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지표설정 두나' 카테고리의 글 목록

반응형
지표설정 두나
반응형
반응형

 

 

 

 

 

 

◈공매도잔고와 대차잔고모니터링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들의 공매도 비중이 크다면 그 종목은 주가가 급등했거나, 아니면 실적은 성장하지는 않는데 주가만 버블인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겠다.따라서 공매도 잔고확인이나 대차잔고 확인 등은 주식투자에 있어서 그 종목의 메이저 수급동향과 함께 분위기 파악을 위해서  반드시 해보는 것을 필수적 습관으로 삼는 것이 성공투자의 길이라고 볼 수 있겠다.

 

 

 

 

 

◈공매도잔고확인은    한국거래소정보데이타시스템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을 클릭!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 대차잔고 모니터링 확인 ------->주식대차 > 종목별대차거래현황 | SEIBro 

 

SEIBro

 

seibro.or.kr

 

 

 

 

 

 

대차잔고주식이 늘어나게 되면 이는 향후 공매도 세력들이 대차한 주식을 가지고 공매도에 나설수 있는 변수가 되기 때문에 대차잔고의 중감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사전에 공매도 세력들의 움작임에 대비할 수 있다.대체체결량은 당일 빌린 주식의 수를 말한다.대체체결량  증가 감소 추세를 보면 대차잔고 수치에서는 알지 못했던 빌린 주식의 양적 증가와 흐름의 속성을 알 수 있게된다.대체체결량이 급속도로 늘어날 경우에는 대차체결을 한 투자자의 수가 급속도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게된다.그러하면 바로 현재 주가가 고평가 되었거나, 주가의 상승이 합당하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생겨나게 된다.반면에 특정일에 대체체결량이  급격하게 감소했다면  상환하는 주식이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당분간 매도세가 강하게 나올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고 분석할 수 있다.다만 대체체결량이 감소하게 되면  대체적으로 매도 흐름이 종료되고 바로 주가가 상승하는 시점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경향에는 다소 주의를 가지고 신중히 대처할 필요가 있다.대차상환량은 당일 대차한 주식을 상환한 주식의 수이다.대체체결량과 더불어 대차잔고 감소에서는 구분하기 힘든 빌린주식의 상환규모를 알게 해준다.대차상환량이 많아지면  대차잔고가 감소되고 그 만큼 공매도할 물량이 줄어들 확률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대차잔고가 증가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주식 매도세가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이 올 때가 있다.대차잔고는 단지 빌린 총 주식의 수를 나타내지만 , 빌린주식이 실제로 매도되었는지을 확증할 수는 없다.주식거래자가 수천에서 수만명이 되는데 대차잔고의 증가와 감소만을 놓고 매수세와 매도세를 확신할 수는 없는 문제이다.대차잔고비율이 높으 상황에서 대차잔고가 비교적 적게 줄어들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에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대차상환량의 추세를 보게되면 , 대차거래를 통한 주식매도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대차잔고비율은 총발행 주식수 대비 대차된 주식의  총 수의 비율을 말한다.대차잔고비율이 높은 상황에서 대차잔고가 비교적 적게 줄어들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에  해당 주식 종목에 대한 매도의 힘이 주가가 상승하면서 응축되어 주가가 고점에서 투매를 불러올 때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이는 빌린 주식의 수는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데 주가만 올라가면 대차거래자는 고점에서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대차가래에 의한 고점에서의 주식매도는 응축된 강한 매도의 힘이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져 나오게 만드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주가 고점에서의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은 서로 주식을 팔기 위해 매도를 서둘면서 주가는 점점 내리게 된다.대차가래자는 뇌동매매와 투매가 결합된 주식매도로 낮아진 주식을 다시 사서 수익을 챙기고 대체체결량을 청산하게 된다.주식대차잔거와 대차잔액의 증가, 감소 그리고 대차잔고비율의 변화, 대차주식의 양적 변화를 잘 체크하여 다른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방법이 성공으로 가는 투자전략임을 인지하고 모니터링하는 습관이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보겠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CCI (Commodity Channel Index)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한 번에 판단할수 있는 중장기지표로서 효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CCI는 +100과 -100사이에서 움직이며 CCI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더욱 강하다는 점을 이용한다. ADX가 추세의 강도만 나타내는것에 비하여 CCI는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커다란 장점이다. RSI지표, 기타 다른 기술적지표를 참고하여 함께 분석하는 방법이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위 차트에서 상단은 RSI지표, 그 아래는 CCI지표이다. 

