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종목창고1' 카테고리의 글 목록

반응형
종목창고1
반응형

2025. 3. 23. 19:59 종목창고1

12.SK바이오팜

반응형

 

●SK바이오팜

 

 

 

 

 

 

신약개발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노바메이트 및 솔리암페톨의 성공적인 신약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뇌질환 및 수면질환 관련 신규 물질 발굴을 진행 중이다. CNS(중추신경계) 질환의 약물 개발뿐만 아니라 항암 분야에서 유효 물질을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해 연구에 매진히고 있다.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시장 판매 호조가 성장을 견인하여 연속적인 실적성장세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KOL(키 오피니언 리더) 의사들을 전담하는 기술 영업 인력과 LTC(롱텀케어) 전담 인력을 충원하고 세일즈 인센티브 구조를 개편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을 가지고있다.SK바이오팜은 신약 탄생의 전주기 즉. 라이프사이클를 하나부터 열까지 직접 해낸 이력이 돋보이는 기업이다. 물질 발굴부터 시작해 개념검증.전임상 및 임상 1~3상과 미국 식품의약국 FDA  허가신청 절차 그리고 현지 직판까지 이뤄냈다. 고부가가치가높은 뇌전증 분야에서 신약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도 차별성을 가진다. SK바이오팜은 2020년 미국에서 엑스코프리 출시 후 4년이 지난 2024년에서야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이제는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곧바로 상업화할 품목의 판권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넥스트 프로덕트’라고 호칭하고 있으며 기존 엑스코프리의 미국 현지 마케팅 조직을 활용하기 위해 동일한 중추신경계(CNS)계열 약으로 도입할 계획이다.SK바이오팜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외부로부터 신약 발굴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미국 헬스케어 전문 창업투자사인 LifeSci Venture Partners의 펀드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여 유망 후보물질 및 기술을 탐색하고 있다. 또한 엑스코프리의 매출 가속성장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 캐시카우 확보 및 차세대 3대 영역인 RPT(방사성의약품).TPD(표적단백질분해).CGT(세포·유전자치료제)기반 기술 도입을 통해 신약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일찌기 2023년 8월 TPD(표적단백질분화)에 특화된 SK 라이프사이언스 랩스사를 인수한바 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SK바이오팜실적 (단위: 억원, %, 배 ) 78,313,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3.17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650억X24.23)÷78,313,000주=51,050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329억X24.23)÷78,313,000 주=41,119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8,799원X24.23) ÷2.75=77,527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56,554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55,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56,554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충계 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2 2023 2024 2025(E)
ROE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성장률        
제무레버리지비율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

  2022 2023 2024 2025(E)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이상을양호한  기준으로 하고 있다.그러나 부채비율은 150%까지는 안정적을 평가할 수 있다.

부채비율=(자본총계x100)÷부채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전고체배터리 한농화성

 

 

 

 

 

글로벌 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대량양산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리튬황.리튬메탈.전고체 배터리 등이 상용화돼야 한다는소식이 전해지고 있다.한농화성은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의 국책과제 주관기업으로 한국 화학연구원·LG화학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테슬라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4680 배터리를 사용해 2차전지 산업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로봇부터 인공지능 AI .드론 등 첨단산업에 배터리가 활용되는 신시장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이 급성장하는 로봇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기술이 선행돼야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업계에서는 휴머노이드의 대량 양산과 상용화를 위한 마지막 허들이 배터리 기술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 2022년 AI 데이를 통해 공개된 테슬라 옵티머스의 사양을 보면 전체 로봇의 무게가 73kg이고 2.3KWh의 에너지를 갖는 배터리팩을 가슴 부위에 배치하고 있다. 2.3KWh는 일반적인 작업 환경 기준으로 2시간이면 완전 방전되는 수준의 양이다.작업 시간 동안 2시간 마다 충전을 빈번하게 한다는 건 작업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고성능의 배터리 기술이 필요함을 방증한다. 휴머노이드의궁극적인 상용화 목표는 가정용에 있다. 세대마다 1대의 휴머노이드가 보급된다고 가정한다면 결국 관건은 고용량 고밀도의 배터리 기술이 필수요건이 된다. 2.3KWh의 배터리 용량으로 테슬라 전기차에 탑재될 4680 배터리 셀의 기본 사양을 감안하면 배터리 팩 무게는 대략 10에서 12kg정도가 된다.배터리 탑재량을 늘리게 되면 무게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족 보행과 높은 자유도의 손 작업에 제약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차세대 배터리 기술 중 리튬황. 리튬메탈.전고체 배터리 등이 상용화돼야 동일한 무게로 에너지 용량을 2배 가량 늘릴수 있게 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한농화성은 농업용 화학부터 참단화학제품까지 다양한 정밀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다.사업부문별로 GE(Glycol Ethers).EOA(Ethylene Oxide Additives).EM(Emulsifier)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분자 전해질 개발에 참여하고 전고체 베터리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글리콜에테르와 계면활성제 제품의 해외 수출 증가와 내수 매출 호조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과 영업 환경 악화로 인한 매출원가 증가로 매출원가 증가하였다. 제품의 경쟁력 강화. 해외 시장 수요 증가. 전략적 제휴 및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해외 수츨이 증가였다.

