.검사. 테스트의 경우 한국 장비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한국장비업체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보겠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차세대전력반도체 Sci와 GaN   

 

 

 

 

 

 

 

 

코스텍시스는  고방열신소재기술과 정밀세라믹패키지기술을 토대로  차세대전력반도체 및 통신분야 저열팽창 고방열  소재부품을 제조하는 전문기업이다.1997년에 설립된 코스텍시스는 그 동안 일본기업이 주도하고 있던 방열소재시장에서 국내 초로 고방열소재 양산기술에 성공하였고,  이후에 주력제품인 RF패키지를 양산하고 있다.통전활성소결(SPS)기술을 기반으로 일본에 앞서는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재료내재화를 이루어 가격경쟁력까지 입증하여 2022년부터는 본격적인 수주를 시작했고,  현재는 소재부터 제품까지 생산하는 기업으로는 세계에서 코스텍시스가 유일하다. 패키지란 반도체후공정 단계 중 패키징을 하는데 필요한 소재로 일종의 포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제품은 무선주파수 RF패기지로 98%를 차지하고 나머지 2%가 신제품 고방열 스페이셔가 있다.RF패키지는 5G통신용 반도체에 사용되는 소재로 주로 GaN 화합물 반도체칩에 쓰이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Sic 나 GaN 화합물은 차세대전력반도체로서 기존 세라막 Si제품이 작동하기 힘든 가혹한 환경에 주로 사용된다.따라서 대표적인 분야가  전기차와 5G 고부가통신이다.RF패키지 제품은 열에 대한 내구성과 방열기능이 뛰어나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기술에 해당된다.IT 및 전기차 분야에도 Sic 전력반도체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효는 더욱더 확대될 전망이다.원재료 내재화는 경쟁상대인 일본기업도 이루지 못한 코스텍시스만의 강점이 되었다.이는 네덜란드의 세계적인 전력반도체기업 NXP사도 인정하여 코스텍시스의 전체매출의 80%가 NXP향이다.매출향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다변화하는 것이 향후 성장의 지표가 될것으로 보겠다.고방열스페이셔는 Sic 반도체 모듈내에 장착되는 소재로 주요기능은 전력반도체 칩과 기판사이에서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통신분야에서 GaN이 많이 쓰이는것에 비해 Sic는 전기차에 많이 쓰이게 된다.전기차에 전력제어와 변환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Sic반도체를 사용할 경우 Si 대비 전력변환율은 높아지고 시스템은 경량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현재 전기차 1대당 약 60개의 방열스페이셔가 탑재된다.전기차 시장이 성장할 수록 고방열스페이셔 Sic 전력반도체도 엄청나게 성장이 보장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현재 코스텍시스  제1공장 CAPA는 600억으로 이중에서 RF패키지 통신용 반도체가 500억을 차지하고 있다.따라서 향후 Sic전력반도체시징이 급성장할 가능성에 대비 선제적으로 제2공장을 증설 진행중이며 2024년도 상반기에 완공할 예정이다.여기서는 고방열 스페이셔만 500억 규모를 가동할 예정이다.2023년 4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교보10호 기업인수목적과 합병하면서 상장을 위한 스팩합병임대 비용과 전환사채손실이 발생하여 173억원의 결손금이 생겼다.이로인하여 2023년도 12월 결산에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전환되었다.코스텍시스는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300억중에서 결손금 전액을 보전하기로 하고, 결손보전금을 초과하는 준비금의 일부를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여 50억원 규모의 배당가능성 이익금으로 확보할 계획이다.2023년도 4분기부터는 글로벌 반도체 업황이 반등으로 돌아서면서 해외수주도 급증함에 따라 2024년도 상반기에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차세대 전력반도체

 

 

 

 

 

 

 

 

 

전력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서 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차, 조명, 노트북, 스마트폰 등 다양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전압과 전류 수준으로 변환하고 시스템 전체의 작동 여부 및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부품으로서  파워반도체라고도 한다. 현재 전력반도체는 전기자동차, 태양광 등에 적용되고 있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자제품에 다 적용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항공우주, 5G 등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전력반도체(Power semiconductor)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부르는 메모리 반도체와는  조금 상이하다. 전력반도체의 경우, 감당하는 전압이 높고 전류용량이 크다. 전력반도체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점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전자제품들이 다양해지고 업그레이드 됨에따라 저전력으로도 제품들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현재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글로벌 전기자동차가 발전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전력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전력반도채는 전기자동차의 원동력인 배터리에 사용되고 있다. 이때, 배터리가 전력을 공급하고 배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연적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다.차세대 전력반도체는 기존의 실리콘 단점을 보완하여 전기차 고전압에 쓰이는 Sic( 탄화수소)소재와 가전제품등에 쓰이는 GaN(질화칼륨)소재로 쓰이는 부품으로 나뉜다.Sic는 최대전압이 높지만 스위칭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높기 때문에 현재는 전기차 등에 주로 쓰인다.면에 GaN 은 전압이 낮지만 빠른 스위칭 속도와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폭 넓은 산업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기존의 Si 반도체 공정과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고속 동작과 소형 제작에 유리하다. 질화갈륨 반도체의 경우, SiC보다 훨신 안정적인 결합 구조와 더 높은 Breakdown voltage를 갖기 때문에 전원 공급 장치 및 고주파 응용에 적용되고 있다.AI산업의 증가에 따른 전력공급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 전력에너지로 차세대전력반도체 Sic와 GaN이 주목을 받고 있다.관련주로는 해성디에스, 매커스, 티씨케이, KEC, 시지트로닉스, 코스텍시스 등이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애플 아이폰 생성형 AI 이슈와 국내 부품관련주

 

 

 

 

 

 

 

 

 

 

애플은 2011년 AI 음성 비서인 시리(Siri)를 내놓으면서 AI 분야에서 한발 앞서 나가는 듯했지만, 최근 오픈AI의 챗GPT를 선두로 하는 생성형 AI 경쟁에는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애플은 아이폰에서 구동되는 생성형 AI를 개발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2024년 4월12일 공개된 논문에서 애플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제한된 메모리를 지닌 장치에서 효율적인 대규모 언어 모델 LLM 추론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방대한 데이터 센터에서 가동되는 LLM을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기기에서 구동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로 여겨지는데, 최근 애플의 연구는 여기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기반의 AI보다 더 빠르게 반응하며 인터넷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도 작동하는 AI 비서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생성형 AI는 스마트폰 업계에서도 최대 화두가 되고 있다.애플의 라이벌인 삼성 역시 내년에 새로운 AI 스마트폰을 출시할 예정이다.2027년까지 출시되는 새 스마트폰의 40%는 AI 기능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반도체기업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몬 최고경영자는 스마트폰에 AI를 탑재하는 것은 현재 판매량이 줄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의 흐름을 바꿔놓을 것이고, 스마트폰에 탑재된 생성형 AI는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며 시장에 새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AI 기술은 모바일 등 스마트기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중앙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해 분석하고 다시 기기로 보내는 비효율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그러나 온디바이스AI(On-device AI)는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기기 자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연산할 수 있다.온디바이스AI(On-device AI)는 스마트기기에 탑재한 인공지능을 말한다.삼성전자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갤럭시 S 24 시리즈를 공개한바 온디바이스AI 을 적용하면서 구글 제미나이 나노 모델을 도입했다.갤럭시 S24는 AI를 기전으로 통화부터 메시지까지 언어장벽을 허무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경험으로 제공하게 되었다.온디바이스AI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AI가 스마트기기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보안도 안전하다.별도 앱으 다운받을 필요도 없으며, 통화 내용이 휴대폰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도 없게된다.이렇게 온디바이스AI는 앞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기술이 될 것으로 보겠다.온디바이스 AI 관련주는 스마트기기의 정보 수집, 연산하는 NPU 관련 업종, 디바이스 AI 가동을 위한 LPDDR 관련 업종, AI기능을 설계하는 IP 회사, 신규 반도체를 테스트할 테스트 소켓 제조 업종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의 CNBC 인터뷰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다음주 2024년 5월 두째주로 예정된 새로운 아이패드 출시와 다음달 열리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I와 관련해 큰 발표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AI 기능 탑재는 아이폰의 판매 부진을 극복할 돌파구가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LG이노텍은 폴디드줌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촬영 시 손떨림방지 기능을 하는 액추에이터 부품을 공급한다.아이폰 판매 부진에 시름에 잠겼던 애플 부품주들이 최근 들어 반등 조짐을 보이는 것은 신제품 출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어서다. 애플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기대는 더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애플이 스마트폰 운영체제 iOS 18에 오픈AI의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대화를 재개했다고 보도했다. 오픈AI와 계약 조건이 합의될 경우 오는 9월 출시 예정인 신제품 아이폰16에 AI 기능이 담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선 5월에 예정된 아이패드 프로 신제품 공개 행사에서도 AI 기능이 탑재된 차세대제품을 공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그 동안 인공지능(AI)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애플이 AI 관련 큰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부품주의 주가가 들썩인다. AI 기능을 담은 아이폰이 출시될 것이라는 기대가 번지면서다. 증권가에서는 관련주의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수혜주는 LG이노텍, 비에에치, 하이비젼시스템 등이다.