 

 

 

 

1.기준선 설정방법

 

 

종목차트에서 지표추가 한 후 CCI지표를 클릭하고 기준선설정에서 -100 ,0, 100을 설정하여 기본값으로 저장하고 확인 누르면 된다.

 

 

 

 

2. 매매방법

 

 

 

 

◈ 매수

 

1). 0선을 기준으로 CCI가 상향돌파=강세신호/매수

2). +100을 상향돌파=추가매수 가능

 

 

 

 

 

◈ 매도

 

1). +100하향돌파시 분할매도

2). 0선을 기준으로 CCI가 하향돌파=약세신호/매도

 

 

 

 

 

◈ 초단기매매

 

+100선 상향돌파시 매수한 후 CCI이평선이 100선 하향으로 꺽이는 시점에서 매도한다.

 

 

 

◈ 중장기기매매

 

 

 

-100선돌파시 매수, +100하향돌파시 매도

 

 

실전에서 주가가 올라가고 CCI값도 증가하고 있다면 이것은 추세의 강도가 강해지는것으로 판단하고 적극 매수입장으로 보고, 주가는 올라가는데 CCI값이 횡보하고 있다면 관망하는것이 바람직하고, CCI는 직전고점을 상향돌파할때나 직전저점을 하향돌파할때가 매우 중요한 신호이므로 매수를 할 때는 CCI값이 어느정도 유지될때 고려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3. 주봉/월봉으로 분석하기

 

 

CCI의 경우 단기매매보다는 주봉/월봉으로 사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기준선을 0선으로 잡고 CCI가 0선 위에 있을 때는 상승추세로보고, 0선 아래에 있을 때는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RSI(Relative Strength Index)/추세전환단기예측지표

 

 

 

 

 

 

 

현재의 시장이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고안된것으로, 미국의 상품거래업자간에 사용되었던 것이며 주가 움직임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RSI는 0에서100사이에서 움직이고 RSI의 값이 7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로보고 매도신호, 30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보고 매수신호로 파악한다. 기간은 14일을 본다. 실전매매에 있어서는 CCI지표를 통하여 추세의 방향 및 강도를 판단한 후 RSI 지표로 파악한다면 보다 높은 확률을 얻을 수 있다.

 

 

 

 

 

1. 기준선을 이용한 매매방법

 

어떤 기간 동안에 상승 폭과 하락 폭이 같다면 RSI는 50%가 된다. RSI가 50%이상이면 계산 기간 내의 가격상승 폭이 가격하락 폭보다 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는 추세가 살아있다고 판단한다. RSI 50%을 중심선으로 설정하고 지표가 50%을 상향돌파하면 매수, 50%를 하향돌파하면 매도신호로 파악한다.

 

 

 

 

2. 기준선 설정방법

 

 

1). 상단선 70%

2). 중심선 50%

3). 하단선 30%

 

 

◈  위 차트 상단  보조지표 RSI 14를 클릭하고 기준선 설정에서 설정한다.

 

 

 

 

 

3. 과매수/과매도구간을 이용한 매매방법

 

 

◎. 매수

 

1). RSI지표의 이동평균선이 30% 상향돌파시 과매도구간으로 보고 -매수신호

2). RSI지표의 이동평균선이 50% 상향돌파시-추가매수

 

 

◎. 매도

 

1). RSI지표의 이동평균선이 70% 하향돌파시 과매수구간으로 보고-매도신호

2). RSI지표의 이동평균선이 70% 하향돌파시-추가매도

 

 

 

 

 

 

 

4. 유의 할 점

 

 

1). RSI지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CCI같은 지표를 병행하면 정확도를 높힐 수가 있다. RSI가 매수신호를 발생했더라도 CCI가 하락추세를 보인다면 바로 매수에 들어가서는 안된다.