 

 

 

 

 

 

 

 

 

 

반응형

'종목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SK바이오팜  (0) 2025.03.23
11.정보기술 IT비즈니스 LG씨엔에스  (0) 2025.02.15
10.신사업 AI 비지니스 SK텔레콤  (0) 2025.02.15
8.천연액화가스 LNG 관련주  (0) 2025.01.27
7.자회사 실적호조 LS  (0) 2025.01.25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정보기술 IT비즈니스 LG씨엔에스

 

 

 

 

 

 

 

 

 

 

 

LG CNS는 최근 델 테크놀로지스와 인공지능(AI) 인프라 비즈니스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델 AI 팩토리'의 개방형 생태계에 한국 AX(AI 전환) 파트너로 참여하기로 했다고 2025년2월13일 밝혔다. 양사는 델 테크놀로지스의 솔루션과 LG CNS의 AI 인프라 구축역량 등 핵심 역량을 결합해 기업의 AX를선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AI 인프라 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AI 인프라 사업을 수행하고 기술 교류도 이어간다. LG CNS는 델 테크놀로지스의 AI 인프라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델 AI 팩토리를 포함한 AI 인프라 설비와 솔루션 전문가를 양성할 방침이다. 향후 양사는 AI 인프라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AI 솔루션 및 서비스 분야로 협업 범위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LG CNS의 생성형 AI 기술 'DAP GenAI 플랫폼'과 LG AI 연구원의 초거대 AI '엑사원'을 델 AI 팩토리와 결합하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2025년2월6일 LG CNS는 2024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5조9826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 영업이익은 5129억원으로 10.5% 증가했다고 잠정집계했다. 4분기만 보면 매출은 2조2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001억원으로 1.1% 늘었다.클라우드·AI사업 매출이 3조3518억원으로 15.8% 성장하며 실적 기록경신을 견인했다. 이 매출이 전체의 56%를 차지한다.클라우드 영역에서 LG CNS는 관리형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 MSP 국내 대표로 손꼽힌다. 특히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구글클라우드 등 글로벌 클라우드인프라사업자 CSP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의 기술력도 보유하고 있다. LG CNS는 2024년  6월 국내 최초로 AWS의 '생성형 AI 컴피턴시' 인증을 확득하고 같은 해 10월에는 아시아 최초로 구글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 인증을 획득하며 우수한 역량을 입증했다.AI분야에서도 기술력과 사업역량을 바탕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고객이 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을 돕는 'DAP GenAI 플랫폼', 멀티모달 기반의 이미지 생성형 AI인 '드래그'(DRAG) 등 자체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업.은행.카드 등 금융업. 정부·공공기관 등에서 AI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AI 신사업분야인 AI데이터센터사업도 본격 추진한다.스마트로지스틱스.스마트팩토리.스마트시티를 아우르는 스마트엔지니어링사업 매출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3.7% 증가한1조 2370억원을 기록했다.시스템통합 SI.시스템운영 SM 등 전통적 정보기술 IT 서비스사업 영역에서는 1조3938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한편 LG CNS는 2025년1월 22일 싱가포르에서 세계 최대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 SAP와 아·태지역 전략서비스파트너 RSSP 이니셔티브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 RSSP는 SAP의 전략적 협력 프로그램으로 아·태지역에서 최고수준의 전사적 자원관리 ERP 역량을 갖춘 기업에 부여된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LG CNS는 아·태지역으로 클라우드 ERP사업 확대를 본격화할 계획이다.LG CNS는IT서비스 단일 사업부문으로 주요 사업은 컨설팅.시스템 통합 및 유지보수.IT 아웃소싱.솔루션.플랫폼 사업 등이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비상장 19개이다.

 

 

 

 

 

 

 

 

 

 

 

 

 

 

 

 

 

 

 

 

 

 

 

 

 

 

 

 

 

 

 

 

 

 

 

 

 

 

 

 

 

 

 

 

 

 

 

 

 

 

 

 

 

 

 

 

 

 

 

 

 

 

 

 

 

 

 

 

 

 

 

 

 

 

 

 

 

반응형

'종목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SK바이오팜  (0) 2025.03.23
12.전고체배터리 한농화성  (0) 2025.03.07
10.신사업 AI 비지니스 SK텔레콤  (0) 2025.02.15
8.천연액화가스 LNG 관련주  (0) 2025.01.27
7.자회사 실적호조 LS  (0) 2025.01.25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신사업 AI 비지니스 SK텔레콤

 

 

 

 

 

 

 

 