 

 

 

 

 

 

 

 

 

 

LG이노텍은 첨단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Camera Module, 반도체기판, Tape Substrate, Photomask, 모터/센서, 차량통신, 전자부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고 있고 해외 판매망으로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독일에 판매법인 및 지사가 설립되어 있으며 판매 및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학솔루션사업부와 전장부품 사업부의 매출이 전년대비 각각 8% 상승했지만, 기판소재 사업부의 부진으로 인해 수익성이 다소 악화되었다. 카메라모듈과, 기판, 전장부품 등 세가지 동력을 발판삼아, 다소 부진한 2023년 실적을 개선하고, 성장하기 위해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AI 기능 탑재는 아이폰의 판매 부진을 극복할 돌파구가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LG이노텍은 폴디드줌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촬영 시 손떨림방지 기능을 하는 액추에이터 부품을 공급한다.아이폰 판매 부진에 시름에 잠겼던 애플 부품주들이 최근 들어 반등 조짐을 보이는 것은 신제품 출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어서다. LG이노텍이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2분기 실적도 추가 상향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현재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고 봤으며, 인공지능 AI 아이폰의 수혜주로 꼽았다.우려했던 1분기 실적이 대폭상승한 LG이노텍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분기 실적 발표 후 190억원에서 650억원으로 3.4배 상향됐고, 만약 2분기 원달러 환율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되면 1000억원을 상회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현재 주가는 2년 전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고, 올 들어서도 연초 이후 11%, 최근 1년간 17% 하락해 부담 없는 가격 수준이다.이 같은 주가 하락은 아이폰 판매량 감소, AI 아이폰 출시 지연 등의 우려 때문이고, 2분기 실적의 추가 상향 가능성, 6월 AI 아이폰 로드백 공개, 9월 첫 AI 아이폰 공개, 북미 AI 반도체 업체 협력을 통한유리기판 사업 진출이 저평가 탈피 모멘텀이 주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으로 평가받고 있다.

 

 

 

 

 

 

 

 

 

비에이치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이다.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모듈, 카메라모듈, 가전용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임. 고객의 대부분은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 이며 또한 일본과 중국 등지로 해외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국내 FPCB업체 중 유일하게 베트남에 전공정 생산라인을 구축하여 전략적 SCM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운송비용 및 인건비 절감으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북미 고객사가 LTPO 디스플레이를 상위 모델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SDC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애플의 2024년 1분기 실적이 상승함에 따라 비에이치도 분위기를 타는 모습이다. 비에이치는 애플에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에 들어가는 경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을 공급 중이다. 애플이 AI 관련 큰 발표를 앞두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부품주의 주가가들썩인다. AI 기능을 담은 아이폰이 출시될 것이라는 기대가 번지면서다. 증권가에서는 관련주의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하이비젼시스탬은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 부품에 대한 공정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카메라모듈 검사 기업으로부터 스마트부품 검사 기업으로 사업 영역 다변화에 성공을 이끌어 왔으며 앞으로도 복합적인 설비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하이비젼시스템의 영상처리기술은 영상을 인식하여 사람보다 정확한 판단 및 정보화가 가능하고 그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image grabber board, Vision camera, Vision algorithm 은 해당분야의 세계 최고 성능으로 인정받고 있다.모션제어기술은 영상처리기술을 통해 판독한 결과에 대한 정밀한 동작 수행과 각종 분류 작업 및 설비 전자동화를 현실로 만들어 주고 있다.효율적이고 진보된 설비 구현을 위해 다관절로봇, SCARA로봇과 다양한 로봇 연구를 지속 수행하고 있다.또한 최근 카메라모듈에 3D sensing 및 다양한 Smart 기능들이 추가되는 트랜드에 따라,하이비젼시스템은 신호처리기술을 적용한 핵심부품 및 설비들을 앞서서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하이비젼시스템의 카메라 모듈 자동화 검사장비는 최근 3년 간 꾸준하게 성장했다.카메라 모듈의 고화소화 추세 및 휴대폰 완성품 업체에서의 엄격한 품질 관리가 맞물려서 자동화 검사장비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현재 후공정 자동화 검사장비를 국내와 카매라모듈 제조업체에 납품하고 있다.최근 애플 AI 아이폰 이슈와 함께 애플아이폰 휴대폰 부품관련주가 투자자들의 깊은 관심을 불러내어 하이비젼의 수급도 이어지고 있다.또한 사업다각화 일환으로 현재 2차전지 보조 배터리 생산라인 P-LBM을개발/수주하고, 2차전지 배터리 생산라인 BMA 개발/수주 등을 진행하고 있다.2차전지 배터리 생산라인은 하이비젼시스템의 주요 사업 영역인 검사장비를 포함해 공정 및 조립장비, 자동화 설비 등을 모두 포함한 패키지 라인을 종합적으로 포함한다. 이는 글로벌 복합장비기업으로 발돋움하는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설명이다.하이비젼시스템은 2차전지 분야의 신사업 개척을 위해 지난 2021년 8월 2차전지팀을 신설해 관련 연구개발 및 고객사 확보에 나섰으며, 지난해 1월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의 팀 단위에서 2차전지실로 조직 규모를 격상하고, 지속적인 인력 확충 및 사업 확장을 전개해 왔다.2022년 연중에는 2차전지 셀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비전 검사 장비의 개발 및 수주, 2차전지 보조 배터리 생산라인(P-LBM) 개발 및 수주를 진행한 바 있다. 지난해부터는 2차전지 배터리 생산라인 수주까지 확대하고 있다.지난 2021년부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2차전지 사업부문이 활발한 연구개발 및 수주 활동을 통해 추가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점을 고무적으로 생각하며, 2024년에는 여러 고객사와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를전방위적으로 수행해 주요 사업 부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생산라인 관련 신규 고객사와 수주를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차세대전력반도체 Sci와 GaN  (0) 2024.05.13
13.차세대 전력반도체  (0) 2024.05.12
10.온디바이스AI(On-device AI)  (0) 2024.04.15
9.K-뷰티 트렌드 미용의료기기  (0) 2024.03.25
8.클라우드 컴퓨팅  (0) 2024.03.13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온디바이스AI(On-device AI)