 

 

2). RSI가 70%이상 진입했다하여 매도하거나, RSI가 30% 이하로 진입했다하여 매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RSI는 기본적으로 70%이상이나 30% 이하인 구역에 진입할 때는 1차경고 신호이며, 2차로 진입하게되면 다이버젼스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다이버젼스와 분석하는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다이버젼스(Divergence)

 

 

 

1). 주가와 보조지표가 디커플링되는것으로서, 주가의 고점은 높아지는데 RSI의 고점은 낮아지는것으로 이는 하락전환추세로 보아 매도신호로 파악한다. 반대로 주가의 저점은 낮아지고 있지만 RSI의 저점은 점차로 높아지는 것으로 이는 상승추세전환으로 보아 매수신호로 파악한다.

 

2). 이런 다이버젼스가 과매도구간/과매수구간에 발생한다면 그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5. 기존추세강화

 

 

 

RSI지표가 상승세로 전환되어 진행되다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하락으로 전환되었을 경우,그 직전에 형성된 저점위에서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면서 전 고점을 갱신하는 패턴이 나온다면 이는 기존의 상승추세를 강화시키는 전환패턴으로 파악한다. 이런 패턴이 RSI 30% 이하, 70% 이상에서 발생할 경우 그신뢰도가 더욱높아진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이동평균선 후행성 극복지표 MACD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으로서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되었다.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어느 시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게되는 가장 큰 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1.MACD의 계산

 

 

이동평균선은 실제로 주가보다 늦게 움직이는 후행성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산출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MACD는 두개의 이동평균선의 괴리도가 가장 큰 시점을 찾아내므로 이동평균선이 갖는 후행성을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는 지표로 대표되고 있다.

 

 

 

 

(1).MACD선/단기 지수 이동평균선(12일)-장기 지수이동평균선(26일)

 

(2).MACD SIGNAL선/MACD의 n일(9일)동안의 지수 이동평균

 

(3).MACD 오실레이터/MACD-SIGNAL LINE

 

 

 

 

2.MACD의 해석

 

 

 

(1)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가 일어나는 시점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시점이다.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가 일어나는 시점의 후행성을 두 이동평균선의 괴리가 최대가 되는 점을 찾아 후행성을 극복하여 이를 이용하여 매매를 한다.

 

1).MACD선이 아래에서 시그널선(MACD의 n일 지수 이동평균)을 상향돌파/매수신호

2).MACD선이 위에서 시그널선(MACD의 n일 지수 이동평균)을 하향돌파/매도신호

 

 

 

 

(2).MACD의 0선 돌파

 

 

MACD선이 0선을 돌파한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교차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가격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와 같은 시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단기적 매수와 매도시점을   포착하기 위한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

 

 
 

1).MACD선/단기 지수 이동평균선(5일)-장기 지수이동평균선(10일)

 

 

2).MACD SIGNAL선/MACD의 n일(5일)동안의 지수 이동평균  일봉상과 분봉싱에서 좀더 빠르게 메수하고 매도하기 위한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위 차트의 1번구간, 2번구간, 3번구간에서처럼  MACD와 시그널선의 골든크로스 시점에서 매수하고 데드크로수 시점에서 매도하는 단기적 투자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일봉상 세력선 기준봉 지표 

 

 

 

 

 

 

 

위 차트에서 빨간색선은 기준봉 시가선, 초록선은 기준봉 중심선, 노란색은 기준봉 종가선이다. 빨간색선 기준봉 시가선은 세력선 역할을 한다. 주가가 의미 있는 장대양봉을 만들면서 급등하는 경우 세력선과 함께 대응하는 유용한 지표이다. 빨색선 위에서 만든 장대양봉을 기준봉으로 잡고 조정시 MACD 단기적지표(5.10,5 지수)가 시그널선을 골든크로스 하고 우상향으로 전환하고,  MACD와 시그널선이 정배열 되면 단기적으로 매수해서  급등패턴을 만든 다음 시세를 분출할 때 매도하고 나오는 단기투자전략이다.주가가 상승한 후 추세대 하단선을 하향이탈하는 시점에서 매도한다.