2024년이동통신업계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나홀로 영업이익 성장세를 보인 SK텔레콤이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AI(인공지능) 비즈니스가 성장세를 보이면서 그동안 경기방어주 혹은 배당주로라는 무거운 이미지를 벗고 글로벌 트랜드인 AI 성장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SKT가 새로운 먹거리로 선택한 AI 회사라는 성장주로서의 가능성을 보인다면 유의미한 주가 성장을 이룰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통신주들은 그동안 경기방어주와 배당주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지난해 3분기에도 국내장 하락기에는 경기방어주 성격을 드러내며 버텼고 연말에는 배당주로서의 역할에 대한 기대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SKT를 비롯한 통신사들은 현재 안정기로 접어든 5G .즉 5세대 이동통신 비즈니스와 별개로 침체된 이동통신 시장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솔루션 등 AI접목 사업모델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SKT의 경우 지난해 이동통신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기업간 거래 AI B2B 사업 매출은 같은 기간 19% 뛴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에는 AI B2B 뿐만 아니라 AI 개인비서 서비스 "에이닷'" 유료화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 거래 B2C에도 힘을 실을 예정이다.절대적인 실적 기여도가 아직 크지는 않지만 AI 관련 사업의 성장세가 주목할만하고 AI 클라우드와 AI 컨택센터 등 기업용 AI 솔루션 AIX매출은 2023년 1462억원에서 2024년 1930억원으로 32% 커졌고 AI 데이터센터 매출은 2023년 3514억원에서 2024년 3974억원으로 13% 늘었다.SK텔레콤 AI사업의 실적 성장세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마케팅 비용 및 감가상각비 등이 줄어드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올해 1분기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5440억원의 영업이익을 예상되고 있다.한편 SK텔레콤을 주축으로 한 SK그룹의 인공지능 AI로봇 사업 본격화 할 것으로 보고있다.특히 휴림로봇이 SK텔레콤과 누구(NUGU)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어 주목받고 있다.SK그룹 계열사의 지능형 공장 인텔리전트 팩토리구축에 투입될 로봇 기술을 상용화하고 향후 범용인공지능 AGI기반의 인간형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이에 SK텔레콤은 2025년 1월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ICT기술센터 내 AI 로봇 연구 조직을 서울 을지로 본사 사업부로 이전한 것으로 전해진다.지난 2021년 휴림로봇은 SK텔레콤과 누구(NUGU)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SDK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계약을 통해 휴림로봇의 ‘테미(temi)’에서도 ‘누구’의 음성인식 기반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 B2B 기업 고객들도 다양하게 테미를 활용할 수 있는 ‘누구’ 기반 맞춤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해 탑재했다.휴림로봇은 SK텔레콤과 향후에도 추가적인 콘텐츠 발굴을 위해 협업을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며 ‘누구’가 탑재된 테미의 활용성을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천연액화가스LNG  관련주

 

 

 

 

 

 

 

 

 

 

트럼트2기행정부에서는 향 후 미국산 석유구매 확대를 요구하게 될것이다.2017부터 2021년 트럼프1기 정부때에는 미국석유수입비중은 13.5% 정도이지만 이보다 훨씬 많은 요구를 해올 것이 분명하다.국내 정유산업은 중질유인 중동산에 특화되어 있다.경질유인 미국산보다 중질유인 중동산은 수송기간이 22일이 걸리지만 미국산은 50일에서 60일이 걸리기 때문에 이런 저런 비용이 더 많이 들것으로 보기 때문에 환율리스크에 가격리스크마져 겹치는 모양세이다.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둘러서 강건한 에너지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겠다.우리나라는 액화천연가스 즉.LNG수입액 세계 3위로 국제 LNG시장에서 큰손이기도 하다.사실 LNG는 우리에게 너무나도 중요한 에너지다.2024년도에 소비된 전기의 약 29%는 LNG로 만들어졌다.LNG발전은 대표적인 분산형 에너지로 재생에너지나 원전과는 달리 경직적이지 않고 유연하다.도심지역의 도시가스와 지역난방의 원료 또한 LNG가 쓰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주요수입국은 호주가 23%.카타르 19.5% .말레지아13.9%.미국이 11.6% 이다.요컨데 우리나라는 환율과 트럼프2기라는 이중고에 대비하여 미국산 석유수입확대는 최소화하고 그 대신 미국산 LNG수입을 늘리는 실리적 외교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겠다.미국도 LNG수입을 확대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타국가의 LNG수입을 줄이고 미국의 수입을 늘리주면 협상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그것이 우리나라 정유산업의 질은 높히고  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으며 LNG확대로인한 효율적인 에너지를 보급시키는 강건한 정책이 될 것으로 보겠다.트럼프2기 행정부는 미국중심의 세계질서를 재정비 하기 위하여 중국.중동.러시아 등 에너지 강국들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석유 및 가스시추를 통하여 에너지 가격을 낮추는정책을 시행하려고 하고 있다.따라서 드릴 베이비 드릴(Dril Baby Dril)이라는 석유시추를 강조하면서 알래스카 원유 및 가스 시추 규제 폐지와 액화천연가스 LNG 수출승인 재개 및 알래스카의 유전 및 가스전 규제 철회 등을 골자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하였다.미국에서 남아도는 천연가스를 수출하기 위하여 LNG운반선이 필요하게 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조선관련주가 수혜주가 될 것으로 보이고 LNG가스 액화터미널이 필요하게 되니 냉각.보냉.피팅 관련 기업들 역시 수해주가 될 것으로 보겠다.관련주에 대하여 잘 살펴보고 실적과 성장성을 분석한 후 저점매수권에서 분할매수하는 잔략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관련주

 

 

 

 

⊙조선주

 

▶HD현대중공업.HD한국조선해양.HD현대미포.삼성중공업.한화오션

 

 

⊙조선기자재

 

▶HD현대마린솔루션.HD현대마린엔진.SK오션프랜트.대양전기공업.하이록코리아.동성화인텍.한화엔진.인화정공.성광벤드.현대힘스.태광.태웅.한국카본 

 

 

 

⊙LNG

 

 

  ▶HD한국조선해양.HD현대미포조선,HD현대마린솔루션.HD현대인프라코어.GS.삼천리.한국가스공사.SK오션플랜트.삼성중공업.한화엔진.SK가스.SK.지역난방공사.동성화인텍.한국카본.비에치아이