 

 

 

 

 

 

 

 

 

 

 

 

 

그동안  AI 기술은 모바일 등 스마트기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중앙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해 분석하고 다시 기기로 보내는 비효율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그러나 온디바이스AI(On-device AI)는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기기 자체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연산할 수 있다.온디바이스AI(On-device AI)는 스마트기기에 탑재한 인공지능을 말한다.삼성전자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갤럭시 S 24 시리즈를 공개한바 온디바이스AI 을 적용하면서 구글 제미나이 나노  모델을 도입했다.갤럭시 S24는 AI를 기전으로 통화부터 메시지까지 언어장벽을 허무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경험으로 제공하게 되었다.온디바이스AI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AI가 스마트기기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보안도 안전하다.별도 앱으 다운받을 필요도 없으며, 통화 내용이 휴대폰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도 없게된다.이렇게 온디바이스AI는  앞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기술이 될 것으로 보겠다.온디바이스 AI 관련주는 스마트기기의 정보 수집, 연산하는 NPU 관련 업종, 디바이스 AI 가동을 위한 LPDDR 관련 업종, AI기능을 설계하는 IP 회사, 신규 반도체를 테스트할 테스트 소켓 제조 업종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제주반도체는휴대폰 등 모바일 응용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전문 파운드리회사에 위탁 생산하는 설계하는 회사이다.제주반도체는 AI 스마트폰 구현에 핵심적인 칩 중 하나인 LPDDR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온디바이스AI 관련주이다. 제주반도체의 LPDDR은 D램의 처리 속도를 2배 개선하여 처리 속도는 극대화하면서 전력 소모량은 극소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통신장비와 사물인터넷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일종인 멀티칩패키지에 주력하여 매출액 중 NAND MCP가 차지하는 비중은 70% 이상인 기업이다.리노공업은 검사용 프로브와 반도체 검사용 소켓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초음파 진단기 등에 적용되는 의료기기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검사용 프로브와 반도체 검사용 소켓(IC TEST SOCKET)을 자체브랜드로 개발하였다.리노공업은 AI 칩 테스트를 위한 검사용 소켓을 생산하는  온디바이스 AI 관련주이다.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 기술을 엣지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설계 IP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고성능 Total Memory System IP Solution 및 동 솔루션과 신경망처리장치를 결합한 AI Platform IP Solution for Edge Computing 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제공하고 있다.통합된 IP 솔루션이 만들어내는 추가적인 시너지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에이직랜드는 TSMC의 국내 유일 공식 협력사(VCA, Value Chain Alliance)로서 TSMC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고 있고, 팹리스 기업을 주 고객사로 하고 있다.고객사의 반도체 논리 회로 설계를 실제 TSMC의 파운드리를 통해 제조가 가능한 형태인 물리적 설계로 재설계해주는 디자인 솔루션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가온칩스는 삼성 파운드리의 공식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로서 삼성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고자 하는 팹리스 고객사에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팹리스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웨이퍼 형태의 반도체칩을 조립하고, 테스트하여 최종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여 공급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스템 반도체 회로설계 부분까지도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솔루션에 포함하고 있다.디자인서비스 제공을 통한 개발 매출 중심 비즈니스에서 양산까지 담당하는 Turn-Key 서비스로 체질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 파운드리 외에 팹리스 업체를 고객사로 섭외해서 제조를 맡기는 구조가 자체 반도체 제조를 원하는 AI 산업 확대와 더불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텔레칩스는 팹리스 반도체 기업으로 Video Codec IP개발 및 라이센싱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칩스앤미디어를 계열회사로 두고 있다. 동사의 제품은 주로 인텔리전트 오토모티브 솔루션에 적용되고 있다. 그 외 차량내 오디오, 기타 전자 장비의 멀티미디어칩, 모바일 TV 수신칩, Connectivity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이상으로 온디바이스AI와 그 관련주를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더 많은 관련주가 있으나  뉴스로 부각되는 기업보다는 내용과 실적을 분석하여  펀드멘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수급동향도 모니터링하면서 너무 급등하는 종목보다는 덜 오른 기업을 찾는 투자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K-뷰티 트렌드 미용의료기기

 

 

 

 

 

 

 

 

 

최근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며 수요가 꾸준하단 분석이다.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국내 기업의 선전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관심을 끈다. 클래시스, 제이시스메디칼, 원텍, 비올 등 국내 주요 미용 의료기기 전문기업이 나란히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그만큼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활약이 계속되고 있단 의미다.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은 소득 수준 향상과 소셜미디어(SNS) 영향력 확대,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 등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150억달러, 약 19조6500억원에서 2030년 약 389억달러, 약 50조 980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국내 미용 의료기기 기업들은 레이저와 초음파(HIFU), 마이크로니들RF(고주파) 등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두루 개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R&D(연구개발)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춰 미국과 유럽, 중남미, 아시아 시장에서 장비와 소모품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도 한국산 제품의 기술 경쟁력에 대해선 인정하는 분위기란 설명이다. 특히 미용 의료기기 시장은장비 공급이 늘수록 소모품 매출이 덩달아 증가하는 구조라 다른 산업보다 높은 이익률을 지속하기 수월한 편이다.최근엔 피부 잡티 제거 등 단순 치료에서 벗어나 얼굴 지방 제거와 염증 회복, 항노화 등 다양한 영역으로 적응증을 확장하려는 연구 노력도 활발하다.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신기술 개발이나 적응증 확장 등을 한국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는 이유다. 국내 산업특성상 IT와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환경도 미용 의료기기 기술 향상의 배경으로 볼 수 있다. 또 한국 미용 기술이나 시술 능력에 대해 해외 시장에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국내 미용 의료기기의 해외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측면도 있다.원텍의 레이저 의료기기는 전통적인 주력 제품군이며 주요 제품으로는 고출력 피코초 엔디야그 레이저 수술기로 Picocare가 있다. 고주파 의료기기 주요 제품으로는 Monopolar RF 방식의 Oligio(올리지오),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의료기기는 Tightan이 있다. RF(고주파) 대표 제품인 Oligio(올리지오)는 세계 두 번째, 국내 최초로 개발한 제품이다.국내는 물론 해외 현지법인을 통한 인증팀을 구축하여 국내 MFDS, 미국 FDA, 유럽 CE, 중국 CFDA 승인 등 다수의 제품 인증을 획득하였다. 국가별로 인증받은 제품의 우수성과 관련된 홍보, 전시회 및 학술대회에 참가하여 회사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슈링크 유니버스는 전 세계 누적 판매 대수 1만5000대가 넘는 클래시스의 주력 제품이다. 기존 슈링크 대비 속도가 빠르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부스터 카트리지를 제공해 선택의 다양성을 높였다.클래시스는 국내에서는 대표적인 고강도 집속초음파( HIFU)브랜드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글로벌 미용 의료기기 산업에서도 ‘K-뷰티’ 트렌드를 이끌며 시장을열어가고 있다.