 

 

 

 

 

세력선 기준봉 지표 만들기

 

 

 

 

1.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수식 관리자 선택(M)

 

2. 기술적 지표 클릭-사용자 지표-새로 만들기-지표명/일봉상 기 준봉

 

 

 

3. 수식

 

 

1). 수식 1 : 기준봉 시가

 


               A=Valuewhen(1, dayclose()>predayclose()*m, dayopen());  입력

 


2). 수식 2 : 기준봉 중심

 


               A=Valuewhen(1, dayclose()>predayclose()*m, dayclose());  

               B=Valuewhen(1, dayclose()>predayclose()*m, dayopen());

               (A+B)/2      입력

 

 


3) 수식 3 : 기준봉 종가

 


               A=Valuewhen(1, dayclose()>predayclose()*m, dayclose());  입력

 

 

 


4). 지표 조건 설정


               m 1.15

 

m

1.15

   

 

 

 

 

 

 

 

5). 스케일/가격에 체크-수식 검증(이상이 없습니다)-작업 저장-닫기

 

 

 

 

 

 

2.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지표 겹치기-해당 지표 선택하고 적용 클릭-Y 측 표시방법에서-다음 지표와 y측공유/해당 종목을 클릭-확인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장중단 추세선

 

 

 

 

◇ 장기추세선/추세의 장기파동

◇ 중기추세선/추세의 중기파동

 

◇ 단기추세선/추세의 단기파동

 

 

 

1.월봉/롱텀추세

 

 

 

 

월봉상에서 연 한하늘 색선은 보조지표인 단기 추세선이다. 차트에서 주가가 빨간색 주가 추세대 하단을 이탈하지 않는 한 이 보조지표 추세선은 계속하여 직선을 긋는다. 따라서 상승추세는 계속하여 진행된다. 

 

 

 

 

 

 

2.주봉/중기추세

 

 

 

 

주봉상 노란색은 보조지표 중기 추세선/청색은 장기추세선이다. 중장기 파동을 나타내는  이 보조지표 추세선이 위/아래로 길을 바꾸지 않고 계속하여 직선을 긋는 동안은 주가가 진행되는 추세를 거슬리지 않고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단기적으로는 연한 하늘색 단기 추세선이 주가의 조정을 밑에서  계단식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주가가 이 단기 추세선을 이탈하더라도  상승추세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대 하단을 이탈하지 않는 한 중장기 추세선은 직선을 긋게 된다.

 

 

 

 

 

 

 

3.일봉/단기추세

 

 

 

일봉상에서 차트 하단에 있는 청색 보조지표 장기추세선의 파동은 아주 길게 직선을 긋고 있다가 주가가 TRIX 고가선에서 막히자 하락을 하면서 위로 수직선을 긋고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장기 추세선이 이어서 밑으로 길을 열면서 단계적으로 하락한다면 하락 추세는 추가로 진행돨 것이나 다시 수평으로 직선을 긋는다면 눌림후에 상승추세를 진행할 수 있다. 장기추세선 위로 중기 파동을 그리는 중기 추세선/단기 파동을 그리는 단기 추세선의 파동도 같이 파악하여  주가의 상승/하락 추세 파동을 예측 대응할 수 있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장기추세선

 

 

 

 

 

 

위 차트에서 청색 수평선이 일봉상에서 중단기 추세선보다는 더 긴 장기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장기추세선이다. 주가가 장기추세선의 수평선 위에 있는 동안은 주가의 장기적 추세 파악이 가능하다. 주가의 상승세가 꺾여서 하락세 또는 횡보를 보이면 장기추세선의 모양은 위로 수직선을 긋고 올라가게 된다. 다시 주가가 눌림을 끝내고 재상승을  하는 경우 장기추세선은 수평선을 긋게 된다.