 

 

 

 

 

◐반드시 실적을 점검하여야 한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자회사 실적호조 LS

 

 

 

 

 

전력 관련 기업들이 미국의 전력망 인프라 교체 수요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요 폭발.신재생에너지 증가.대형 화재 이후 복구 수요 등으로 시장의중심으로 떠올랐다.변압기는 고전압을저전압으로 변환해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쓸 수 있게 하거나 반대로 고전압으로 바꿔 먼 거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 시장은 건설 경기 악화 등으로 변압기 수요가 주춤하지만  미국은 노후화된 전력망을 교체하려는 수요가 많다.변압기 사업뿐 아니라 저압부터 초고압까지 생산하는 전선업체도 호황기를 맞이하고 있다.KB증권은 LS에 대해 '전력 인프라 교체 및 신규 설치 수요로 인해 LS 자회사들의 실적개선에 힙입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에싱하였다. 2025년 LS 예상 연결 매출액은 2.77조원(+4.0% YoY), 영업이익 1.05조원(+3.8% YoY)으로 추정  분석했다.LS는 LS 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다. 연결기준의 사업형태를 고려하여 전선사업부문. 일렉트릭사업부문.엠트론사업부문. 엠앤엠사업부문.아이앤디사업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다. 전선사업부문은 전선.전력.통신 등으로 세분하였고 일렉트릭사업부문은 전력. 자동화.금속.IT 등으로 세분화 되었다. LS전선의 미국 신공장이 2028년 가동되면 마진이 10%를 넘어서는 해저케이블에서만 연간 이익이 1,3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LS실적 (단위: 억원, %, 배 ) 32,200,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1.27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0,214억X7.63)÷32,200,000주=242,027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5,426억X7.63)÷32,200,000 주=128,572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59,338원X7.63) ÷3.00=405.249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58,616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21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258,616원으로 분석하였다.그러나 재무레버리지비율이 274.90%가 나와 기업의 인정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추정 목표가의 15%을 할인할 필요가 있다.따라서 수정된 최종 목표가는 219,824  원이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8.15 20.17 9.63 7.63
매출액순이익률 2.74 4.84 2.33 2.01
매출액성장률   26.65 28.55 9.24
제무레버리지비율 268.05 292.80 270.29 274.90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168.05 192.80 170.29 174.90
자기자본비율(%) 37.31 34.15 37.00 36.37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상.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부채베율은 150%까지는 안정적 기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신성장부문 집중투자로 호실적 달성 삼화전기

 

 

 

 

 

 

 

삼화전기는 콘덴서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제품의 특성별로 전해콘덴서.전기이중층콘덴서.칩전해콘덴서.하이브리드콘덴서 등 제품군으로 구별하고 있다.반도체. 전장용 등 신성장부문에 집중하여 매출 호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 감소로 영업이익도 크게 늘어났다.국내에서 유일하게 Hybrid-Cap  콘덴서를 독자적으로 개발 양산하고 있으며 미주향으로 약 5,600만 달러의 수주를 확보함에 따라 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다.전해콘덴서의 주요 기능은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원장치에 전기를 마이크로초 단위까지 저장해주는 것이다. 삼화전기는 2019년 전장용 하이브리드 콘덴서 .2021년 데이터센터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용 에스캡(S-cap) 등 고부가가치 제품 양산에 성공했다. 최근 하이브리드켑 자동차의 전동화 움직임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따라서 전장용 하이브리드캡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장부문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일본 메이저 커패시터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캡 공급 캐파(CAPA)를 2~3배 확장 중이며 삼화전기는 국내 유일의 하이브리드캡 제조사로서 3년 내 글로벌 시장의 10% 시장점유율(M/S)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최근 삼화전기는 2024년 북미향 추가 수주 확정에 따라 현재 월 300만개에서 월 1000만개로 3배 이상의 캐파를 확보하기 위해 2025년 30억원의 캐팩스(CAPEX)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고 IT는 인공지능(AI) 서버 등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에 따라 에스캡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최근 AI 서버 제조사에서 필요로 하는 기업용 SSD(eSSD)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삼화전기의 에스캡 매출은 견조한 상황이며 향후 차기 모델인 성능이 2배 향상된 에스캡Ⅱ를 국내외 여러 반도체 회사와 공동 개발하여 데이터센터에 적용할 예정으로 이와 관련된 캐팩스 투자가 2025년에 발생할 예정이고 현재 고객사들은 에스캡Ⅰ보다 2배 이상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버전에 대해서도 공급 요청을 하고 있어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된다.삼성전자는 AI 서버용에 적용되는 SSD를 3년 만에 출시하였으며 솔리다임의 ‘쿼드 레벨 셀(QLC) 고용량(60TB) Essd’이 출시됐다.SK하이닉스도 고용량 기업용 SSD의 판매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eSSD에 대한 수요가 견조함을 알 수 있어 삼화전기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돠고 있다.아울러 “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신제품이 1년 주기로 출시되면서 성능이 업그레이드될수록, 전력 소모량 역시 그에 비례해서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SSD가 전력 효율화를 시켜줄 수 있는 대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삼화전기의 성장 역시 기대되는 부분이다.