 

 

 

 

 

 

 

 

 

유럽은 클래시스가 지난 2016년부터 Ultraformer III, 국내명 슈링크를 통해 HIFU  집속초음파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Ultraformer MPT에 대한 현지 잠재 고객의 기대가 크다.클래시스의 주요 매출처인 브라질에서도 Ultraformer MPT가 최초로 허가받았던 2022년당시 약 4개월간 250대가 판매됐으며, 다음 해인 2023년도에는 판매 대수가 650대로 2.5배 증가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했다.유럽 지역은 피부미용에 관심이 많은 수요자가 많아 잠재시장 규모가 매우 큰 매력적인 시장으로서 클래시스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Ultraformer MPT를 유럽의 선진 시장에 성장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고 , 스페인과 터키를 기점으로 유럽에서의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클래시스는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성장률 31%,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연평균성장률 39%로 꾸준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비올은  피부미용 의료기기 '실펌엑스'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얻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의료기기에 대한관리와 감독기관으로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유사한 기능을 맡는다. 중국 내 수입 의료기기와 화장품, 유아용 분유, 건강식품, 특수 의료용 목적 식품, 의약품과 의약품 원료, 의약품 원성분, 의약품 포장재 등은 NMPA로부터 승인을 받은 뒤 판매가 가능하다.비올은 주력 장비인 '실펌X'의 중국 NMPA 승인을 획득함으로서 2024년  2분기부터 중국향 미용기기 장비 매출 발생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비올은 2022년 중국 시후안제약그룹과 실펌X 관련 5년간 18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에따라 해당 매출이 올 2분기부터 실적에 반영되는 것이다.이와 함께 비올은 2023년 3월 마이크로니들RF 특허 침해 관련 국내외 10개 업체향 ITC 소송을 제기했고 현재 이루다, 루트로닉을 포함한 7개 업체와 합의한 상황이다. 현재 7개 업체와 중도 합의를 한 것만으로도 비올의 기술적 해자는 충분히 입증했다는 평가다.비올 특허 존속기간이 2036년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기술 관련 이슈없이 북미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확대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됐다.비올이 올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중국과 브라질을 포함한 신규 국가 진출과 신제품 출시 모멘텀이다. 지난해 말 실펌X 인증 획득으로 브라질 시장 진출이 시작됐고 올해 하반기부터 출하 물량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소식에 비올 주가가 급등세를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제이시스메디칼 은  피부미용 디바이스  ULTRAcelQ+ 집속초음파(HIFU), POTENZA (RF)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자사쇼핑몰(온라인), 국내병원 직판, 국내 대리점을 통해 판매하며 해외에서는 해외 법인 직판 및 대리점으로 판매 경로를 구축하고 있다. 온라인 웹 세미나인 '웨비나(Webinar)'를 통해 전세계 여러 유저들에게 의료기기 사용법 및 임상 사례 등을 공유하며 제품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있다.연결매출액 기준으로 80%이상의 매출이 해외에서 발생됨. 지역별로는 북미와 아시아 지역의 대리점 및 당사의 해외법인향 매출이 높은 편임. 향후 트렌드의 변화 및 소비자의 니즈에 맞추어 Device 및 신규 소모품을 당사가 보유중인 기술력 및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업그레이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복수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얼마만큼 이용하더라도 장애 없이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돠 같은 종류의 기술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기술 몇 가지만 살펴본다.

 

 

 

 

 

1. 가상화 기술

 

 

 

 

 

간단히 말해 하드웨어, 저장장치 등의 물리적인 리소스의 특성들을 감추며 IT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서버 가상화를 통해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에 동시에 1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반대로 여러 대의 물리적 저장장치를 하나의 단일 논리 저장장치로 이용할 수도 있다.Resouroe Pool, Hypervisor, 가상 I/O, Partition Mobility 등이다.대표적인 기술은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다수의 다른 운영제체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을 말하는 하이퍼바이저가 있다.

 

 

 

 

 

가상화 개념도

 

 

 

 

 

 

 

Traditional Architecture

 

 

 

 

 

 

 

Virtual Architecture

 

 

 

 

 

 

 

 

 

 

2. 대규모 분산처리 기술

 

 

 

 

2000년대 이후에 인터넷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대규모(몇천 노드 이상)의 서버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만들어졌다. 바로 하둡(Hadoop: High-Availability Distributed Object-Oriented Platform)이다. 하둡은 큰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리웨어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복수의 컴퓨터를 논리적인 하나의 컴퓨팅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핵심 구성요소는 여러 컴퓨터 노드에 대용량 파일을 나누고 중복시켜 안정성을 주는 분산 확장 파일 시스템인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와 분산환경의 병렬데이터 처리기법인 맵리듀스(MapReduce)엔진이다. 페이스북, 야후 등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하둡의 핵심인 HDFS와 맵리듀스 개념도

 

최근 들어 하둡의 단점을 보완하고 메모리를 활용한 아주 빠른 데이터 처리가 특징인 스파크(Spark)가 그 뒤를 이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3. 오픈 인터페이스 기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즉,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술은 전통적으로 한 ICT 자원의 서비스를 응용프로그램에서 이용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이는 웹 서비스의 활성화와 함께 누구나 이용하여 웹의 활용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오픈 인터페이스로 확장되고 있다. 서비스의 활용성과 유용성의 증대를 위해 외부에서 쉽게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요 충족에 이바지하고 있는 것이다. SOA, Open API, Web Service 등이다.

 

 

 

 

 

4.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   서비스 신청부터 자원 제공까지의 업무를 자동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과 유연성 증가에 기여한다.

 

 

 

 

 

5. 자원 유틸리티

 

 

전산자원에 대한 사용량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기술 개념이다. 사용량 측정, 과금, 사용자 계정관리 등 이다.

 

 

 

 

 

6. SLA(서비스 수준관리)

 

 

외부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상 서비스 수준이라는 계량화된 형태의 운영 품질 관리가 필요한 서비스 수준 관리 체제 이다.

 

 

 

 

7. 보안 및 프라이버시 

 

 

 

외부 컴퓨팅 자원에 기업 또는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이 주요한 이슈로 부각 된다.   방화벽, 침입방지기술, 접근권한 관리 기술 등 이다.  

 

 

 

 

 

 

8. 다중 공유 모델 

 

 

 

 

하나의 정보자원 인스턴스를 여러 사용자 그룹이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사용하는 모델,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를 제공하는 데 필수 요소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방식

 

 

▶보안 및 운영 방식 등을 고려하여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1.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클라우드 사업자가 구축해 놓은 시스템에 다수의 기업 혹은 개인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이다.


2.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 기업 전용 환경을 구축하여 컴퓨팅 리소스를 기업이 원하는 대로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적절하게 혼합, 연계시켜 활용하는 형태이다.

 

 

▶이밖에, 기업 공동으로 클라우드 시스템을 형성하여 운영하는 형태인 커뮤니티 클라우드(Community Cloud)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동향

 

대표적인 클라우드 사업자로는 2006년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AWS(Amazon  Web Services)를 비롯하여, 자사의 다양한 제품군을 클라우드와 연계시켜 놓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인공지능이나 맵(map) 등을 서비스 중인 구글 클라우드 등이 있다.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 및 국내의 네이버, KT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클라우드 컴퓨팅 관련기업으로는 다우기술,케아이엔액스, 가비아, 안랩, 등이 있다.한편, 정부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법(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에 걸친 기본 계획 수립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기반 조성 및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클라우드컴퓨팅과 빅데이터

 

 

 