 

 

 

 

1. 지표 만들기

 

 

1). 키움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수식 관리자(M) 선택

 

2). 기술적 지표-사용자 지표 선택 후-새로 만들기

 

3). 지표명/장기추세선

 

 

4). 수식 1/장기추세선

 

LowestSince(1, CrossDown(Trix(Period),0), C)

 

 

 

 

 

 

 

◎. 참고/ 이 수식은 TRIX저가 중심선 수식과 같다. 따라서 TRIX가격선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TRIX저기중심선이 바로 장기추세선 역할을 하게 된다.

 

 

 

 

 

 

 

5). 지표 조건 설정

 

period 12

 

 

 

6). 라인 설정/색상, 두께 선택

 

7). 스케일/가격 체크

 

8). 수식 검증 누르고 "이상 없습니다"- 저장하고 닫기

 

 

9). 해당 종목 차트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지표 겹치기 선택-지표/추가 전환-기술적 지표에서-장기추세선 입력-해당 글을 찾아서 선택ㅡy 측 표시방법-다음 지표와 y측공 유선택-해당 종목 선택-차트에 나타나게 된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지표설정 두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봉상 세력선 기준봉지표  (0) 2021.10.08
5.지표설정 장중단추세선  (0) 2021.10.05
3.지표설정 중기추세선  (0) 2021.09.30
2.지표설정 단기추세선  (0) 2021.09.29
1.피보나치가격선 고점추세선  (0) 2021.08.24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중기추세선

 

 

 

 

 

위 차트에서 노란색 수평 직선우(초록색원)이 주봉상에서  중기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중기 추세선이다.주가가 중기추세선의 수평직선 위에 있는 동안은 상승/횡보하다가 , 중기 추세선이 상하로 수직선을 그으면 주가가 하락 하다가  눌림목을 형성하면서 다시 수평직선을 그으면 주가는 다시 상승을 준비할 수 있게돤다. 그러나 주가가 수평선 위에서 횡보하다가 중기추세선을 하향이탈하면서 아래로 수직선을 긋는 동안은 주가도 추세 하향한다. 이 중기추세선이 수직선을 멈추고 다시 수평선을 그으면 주가는 바닥을 다지면 주가의 하방경직성이 강하게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주가의 움직임만 보면은 쉽사리 추세전횐을 예측하기 어려우나 중기 추세선과 함께 분석하면 추세전환을 예측할 수가 있다.

 

 

 

 

 

1. 지표 만들기

 

 

1). 키움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수식 관리자(M) 선택

 

2). 기술적 지표-사용자 지표 선택 후-새로 만들기

 

3). 지표명/중기 추세선

 

 

4). 수식 1/중기 추세선

 

LowestSince(1, CrossDown(RSI(Period),50), C)

 

 

 

 

5). 지표 조건 설정

 

period 14

 

 

 

 

6). 라인 설정/색상, 두께 선택

 

 

7). 스케일/가격 체크

 

 

8). 수식 검증 누르고 "이상 없습니다"- 저장하고 닫기

 

 

9). 해당 종목 차트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지표 겹치기 선택-지표/추가 전환-기술적 지표에서-중기 추세선 입력-해당 글을 찾아서 선택ㅡy 측 표시방법-다음 지표와 y측공 유선택-해당 종목 선택-차트에 나타나게 된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지표설정 두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봉상 세력선 기준봉지표  (0) 2021.10.08
5.지표설정 장중단추세선  (0) 2021.10.05
4.지표설정 장기추세선  (0) 2021.09.30
2.지표설정 단기추세선  (0) 2021.09.29
1.피보나치가격선 고점추세선  (0) 2021.08.24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 설정  단기 추세선