 

 

 

 

 

 

 

 

 

네오디뮴 자석 대체재로 부각페라이트(Ferrite)란 산화철에 바륨. 망간. 니켈 및 아연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금속 원소를 혼합해 만든 세라믹소이다.네오디뮴 같은 희토류를 첨가한 희토류 자석이 개발되어 등장하기 전까지는 가장 강력한 자석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저렴한 자석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디.전기차의 모터나 풍력발전 터빈은 '네오디뮴 자석'을 활용하는데 네오디뮴은 희토류에서 얻을 수 있는 소재.이다.제련·분리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심해 중국이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네오디뮴 자석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중국이 84%.일본이 15%를 차지하고 있다.최근에 발생되고 있는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 움직임으로 가격급등과 수급불안정 문제 발생이 우려되면서 희토류계 영구 자석을 대치하거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페라이트계 영구 자석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에서 미국 광물 전문매체 마이닝은 '테슬라가 차세대 전기차에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한바 있다.현재 테슬라 전기차 모터에도 일부 희토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테슬라가 희토류 대신 페라이트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에서 SSD에 S-CAP 탑재가 필수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삼화전기는  테슬라의 '페라이트'와 관련된 핵심 수혜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5년 1월 22일 미국 최대 전장업체와 하이브리드 캡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계약은 삼화전기의 기술력과 제품의 신뢰성을 증명하는 사례로 향후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이익 창출이 기대된다는 평가다.트럼프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 곳곳에 새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최소 200억달러 약 29조원 외국인 자본 투자 계획이 진행도고 있다고 밝혔다.이러한 흐름은 삼화전기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겠다.특히 2019년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한 SSD 전용 라인업인 삼화전기의 ‘S-CAP’은 정전 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해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라 부각되고 있다.삼화전기의 S-Cap은 기업 및 데이터센터용으로 사용되는 SSD에 탑재돼 비상시 메모리 보호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부품이다.또한 Hybrid Cap의 경우 전장부품을 제조하는 글로벌 고객사향으로 6년간 약 5600만 달러 이상의 수주를 확보함에 따라 설비 투자를 진행 중이다.향 후 수주 기반의가시적인 성과 기대된다.두 제품은 특히 데이터센터향으로 확장성까지 기대되는 제품군이 돨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삼화전기실적 (단위: 억원, %, 배 ) 6,614,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1.27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260억X27.54)÷6,614,000주=108,261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210억X27.54)÷6,614,000 주=87,442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3,340원X27.54) ÷3.00=122,461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106,054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45,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106,054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24.67 16.03 7.92 27.54
매출액순이익률 6.27 4.52 2.86 9.25
매출액성장률   -3.35 -18.07 10.79
제무레버리지비율 182.60 156.22 148.02 143.36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82.60 56.22 48.02 43.36
자기자본비율(%) 54.79 64.05 67.60 69.75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상.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부채베율은 150%까지는 안정적 기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한화화그룹의 방산 3사 2025년 지속적 호실적 가능

 

 

 

 

 

 

 

 

 

 