빅데이터와 클라우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O'Reilly Radar Team, 2012).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서버를 통한 분산처리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분산처리는 클라우드의 핵심 기술이기 때문에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기술은 서로 보완적이다.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은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다. 그 중에서 아마존과 구글은 빅데이터 원천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한 기업으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외부에 제공하게 되었다.구글은 인터넷 검색 서비스가 핵심인 기업으로 검색 서비스의 성능 개선과 이를 위한 데이터 센터의 설비 증강이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예를 들어 구글의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글 앱스는 이메일 기능(Gmail)과 문서도구(Google Docs), 데이터 연산 기능(Google Spreadsheet)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저장용량과 처리 성능을 지속적으로 늘려야 하기 때문에 세계 각지에 데이터센터를 계속해서 건설해야 한다. 구글의 데이터센터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서버도 직접 만들어 저비용 설비 구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벨기에에 있는 데이터센터는 야외 컨테이너 박스에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망가진 서버는 수리하지 않고 파기한다. 설비 장소도 벽지나 한랭지를 선택한다.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효율적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전력관리와 발전소 사업에도 진출했다. 이렇게 구축한 거대 인프라 일부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게 되었다.구글은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인 빅쿼리(Big Query)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빅쿼리는 온라인분석처리(OLAP) 시스템으로 테라바이트(TB)급의 대용량 데이터를 구글 검색엔진 인프라로 실시간 분석하며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함께 이용할 수 있다. 구글의 예측 프로그램(Google Prediction API)은 기계학습을 통해 일정한 데이터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예측결과를 제공한다. 스팸메일을 판단해 삭제하거나 자동차의 운행 경로를 찾아 주는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아마존은 인터넷 서점으로 출발한 기업으로 서적 검색과 추천 기능을 통해 성장했다. 아마존은 서적뿐 아니라 방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대량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러한 설비는 최대치를 기준으로 설계되므로 평소에는 다른 기업에게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게 된 배경이 되었다.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저장 장치를 빌려주는 S3(Simple Storage Service), 데이터베이스를 빌려주는 심플DB(SimpleDB), 서버를 빌려주는 EC2(Elastic Computing Cloud)가 있다. 빅데이터 분석용 프로그램으로는 EMR(Elastic Map Reduce)이 있다.마이크로소프트는 컴퓨터에 운영체제(OS)를 설치하는 사업모델로 성장해온 기업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대척점에 서 있었다. 따라서 윈도어주어(Window Azure) 서비스는 기존의 사업모델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윈도 기반과 클라우드 기반을 연계하는 혼합형 서비스 전략을 지향하고 있다.

 

 

 

 

 

 

◐이슈주제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처리를 인터넷 서버 상에서 처리하는 기술이다. 생성형 AI 등장으로 글로벌 빅테크들 클라우드 투자 확대 되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도  2026년까지 연평균 15% 성장 전망되는 클라우드 시스템은 인터넷상의 서버(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안에서 바로 쓰고, 읽기가 가능한 기술을 의미한다.클라우드 시스템은 IT 자원의 활용을 통한 효율성 향상 목적으로 도입되고,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의 기초 인프라로 클라우드 부각되고 있다.빅데이터의 수집·저장·분석이나 인공지능의 개발을 위해 방대한 IT 자원을 개별기업들이 별도로 보유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클라우드는 시간, 장소, 접속기기 등에 따른 사용제약이 없고 급격한 이용량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클라우드는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도약이 전망되고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요구하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강력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컴퓨팅 기능에 최적화된 솔루션과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가 필요하게 된다.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라 글로벌 빅테크들은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클라우드 산업 확장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정부는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하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인프라(기반 시설)을 구축하겠다고 발표(2023.10.24)하였다. 범정부 기관별 '클라우드 네이티브(설계부터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유연한 구조와 단절없는 서비스 구현) 전환을 추진하고  또한 공공부문의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용을 위해 제도 정비와 클라우드 민관 협력체계 구축 등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IDC에 따르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2027년까지 연평균 25% 증가해 약 63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15.5% 성장해 시장규모가 3조614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관련 종목을 살펴보자면 가비아는 호스팅, 솔루션, 클라우드, 보안사업까지 전영역에 걸친 인터넷 인프라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자회사인  케이아이엔엑스 지분 46.3%를 보유(2021.03.31 기준)하고 있다.케이아이엔엑스는 인터넷 회선 연동서비스 사업인 IX(Internet eXchange, 인터넷 교환노드)사업과기업의 전산시설을 위탁 관리하는 IDC(internet data center, 인터넷데이터센터)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이다. 클라우드 전용 플랫폼 '클라우드 허브'를 통해 게임, 금융, 항공, IoT 등의 기업고객에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폴라리스오피스는 모바일 오피스 솔루션제품 공급업체로, 클라우드 오피스인 '폴라리스 오피스' 출시하였다.더존비즈온는 국내 세무회계용 ERP(전사적자원관리) 분야 1위 기업이다. 클라우드 기술이 결합된 ERP 개발로 성장동력 확보 중이다.한글과컴퓨터는 클라우드 기반의 오피스 프로그램인 '네피스24' 출시해 글로벌 시장 공략하고 있다.솔트룩스는 자체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AI 서비스 제공 사업 영위하고 있다. 현대차 신차반응 분석, 일본 DNP( 일본 최대 종합인쇄회사)에 AI컨텍센터 솔루션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등의 레퍼런스 보유하고 있다.포시에스는 전자문서와 리포트 솔루션 업체로, 클라우드 기술이 적용된 솔루션 개발하였다.데이타솔루션은 데이터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서 데이터(빅데이터 솔루션 등), 인프라(클라우드 포털 솔루션 등), 서비스(ICT 컨설팅과 IoT 기반 서비스) 등 3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삼성에스디에스는 삼성그룹 계열의 IT서비스 업체로서 기업 고객에게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부터 마이그레이션, 효율적인 통합 운영까지 End-to-End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CSP, MSP, SaaS 솔루션 등 3개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진행 중이다.지엔씨에너지는 비상발전기 전문 제조사로, 금융기관 및 글로벌 IT기업들의 데이터센터(IDC)에 들어가는 비상발전기 분야 성장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온디바이스AI(On-device AI)  (0) 2024.04.15
9.K-뷰티 트렌드 미용의료기기  (0) 2024.03.25
7.웰니스와 바이오/미래산업핵심  (0) 2023.07.01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웰니스와 바이오/미래산업핵심

 

 

 

 

 

 

 

 

1. 웰니스

 

 

 

 

 

 

웰니스(Wellness)는 건강의 재 정의로서 더 나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얻기 위해 일상에서 매일 건강한 습관을 실천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웰니스는 단순히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잘 성장하고 유지하는 몸과 마음의 상태이다.글로벌 웰니스연구소(GWI)는 웰니스를 "포괄적인 건강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활동, 선택, 라이프 스타일의 적극적인 연구 및 노력"으로 정의한다.웰니스느 행복한 상태, 건강한 상태와 같은 안간의 정적인 상태만을 의미하기 보다는 최적의 포괄적인 건강 상태와 웰빙에 대한 개개인이 인지하고 스스로 선택을 해나가는 적극적인 행위와 연관되어 있다. 여기에는 사회적 유대감 , 운동,영양,수면,마음의 안정 등과 같은 라이프 스타일의 핵심영역들이 포함된다.과거에 웰니스는 피트니스나 스파 산업과 같이 특정분야로 한정되었지만, 현재는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연결되면서 인간의 생활 전체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이해되고 있다.이러한 변화에 따라 전 세계의 웰니스 경제 성장율이 GDP 성정율을 지속적으로, 또한 월등하게 앞지르고 있기 때문에 웰니스 산업의 중요성은 더욱 더 높아 질 것으로 전망되느데, 이는 신체적, 정신적행복에 대한 관심은 이미 높은 수준이지만 정부와 기업, 개들 사이에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이러한 양상이 코로나19 이후로 중하위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로 예방, 건강, 자기개발 코칭, 조직 및 교육 프로그램, 피트니스,디이어트, 미용, 여행 및 부동산을 포함한 웰빙 가능성의 가치는 더욱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건강'을 최우선의제로 올려 놓았다.특히 코로나19는 소바자 운동의 빠른 변화를 주도하는 웰빙과 웰니스 산업에서 사전 예방적 접근방식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이로 인해 사람들은 점점 더 가치있는 웰니스와 그렇치 않은 것을 구분하고자 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웰니스는 본질적으로 소비산업과 직결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웰니스 산업이 전통의학이 잘 대처하지 못했던 예방, 생활관습의 변화,정신적건강 등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한다.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기 전부터 소비자들은 이미 건강과 웰니스 산업, 새로운 웰빙 트렌드와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지만, 코로나19는 이 모든 경험을 집 안에서 하는 것으로 변화시켰다.여기에 자기개발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의 욕구, 기술및 광대역 접속의 증가로 소비자들이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경제적 지출을 늘릴 수 있도록 가정에서 자녀 수, 그리고 정신적 건강으로의 관심이동 등이 바로 미래 웰니스 경제의 핵심이자 미래의 중요한 소비생활의 중심이 될 것이다.