 

 

 

 

 

 

위 차트에서 갈색선이 일봉상에서 주가의 단기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단기 추세선이다. 주가가 단기추세선 위에 있는 동안은  상승/횡보하다가  단기 추세선을  하향 이탈하는 경우 단기 매도신호이다. 주가의 움직임만 보면은 쉽사리 추세전환을 예측하기 어려우나 단기 추세선과 함께 분석하면 추세전환을 예측할 수가 있다. 일봉상에서의 매매기준 중심선은 초록색 60일 지수 이평선이다. 노란 박스권 고점으로부터  주가가 하락 추세대를 벗어나는 구간에서 60일선이 우상향 하는 초기에 주가가 60일선/단가 추세선 위를 타고 가는 시점에서 매수하고 단가 추세선을 횡보/이탈하는 경우 매도하는 단기투자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표 만들기

 

 

 

 

1). 키움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수식 관리자(M) 선택

 

 

 

2). 기술적 지표-사용자 지표 선택 후-새로 만들기

 

 

 

3). 지표명/단기 추세선

 

 

 

4). 수식 1/단기 추세선

 

Valuewhen(1, crossup(C, envelopeup(period, percent)), (C+H+L)/3)*0.994

 

 

 

 

5). 지표 조건 설정

 

period    6

percent   1.5

 

 

 

 

 

6). 라인 설정/색상, 두께 선택

 

 

 

7). 스케일/가격 체크

 

 

 

8). 수식 검증 누르고  "이상 없습니다"- 저장하고 닫기

 

 

9). 해당 종목 차트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지표 겹치기 선택-지표/추가 전환-기술적 지표에서-단기 추세선 입력-해당 글을 찾아서 선택ㅡy 측 표시방법-다음 지표와 y측공 유선택-해당 종목 선택-차트 겹처 나타나게 된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지표설정 두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봉상 세력선 기준봉지표  (0) 2021.10.08
5.지표설정 장중단추세선  (0) 2021.10.05
4.지표설정 장기추세선  (0) 2021.09.30
3.지표설정 중기추세선  (0) 2021.09.30
1.피보나치가격선 고점추세선  (0) 2021.08.24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피보나치 가격선 고점 추세선

 

 

 

 

 

 

위 차트에서 TRIXR고가선을 뛰어넘는 또 하나의 고점선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고가선만을 사용한다. TRIX고가선을 뚫고 돌파하더라도 피보나치 고가선에서 거의 세력들이 차익실현을 하기 때문에 고점의 징후가 농후하다고 볼 수 있겠다.

 

 

 

 

1. 피보나치 가격선

 

 

최고점과 최저점을 파악하여 목표가를 설정하고 매수/매도에 유용하게 적응하기 위해 사용한다.

 

 

 

1).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기술적 지표-사용자 지표-새로 만들기-지표 이름(피보나치 가격선)

 

①. 수식 1=고점추세선

 

HH = Highest(H, 기간);LL=Lowest(L, 기간);HH

 

②. 수식 2=저점추세선

 

HH = Highest(H, 기간);LL=Lowest(L, 기간);LL

 

 

 

 

2). 지표 조건 설정

 

기간 60

 

 

 

3). 라인 설정

 

 

 

4). 스케일/가격체크-수식 검증-이상 없습니다-저장-닫기

 

 

 

 

2. 종목 차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지표 겹치기-다음 지표와 Y측공유-해당 종목 클릭-확인

 

 

 

3. 모든 차트에 적용 가능

 

 

 

 

 

 

 

 

 

 

 

 

 

 

 

 

 

 

 

 

 

 

 

 

 

 

 

 

반응형

'지표설정 두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봉상 세력선 기준봉지표  (0) 2021.10.08
5.지표설정 장중단추세선  (0) 2021.10.05
4.지표설정 장기추세선  (0) 2021.09.30
3.지표설정 중기추세선  (0) 2021.09.30
2.지표설정 단기추세선  (0) 2021.09.29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