국내 방산업 1위’ 한화그룹의 방산 3사가 2024년 4분기 호실적이 기대되는 가운데 2025년에도 우호적 경영환경으로 실적 상승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전 세계 곳곳에서 불거지는 지정학적 리스크. K-방산의 위상 강화 등으로 수출 호황이 예상되고 있어서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라 방산 관련 분야에서 한·미 협력이 더 돈독해질 것으로 보인다. 방산 수출 증가에 따른 업황 호조에 3사 모두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상 방산 부문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작년 4분기 폴란드에 K9 자주포 35문.천무 11대에 달하는 물량이 인도된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시스템은 다수의 체계 개발 프로젝트 등으로 매출 성장세가 기대되나 방산 자체 투자 비용과 필리조선소 인수 제반 비용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한화오션은 조업일수가 늘고 2022년 이전에 수주한 저가 컨테이너선 인도가 마무리되며 영업이익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이런 가운데 한화 방산 3사는 2024 실적도 ▷한국과 미국의 방산 협력 강화 ▷해외 수출 확대 ▷사업 구조 개선 및 기술 경쟁력 강화 등에 힘입어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024년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조6086억원. 한화시스템 2532억원.한화오션 5754억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작년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 대비 각각 19%. 16%,.237% 늘어난 수준이다.2025년 실적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배경을 살펴보면 우선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으로 동맹국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가 본격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핵심 동맹국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무기와 장비 수요를 위해 방위비를 늘리면 이는 곧 국내 방산업계 수출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한·미 협력이 유력한 분야는 방산 기술이 꼽히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요 방산업체 중 가장 많은 수출 라인업과 다변화된 수출 지역을 보유했다. 특히 범용화된 무기 체계로 전 세계 수요 증가에 대응 중이며 K9 자주포.K239 천무 다연장 로켓. K21 보병전투차량 등의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군함 CMS와 레이더 영역에서 강점이 있고  이에 더해 필리 조선소를 인수해 미국 군함 사업 확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특히 조선업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방산분야 협력이 본격 확대될 조짐이다. 미국이 인도태평양에서 중국에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규모의 해군을 배치하려면 함정 건조를 늘려야 하는데, 한국이 중요한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어서다. 한화오션은 작년 7월 미국 해군보급체계사령부와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해 향후 5년간 미국 해군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하고 그해8월에는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의 창정비 계약을 수주하는 등 미 해군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필리 조선소 인수가 미 군함사업 진출에 필수적 투자였으며 이를 통해 육해공을 아우르는 수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외에도 폴란드와의 방산 계약 후속 수주.호주·인도·중동 시장 공략, 유럽 방산 수요 증가 등에 따른 수출 확대 기대감이 나온다. 이들 3사의 사업 구조 개선도 장기적으로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현재 차세대 전투기 엔진 사업을확대 중이며  한국형 우주 개발 프로젝트 참여로 우주항공 사업의 실적 기여도 또한 증가가 예상된다. 한화시스템은 저궤도 위성과 항공전자사업을 확대하며 관련 수출 기회를 모색 중이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및 AI 방산 솔루션 개발에도 투자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잠수함.구축함 등 수주 확대가 기대되며 향후 친환경 선박 시장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군사장비의 제조 및 판매하는 방산부문과 IT 아웃소싱 등 서비스 판매하는 ICT부문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핵심사업인 군위성통신체계-Ⅱ 및 전술정보통신체계 TICN.대대급전투지휘체계 B2CS. 개인전투체계.한국형전투기 KF-X사업에 참여. 대내외 기업 고객에게 24시간.365일 무중단 IT운영을 지원하며 서버 자원 사이징에서부터 H/W 및 S/W 설치.유지보수.업그레이드.패치.백업.복구를 지원한다.폴란드 K2 등 방산 부문의 수출 및 국내 양산 매출 증가. 해외 수출사업 비중 증가 및 원가절감으로 사업 이익률 상승하였다.TICN 4차 양산.30mm 차륜형대공포 양산 사업 등 매출 증가로 인한 영업이익 증가하였다.콜린스와 'Saturn' 사업 추진을 위한 계약 체결하였다.한 편 한화시스템은 자체 개발한 '선박용 사이버보안 솔루션'이 아시아 최초 미국선급협회(ABS)을 인증을 획득했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2기의 미국 조선업 파트너로 한국이 지목된 가운데 한화가 미 해군 함정과 상선이 요구하는 사이버 보안 기술과 솔루션을 갖췄다는 의미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미국 선박 보안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조선·해운 보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한화시스템은 2025년 1월20일서울 중구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열린 인증 수여식을 통해 미국선급협회 ABS로부터 공식 인증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미국선급협회 E27 인증은 선박 기자재의 사이버 보안성확보를 위해 설계·생산·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까지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엄격한 평가 과정을 거친다.E27 TA는선박에 탑재되는 기자재가 사이버보안을 지키기 위한 41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해 글로벌 장 판매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미국선급 ABS등 국내외 주요 선급이 부여하는 인증이다.사실상 글로벌 조선업을 이끌고 있는 한중일 3국 가운데 선박용 사이버보안 솔루션 인증을 획득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큐에이더(SecuAider®)는 지난해 12월 한국선급 KR 인증을 먼저 취득한 바 있다.미국선급협회E27 TA 인증을 받은 선박 기자재는 세계 최대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MAERSK)와 스위스 선사 MSC를 포함해 미국선급협회ABS가 인증한 다양한 글로벌 조선소 및 해운 선사에 수출·공급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미국선급ABS. 노르웨이선급DNV).로이드선급LR.한국선급KR등 세계 주요 선급이 소 속된 국제선급협회IACS는 24년 7월부터 건조 계약되는 모든 선박에 사이버 보안 인증을 적용하도록 강제화 했다.한화시스템의 시큐에이더(SecuAider®)는 해킹·디도스 공격·랜섬웨어 및 악성코드 감염 등 첨단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선박이 사용하는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방어하는 보안 솔루션으로 주요 선박 기자재와 네트워크 장비 등에 설치 및 연동된다. 선박 운용저하 없이 사이버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관제하며  AI 기반 이상탐지 및 위협차단. 실시간 원격 대응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한화시스템이 보유한 국내 최고 수준의 함정 시스템 개발 역량과 다년간의 정보통신기술 ICT 보안 솔루션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순수 국내 기술로 자체 개발됐다. 현재 운항 중인 국내외 상용 선박 장비에 즉각 연동이 가능해 높은 호환성과 유연함을 자랑한다.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세계 선도적인 사이버보안 솔루션으로 인증 받은 시큐에이더(SecuAider®)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상선 라인업과 방산의 스마트 십(Smart Ship)보안 강화에 기여하며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 시장 수출길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 꾸준한 실적세 HD현대마린엔진

 

 

 

 