 

 

 

 

 

 

 

 

 

2. 바이오 경제

 

 

 

 

 

 

바이오 경제는 인간의 식량과 동물 사료를 포함한 모든 바이오매스 관련 응용분야를 포함한다.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에서 재료, 화학, 에너지의 기본 구 성요소를 도출하는 경제로 정의할 수 있다.OECD의 정의에 따라 바이오경제는 바이오매스를 식품, 재료, 화학,연료로 전환함으로써 생명공학과 생명과학이 1차 생산과 산업에 중심적으로 기여하는 일련의 경제활동이다.바이오 기반 경제는 비식품 분야에서 화학연료의 사용에서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의 사용으로의 전환에 초점을 맞춘 광범위한 바이오 경제의 한 부분이다.EU는 웹사이트에서 바이오 경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바이오 농작물,숲, 물고기, 동물, 미생물 등 육지와 바다에서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식량,물질,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제의 일부분"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비이오 경제 개념은 생명공학을 넘어섰고, 향후 정첵은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하는데 , 에너지, 운송, 산업 생산에서 일어나고 있는 광범위한 전환이 모두 여기에 포함되어야 한다.

 

 

 

 

 

 

 

 

 

TEConomy.BIO는 2020년 보고서에서 바이오 과학산업을 다음과 같이 5가지 핵심 요소로 분류했다.

 

 

 

 

 

①. 농업 공급 원료 및 산업 생물학

 

 

 

 

농업가공, 유기 화학 제조 및 비료 제조에 종사하는 생물학 하위 부분은 에탄올과 바이오 연료 생산에 대한 산업 활동을 포함 한다.

 

 

 

 

 

②.생명과학 관련 보급

 

 

 

 

 

제약,의료 기기 및 농업 생명 공학에 걸친 생명 과학 관련 제품. 생명 과학 분야의 유통은 냉장보관, 고도로 규제된 모니터링 및 추적, 자동화된 약물 유통시스템을 포함한 전문기술의 배치가 전제된다.

 

 

 

 

 

 

 

③.의약품 및 조제약

 

 

 

 

생물학적 의약품 및 조제약의 개발과 생산,진단 물질의 제조

 

 

 

 

 

 

④. 의료 기구 및 장비

 

 

 

 

수술, 의료 기기 및 소모품, 실험실 장비, MRI 및 초음파 장비를 포함한 전자 의료 장비, 치과 장비 및 소모품의 개발 및 제조

 

 

 

 

 

⑤. 연구, 테스트 및 의료 실험실

 

 

 

 

 

생명 공학 및 기타 생명 과학, 생명과학 테스트, 실험실 및 의학 실험실에서 연구 개발에 종사하는 기업.계약 및 임상 R&D조직 포함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사회경제시스템의 회복력 부족을 부각시켰다.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손실과 다른 자연 자본과의 연관성 그리고 그 연결고리들이 인류의 건강과 경제에 미치는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도 명백하게 드러났다.현재 인류가 의존하고 있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인 자연 자본은 악화되고 있다.정부와 산업계가 이러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 적극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다면 바이오 경제는 코로니19를 극복하고 회복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이미 전 세계의 수많은 바이오 기반 산업은 코로나19 시대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고,  타 산업분야와 달리 탁월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지향적인 비젼을 가진 이 분야가 세계 경제 회복의 원동력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9.K-뷰티 트렌드 미용의료기기  (0) 2024.03.25
8.클라우드 컴퓨팅  (0) 2024.03.13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제대혈/조혈세포

 

 

 

 

 

 

 

 

​출산 시 태반과 태줄에 있는 혈액을 제대혈 이라고한다.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 등을 만드는 조혈세포를 다량함유하고 있고, 연골과 뼈,근육,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도 갖고 있어 백혈병과 혈액암,심근경색증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88년 프랑스에서 판코니빈혈(백혈병과 척추기형을 동반하는 빈혈)을 앓고 있는 5세 남자아이에게 처음으로 이 혈액에서 뽑은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성공하였다. 특히 골수 구할 수 없는 백혈병 환자에 대한 새로운 혈액암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자신이나 가족의 백혈병과 암·혈액질환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골수를 이식하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고 수술성공률도 높다.심근경색증과 퇴행성관절염,알츠하이머병 등의 치료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 때문에 제대혈을 초저온 상태로 보관해 두는 제대혈은행이 운영되고있고, 제대혈 관련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제대혈 관련주

 

 

녹십자 /녹십자셀/녹십자랩셀/차바오텍/메디포스트/에에치엘비/세원셀론텍

 

 

 

 

◈반드시 실적기업을 관심종목에 편성하고 기술적분석을 MUST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8.클라우드 컴퓨팅  (0) 2024.03.13
7.웰니스와 바이오/미래산업핵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3.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0) 2023.06.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5G(5세대이동통신)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 많다. 이전의 CDMA(2세대), WCDMA(3세대), LTE(4세대)가 휴대폰과 연결하는 통신망에 불과했던 반면에, 강점인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을 통해 휴대폰의 영역을 넘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자율주행,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과 연계해 스마트 팩토리, 원격의료, 무인배달, 클라우드·스트리밍 게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당초 일정보다 앞당겨 (2019. 4. 3.) 세계 최초로 5G를 개통, 상용화하여 4차혁명의 불길을 앞당기는 계가가 되었다.

 

 

 
 
광네트워크장비
교환장비
다산네트웍스/이터넷스위치,FTTx솔루션
유비쿼스홀딩스/유선인터넷,데이터전송장비
에치에프알/5G-PIN
광모듈
오이솔루션/광통신모듈BIDI,DUPLEX
쏠리드/5G-PIN,5G-MUX장비
우리로/광분배기,광다이오드
광소재
대한광통신/광섬유,광케이블
이노인스트루먼트/광섬유융착접속기

 

 

 

 

 

관련주/PI첨단소재/케이엠더블유/서진시스템/SK텔레콤/LG전자/KT/이노와이어리스/오이솔루션/삼지전자/에치에프알/RFHIC/이수페타시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웰니스와 바이오/미래산업핵심  (0) 2023.07.01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3.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0) 2023.06.30
2.탄소배출권  (0) 2023.06.2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ESS(에너지저장장치)

 

 

 

 

 

 

 

 

 

 