2001년 STX에서 소재사업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되었음. 2023년 7월 HD한국조선해양이 동사의 지분을 인수하여 최대주주가 됨에 따라 현재의 상호로 변경함 디젤엔진, LNG가스엔진(이중연료), LPG가스엔진(이중연료)을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선박용 저속엔진의 주요 메이커로서 자리하고 있음. 선박엔진의 핵심 부품인 2-ST크랭크샤프트(종속회사)와 터보자처를 자체생산을 하고, 주요 부품을 조달하여 판매함.글로벌 경기가 회복과 함께 환경규제로 신규선박 발주가 늘어나며 선박엔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해 동사의 매출이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의 2배 수준으로 증가함. 올해 확정된 수주 계약의 절반 이상이 HD현대 그룹으로 편입된 후 3개월에 집중된 것을 감안하면, 시너지 효과가 창출되기 시작함. 유휴 부지인 경남 창원 내동 공장의 토지와 건물을 전기버스 제조 업체인 범한자동차에 700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함.HD한국조선해양은엔진 부품 시장의 약 80%, 선박용 엔진 시장의 약 70%를 보유하며 각 시장의 1위 사업자 자리를 굳혔고 엔진 부품부터 선박까지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 구조 공고화에도 성공했다.HD현대마린엔진으로 변경하고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이번 기업결합으로 HD한국조선해양은 엔진 부품 시장의 약 80%, 선박용 엔진 시장의 약 70%를 보유하며 각 시장의 1위 사업자 자리를 굳혔고 엔진 부품부터 선박까지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 구조 공고화에도 성공했다.HD현대마린엔진은크게 선박 엔진 사업과 엔진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디젤엔진, LNG가스엔진, LPG가스엔진 등 다양한 선박엔진 생산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선박용 저속엔진의 주요 메이커로 자리하고 있다. 또한 선박엔진의 주요 부품을 조달하여 판매하고 있다. 경기가 회복하며 선박 및 선박엔진 수요가 증가해 선박엔진 및 부품사업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환율의 영향으로 순이익도 크게 증가하였다.탄소배출규제 및 선박 노후화 등으로 해체 대상 선박의 공급 증가가 전망되며 신조선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돠고 있다. 한편 HD한국조선해양은 대형(2행정)엔진 생산능력 확대, 주요 부품 국산화를 통한 부품 원가 경쟁력 향상, 해외 영업망 공유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HD현대마린엔진의 2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851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65.5% 증가한 90억원을 기록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HD현대마린엔진실적표 (단위: 억원, %, 배 ) 28,553,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4.8.27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332억X16.00)÷28,553,000주=18,603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739X억16.00)÷28,553,000 주=41,410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7,831원X16.00) ÷3.00=41,765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33,926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29,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3,926원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다시 2024년 매출액 성장률 22.42%를 할증한 가격은 41,532원이  최종 추정목표가로 산출되었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그러나 ROE는 반드시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성장률.재무레버리지비율 의 세가지를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지는 것은 기업의 활동성이 크게 작동하면서 성장을 견인하는 기업으로 볼 수 있겠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자본비율은 낮고 부채비율이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매출액성장률은 기업의 활동성의 크기를 말한다.부채와 자기자본을 가용하여 매출액을 크게 올라면 기업의 성장성이  확대될 것이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래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할 필요성이 있다.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 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 수록 자기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4.78 8.17 15.16 16.00
매출액순이익률 -5.68 7.94 12.90 23.40
매출액성장률   22,59 27.55 22.42
제무레버리지비율 279.48 216.71 201.42 160.62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 본다.레버리지비율이 250 이상 300까지 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이상 20%할인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179.56 216.71 201.42 60.62
자기자본비율(%) 35.78 46.14 49.65 62.26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기준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부채비율은 150%까지는 인정적수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기지개 켜는 로봇산업  레인보우로보틱스

 

 

 

 

 

 

 



 

 

 

 

 

약세장 속 잠들어 있던 로봇 테마주가 테슬라의 부름에 깨어나고 있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앞세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이란 전망이 배경이다.빅테크를 중심으로 휴머노이드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정책 호재가 기대되는 가운데 실적 개선이 가시권에 들어온 종목부터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2024년 11월27일 로봇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날 8.90% 상승하며 15만원대를 돌파했다.이달 초 11만원대까지 밀리던 주가가 종가기준 15만원대를 회복한 것은 지난 8월27일 이후처음이다. 이밖에 로봇대장주인 두산로보틱스를 비롯해 뉴로메카. 휴림로봇.엔젤로보틱스 등 주요 종목들이 빠르게 주가를 끌어올리는 중이다.상반기 이후 약세 흐름을 보이던 로봇테마주가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머스크의 존재감이 커지면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를 이끌게 된 머스크는 자율주행 기술 구현을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전국적으로 완전 자율주행차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밝혔다.아울러 유명 모델 킴 카다시안이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SNS를 통해 공개하는 등 로봇 산업의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재료가 이어졌다.다만 로봇 산업이 이제 성장하기 시작한 만큼 기업 펀더멘털이 단단하지 못하다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로봇 기업의 3분기 매출액 합계는 2280억원으로 전년 동기 기록한 2245억원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유의미한 성적은 아니다. 로봇 산업이 각광받고 있기는 하나 글로벌 경쟁이 심화 중인데다 글로벌 로봇 트렌드가 휴머노이드로 빠르게 옮겨지는 와중에  국내 기업들은 협동로봇 혹은 4족 보행 개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 등은 리스크로 분류된다.증권가에서는 실적 개선이 가시권에 들어오거나 지분 투자 등으로 대기업과 연결된 종목에 우선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로봇 산업에 투자 규모가 커질 경우 우선 수혜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두산로보틱스를 비롯해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LG와 연결된 로보티즈. 로보스타.SK의 유일로보틱스.포스코의 투자를 이끌어낸 뉴로메카 등이다.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흐름과 더불어 2025년부터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업황 개선을 기대해봄 직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IT전시회 'CES 2025' 현장에서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로봇이 AI를 만나면 새로운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며  로봇 사업에많이 노력하고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경쟁사와 비교하면 아직 시작 단계지만 새로 나온 기술을 유연하게 접목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포부를 비쳤다.삼성전자가 로봇 분야에 대해 그다지 빠르다고 볼 수는 없지만 투자해서 기술력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계획대로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글로벌시장에서 휴머노이드 계획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앞서서  레인보우로보틱스보유 지분을 35% 늘려 최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 랩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기업이다.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해 미래로봇 개발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삼성전전자는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하고 휴머노이드뿐 아니라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미래로봇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고 '집사 로봇'으로 불리는 AI 컴패니언 로봇 '볼리'를 2025년 상반기 중 출시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빠르면  한국과 미국에서 2025년  5∼6월 중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향 후 AI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로 연결성을 강화하고 주거 형태·생활양식을 반영해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홈 AI를 상품도 내 놓을 전망이다.삼성전자가 제시하는 홈 AI는 10년 이상 축적한 스마트홈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고객 관점에서 더 고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홈 AI의 보안성에 관해서는 한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제품은 업계 최고 수준의 다중 보안 시스템인 '녹스 매트릭스'와 '녹스 볼트'로 보호되고 있다.녹스 매트릭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기술이다. 서로 연결된 기기들이 상호 점검하다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녹스 볼트는 비밀번호나 생체 인식 데이터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별도 하드웨어 보안 칩에 저장해 운영체제(OS) 기반 정보 유출과 물리적인 해킹 공격으로부터 중요 정보를 보호한다.삼성의 홈 AI는 거주하는 집을 넘어서 이동수단.사무공간.상업시설 등 어디를 가더라도 내 집 같은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홈에서의 경험을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상업시설·사무실·호텔·학교 등에서도 홈 AI를 사용할 수 있는 기업간거래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도 소개되고 있다.바야흐로 로봇산업의 르네쌍스를 열겠다는 다짐으로  미래 준비를 위한 인재와 기술 확보.새로운 성장을 위한 투자도 빠르고 과감하게 추진해 주력 사업의 초격차를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한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이다.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2028년까지  이족보행 플랫폼 양산화와 일반 사용을 목표로 연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2027년까지 산업환경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완료하고 2028년까지는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솔루션 개발을 완료를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삼성전자 자회사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내어 개발 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AI와 양자컴퓨터 신사업 다각화 SK텔레콤