ESS(에너지저장장치)는 전기를 대용량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여 전력이용 효율을 높혀주는 시스템이다. ESS를 활용하면 태양광,풍력 등 청정에너지 활용도를 높히고, 불규칙한 출력을 양질의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주요 에너지 강국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집중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각한 기후변화로 화석연료에 제약이 많아지면서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스테이션, 마이크로그리드, 전기자동차 등 새로운 시장과 산업이 우리 곁에서 이미 창출되고 있으며, ESS는 이러한 기술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주파수조정용으로 서안성 변전소에 28MW, 신용인 변전소에 24MW를 각각 설치하여 ESS시장 문을 열었다.이를 계기로 시장이 형성되면 기술개발이 기대될 수있을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응용상품 개발도 가능하고, 이미 많은 기업이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가격도 매년 10% 정도씩 낮아지고 있다. 국내 배터리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지만 충전시간과 부피를 줄이고, 출력을 높이는 기술력과 다양한 상품에 응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릉 위해 리튬이온 배터리 등 새로운 기술소재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것이고, 배터리소재기술과 전력변환시스템(PCS)의 전력기술이 융합되어 다양한 상품개발이 이루어져서 시스템 통합소프트파워기술로 미래산업을 주도하여여 한다. 향 후 청정에너지원을 활용한 분산전원으로 에너지자립이 창출된다면 원전과 송전탑도 없앨 수 있고, 도서지역에는 디젤발전기의 검은연기와 시끄러운 소음이 사라지게 될것이다. ESS는 초기 투자비가 많이드는 신기술사업이지만 에너지 신시장개척을 위해서는 선제적대응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시장선점의 골든타임을 놓친다면 국가경졍력은 멀어져 갈 것이고, 새로운 먹거리 시장에서도 배제되어 기업의 신성장 동력 역시 약화되는 재앙이 될것이다.

 

 

 

 

 

 

ESS전력망연계/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

 

 

 

 

 

한국전력이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국가 전력인프라에 처음으로 연동시켰다. 그 첫 역할로 주파수조정(FR)을 맡겼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송배전 할 때 전력망 본체에 흐르는 주파수와 발전된 전기 주파를 ​최대한 맞춰야 전력손실을 줄이고 송배전 안전성을 높힐 수 있다. 주파수 격차가 크거나 조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력연동이 불안하게되어 정전상태를 야기시키게 된다. ESS는 여러 개의 배터리를 묶어 안정적 전력저장과 필요할 때 방전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플랫폼은 여러 산업이 뛰어 놀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무대로 만들어야 한다. 플랫폼은 진화하고 발전하면서 신산업의 성장축을 형성시켜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나갈 무기가 될것이다.

 

 

 

 

ESS관련주

 

 

OCI/LS ELECTRIC/효성중공업/한국아스트라BX/포스코ICT/피앤이솔루션/피엔티/파워로직스/세방전지/비나텍/옵니시스텍/누리텔레콤/영화테크/씨아이에스/아모그린텍

 

 

 

 

 

○ 반드시 실적이 수반되는 기업을 관심종목에 편성하고 기술적분석을 병행/MUST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3.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0) 2023.06.30
2.탄소배출권  (0) 2023.06.20
1.4차혁명시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0) 2023.06.17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복제약(generic)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바이오신약과는 대조적으로 특허가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을 대상으로 동일하게 개발하는 바이오의약품이라 할 수 있는데, 바이오시밀러는 동등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복제약과 유사하다. 그러나 화학합성 의약품의 경우 오리지널 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이 업계에서 널리 인정되지만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생산에 사용되는 벡터, 세포주, 분리정제공정 등 제조공정에 따라서 단백질의 3차 구조, 당쇄화 정도, 불순물의 함유 정도 등 의약품의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복제약과는 구별되는 약품이다.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세포·조직·호르몬 등의 유효물질을 이용하여 유전자재조합 또는 세포배양기술을 통해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개발한 의약품인 바이오의약품(생물의약품; 생물학적제제·유전자재조합의약품·세포배양의약품·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등)의 복제약(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모방하여 만든 약품)을 뜻하는 말이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는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 동등한 품목·품질을 지니며, 비임상·임상적 비교동등성이 입증된 의약품이다. 화학 합성의약품 복제약(제네릭, generic)의 경우 오리지널 약품의 화학식만 알면 쉽게 만들 수 있고, 화학반응에 이변이 없어 오리지널 의약품의 공정과 똑같이 생산된다. 반면 살아있는 단백질 세포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아무리 염기서열이 동일한 의약품을 개발하려 해도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하여 특성 분석이 어렵고, 배양배지·배양온도·배양크기에 따라 매우 민감하여 오리지널 약품과 똑같은 복제약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단지 유사한(similar) 복제약을 개발할 수 있을 뿐이다. ​

 

 

 

 

 

 

 

 

/바이오시밀러의 미래

 

 

 

 

 

 

오리지널바이오 의약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약가와 합성의약품 대비 부작용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시밀러는 성장이 기대되는 미래사업이다. 신약개발 고갈과 제약업의 성장성이 한계에 부딪쳤다고 볼 때 정부의 재정부담 중가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고, 효능은 비슷하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기 때문에 2020년 까지 상당한 바이오 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비이어시밀러 산업이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국내제약사가 글로벌제약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주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헬스케어/종근당/녹십자/대웅제약/동아에스티/알테오젠/한미약품/한올바이어파마/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2.탄소배출권  (0) 2023.06.20
1.4차혁명시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0) 2023.06.17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2023. 6. 20. 10:25 신성장산업1

2.탄소배출권

반응형

 

 

 

 

 

 

 

 

 

탄소배출권

 

 

 

 

 

 

 

 

 

지구온난화 유발 및 이를 가중시키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할당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온실가스 중에서 이산화탄소가 비중이 가장 높아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교토의정서 가입국들은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 정도 감축하기로 했으며, 이를 이행하지 못하는 국가나 기업은 탄소배출권을 외부에서 구입하도록 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에너지절감 등 기술개발로 배출량 자체를 줄이거나 배출량이 적어 여유분의 배출권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으로부터 그 권리를 사서 해결해야 한다. 탄소배출권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서 발급하며, 발급된 탄소배출권은 시장에서 상품처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종류에는 AAUs(교토의정서의 감축의무국의 국가할당량), EUAs(EU ETS(유럽연합 배출권거래체제)에서 정한 할당량), CERs(CDM(청정개발체제)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 ERUs(JI(공동이행제도)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 RMUs(교토의정서의 감축의무국의 조림사업 등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 등이 있다.한편,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 중 가장 활발하게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곳은 2005년 처음 탄소거래소를 설립하여 이 제도를 시행한 유럽연합(EU)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거래소가 배출권시장을 개설해 운영해 오고 있다.

 

 

 

 

 

 

◈육불화황

 

 

대표적 온실가스의 하나로 , 대기 중 존재량은 적으나 온난화지수는 이산화탄소보다 더 큰 기체로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이다.

 

 

 

◈탄소배출권은 국제 기후변화 협약인 교토의정서에 의해 시작되고, 미국 민주당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가 건강과 생존에 대한 실존족인 위협이리며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4년간 2조 달러(약 2,404조 원)를 청정에너지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밝히고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2050년 탄소제로 목표를 제시하고 온실가스 감축 등 적극적으로 친환경 에너지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후 관련주가 주목을 받고 있다.

 

 

 

 

◐관련주

 

/에코프로에이치엔/에코프로/에코바이오/한솔홈데코/에스코넥/후성/KC코트렐/KC그린홀딩스/이건산업/휴켐스/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3.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0) 2023.06.30
1.4차혁명시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0) 2023.06.17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4차혁명시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최근 기업들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 이슈로 플랫폼이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경제계를 넘어 정치계와 사회문화계, 심지어 정부로까지 보폭을 넓혀 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승자가 독식하던 구조의 모순과 문제점이 노출되기 시작했기 때문인가? 과거 유형 자산이 기업의 주요 핵심 자원이던 시절에는 막대한 자본과 자원을 투여해 시장을 독식하고 그로부터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혈안이 되었다. 그러나 글로벌화, 정보화, 고객의 다변화 등에 따른 경쟁의 심화는 기존의 경쟁 방식에 의한 경쟁우위를 더 이상 허용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끊임없는 혁신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특히 네트워크 시대가 활짝 열리면서 독식하던 강자보다 생태계와 상생하는 착한 기업이 경쟁우위를 갖기 좋은 환경이 마련되었다. 즉, 생태계에 진정한 경쟁 원리가 상존하며 생태계와 더불어 공존할 때 더 큰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는 기본적인 경제 원리가 드러나게 된 것이다. 애플이 아이폰을 들고 나오면서 기술 혁신이 아니라 고객과 생태계와 함께하도록 하는 앱스토어(App store)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이루면서 플랫폼 혁명이 각광을 받게 된 것이다.플랫폼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는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을 상상하게 된다. 그 상상은 맞다. 사람들이 기차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승강장이 플랫폼이다. 이러한 플랫폼이 왜 지금 이렇게 각광을 받고 있는가? 그것은 플랫폼이 사람들이 기차를 쉽게 이용하듯 수요와 공급이 만나도록 하는 생태계를 형성하는 곳으로서 비즈니스 ​전략의 새로운 수단으로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환경을 플랫폼이라고 하는 경우, 이로 인해 플랫폼은 누구나 쉽게 만나 원하는 가치를 교환하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경제는 물론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플랫폼(platform)은 각각 ‘구획된 땅’  ‘형태’란 뜻의 영단어 plat과  form이 합쳐져 형성된 단어다. 풀이하자면 ‘구획된 땅의 형태’, 즉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공간이 된다.플랫폼의 성격을 규정하는 두 가지 키워드는 협력, 그리고 상생이다. 플랫폼에선 누구나 공평하며 행복하다. 다수가 저마다 뚜렷한 역할을 갖고 참여하며, 협업을 전제로 자생한다. 또한 각기 ‘다르면서도 같은’ 운명 공동체를 형성한다.

 

 

 

 

 

 

 

\플랫폼의 부상 과 트렌드

 

 

아마존, 월마트, 스타벅스 등 주요 기업들이 자신들의 핵심 역량을 외부업체들도 활용 가능하도록 개방하면서 플랫폼 활용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8년 애플의 앱스토어, 구글의 안드로이드 출시로 촉발된 플랫폼 주도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이는 PC, 스마트폰, 인터넷, 미디어 등 전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산업으로 전개되면서 플랫폼이 전면으로 부상하게 되었다.이렇게 플랫폼이 부상하게 된 배경은 고객과 사업의 다양화, 경쟁 격화, ICT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첫째, 고객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비즈니스 모델이 복잡해지면서 플랫폼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까다로워진 소비자의 요구와 다양해진 개인화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개발,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를 잘 반영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더구나 전통 산업과 ICT를 융합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진행하려면 원활하게 소통하고 정보를 교류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플랫폼이 요구된다.둘째,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한 경쟁의 격화는 기업들에게 개발 비용이나 원가 절감은 물론 품질 개선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기술의 진보와 소비자의 욕구 다양화는 제품 수명주기를 단축시켜 기업은 매년 신제품을 개발해야만 하는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자재나 부품 공급, 인프라 활용 등에 플랫폼을 공유하게 되면 제품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개발과 생산 과정에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셋째, ICT의 발전은 ICT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 하락을 가져왔고, 이는 플랫폼 구축과 운영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대, 통신 비용의 하락,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가격 대비 활용 효율의 증대 등은 개인과 조직의 정보 공유와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해 플랫폼 구축과 운영 환경을 크게 개선했다.플랫폼 기업 대다수가 설립 초기 광폭 성장에 성공할 수 있었던 건 플랫폼의 본질인 협력·상생 정신에 충실하게 운영됐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서드파티(3rd party)의 도움을 받았다. 구글은 모든 참여자에게 자사 플랫폼을 개방하는 한편, 거기서 나오는 혜택을 나눴다. ‘동등한 연결’을 앞세운 페이스북, 클라우드에 기반한 아마존 역시 그 철학 아래 성장해왔다.

 

 

 

 

 

 

 

\4차혁명과 플랫폼

 

 

인지하고 있듯이, 플랫폼 붐 조성에 불을 지핀 기업은 애플이다. 불과 몇 년 만에 애플의 플랫폼이 모바일 생태계를 장악하자 세계 1위의 휴대전화 매출을 자랑하던 노키아의 플랫폼이 몰락하고 말았다. 또 전통적으로 PC 시장에서 압도적이던 MS의 운영체제 점유율도 급격히 하락했다. 스마트폰을 포함하면 MS의 점유율은 50%도 안 된다.아이폰보다 출시는 늦었지만, 안드로이드 기반의 플랫폼은 구글의 생각대로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안드로이드는 스마트 TV나 다른 소비 가전으로 확장해 가고 있다. 뒤이어 페이스북도 승승장구하며 소셜 플랫폼 영역을 확장해 갔다. 그리고 아마존, 트위터에 이어 페이팔(결제 플랫폼), 넷플릭스(비디오 대여 플랫폼) 등 신생 플랫폼들이 승승장구하면서 플랫폼은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한 것이다. 이와 같은 흐름을 볼 때 플랫폼을 잘 구축하고 활용하는 기업이면 어느 영역이든 세계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막대한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는 비즈니스 생태계는 물론 여타의 영역에서도 우수한 플랫폼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기업이든 조직이든 성패가 좌우될 것이다.최근 플랫폼 시장의 위상은 다소 애매모호하다. 하지만 분명한 건 지금이야말로 플랫폼 변화기란 사실이다. 네트워크·단말 사업자는 말할 것도 없고 운영체제(OS)에서도 종류를 막론하고 서비스 플랫폼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소셜 채널과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이 최근 유독 두각을 드러내는 것 역시 이런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여기에 소셜 채널과 여타 플랫폼 간 연계는 4차 산업혁명기의 플랫폼을 더 빠르게 변화시키는 동인(動因)이 되고 있다.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사회를 논할 때 다수가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기술이 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유전자 편집 등이 대표적 예다. 이런 기술은 상호 연결과 데이터 교환, 예측 불가능한 융합 등의 과정을 거쳐 구현된다.‘작고 빠르며 가벼운, 그리고 단기간에 성취 가능한’ 특성은 4차 산업혁명기의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크고 강한 단위 플랫폼보다 작은 플랫폼이 주목 받으며, 소규모 플랫폼 간 결합은 보다 융통성 있고 유연한 플랫폼을 탄생시킬 전망이다. 수 년 전 미국 뉴스 웹사이트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언급한 페이스북 플랫폼 서비스 구조처럼 ‘작지만 대등한 소(小)단위가 결합, 결국 자발적 구속을 거쳐 대형 플랫폼을 이루는’ 형태가 대세로 자리 잡을 것이다.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tistory.com)↓

 

JH안소니至山백세건강노트

JH안소니와 함께 백세건강 이야기

trak22.tistory.com

 

 

 

 

 

 

 

 

 

 

 

 

 

 

 

◈JH안소니TV 바로가기↓

 

 

JH안소니TV 투자와 건강노트

건강에 대한 일상과 투자여행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제대혈/조혈세포  (0) 2023.07.01
5.5G(5세대이동통신)  (0) 2023.06.30
4.ESS(에너지저장장치)  (0) 2023.06.30
3.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0) 2023.06.30
2.탄소배출권  (0) 2023.06.2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