 

 

 

 

 

국내 증시 성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도 SK텔레콤 주가가 최근강세다. SKT는 지난달 27일 6만원을 돌파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이튿날도 장중 6만1900원 신고가를 경신했다. 29일엔 6만1400원으로거래를 마감했다. SKT 주가가 6만원대에 진입한 것 은 2022년 5월 이후 2년 반 만이다.올해 SKT 주가는 4만원대에서 시작해 11월까지 20% 이상 상승했다. 같은 시기 마이너스 성장한 코스피와 대조적이다.시장에서는 본업인 통신사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AI 신사업 또한 수익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중이다.현재 SKT는 AI 기업으로 전환을 강조하며 AI 데이터센터. AI B2B 솔루션(기업서비스). AI 개인서비스 등 빠른 수익화가 기대되는 3가지 사업에서 속도를 내고 있다.AI 개인서비스 영역에서 3분기 말 기준 누적 가입자수 550만명을 돌파한 AI 비서 '에이닷(A.)'이 대대적인 개편 및 퍼플렉시티와의 협력 등으로 AI 개인비서 로서 인지도 및 경쟁 역량이 강화되고 있다.SK텔레콤은 AI 사업 실적이 성장하면 통신주의 영역에서 벗어나 AI 성장주로 재평가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SKT가 우량 배당주로서 대표적  경기방어주라는 점과 기업가치제고 계획(밸류업 공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주가 상승을 견인하는 요소로 꼽히고있다.SKT는 10월말 밸류업 공시를 통해 AI 사업을 현재 주력 사업인 통신사업만큼 키워서 기업가치를 키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구체적인 목표는 ▲2026년까지 ROE 10% 이상 상향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연결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의 50% 이상 주주환원 ▲2030년 AI 매출 비중 전체의 35%로 확대 등이다.SK텔레콤의 새로운 시각은 양자컴퓨터이다.

 

 

 

 

양자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AI 시스템이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로도 수천 년이 걸리는 작업을 단 몇 초 만에 완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이러한 양자컴퓨터는 다양한 산업을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으로서 실제로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양자컴퓨터로 기하급수적인 변수를 고려하여 각 항로에 대한 최적의 대안을 결정하고 있으며 화학 분야에서는 새로운 분자 구조의 속성과 작용을시뮬레이션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이외 자동차.의료·제약.물류.로봇.인공지능.금융.보안 등 광범위한 산업도 발전시킬 수 있다.미국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양자컴퓨터 시장은 2050년 2600억달러 약 34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현재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핵심기술로 꼽히는 양자키분배기술 QKD와 양자난수생성기 QRNG분야 기술력을 보유했다 2011년 국내 최초로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한 데 이어 2018년에는 스위스 양자암호통신기업인 IDQ를 인수해 글로벌로 생태계를 확장했다.이를 바탕으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사업에서 다양한 실증망과 응용 서비스를 발굴 적용했다.2024년 4.9일에는 울대학교 산학협력단과 'SKT-서울대 양자기술 분야 공동 연구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SK텔레콤과 서울대는 양자암호통신.양자센싱. 양자컴퓨터 등 다양한 양자 분야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하며 개발된 기술 상용화 방안을 논의한다.SK텔레콤은 서울대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 양자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고객들에게 '보다 안전한 통신', '더 멀리 볼 수 있는 센싱', '더 빠른 컴퓨팅'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아울러 SK텔레콤은 국내 양자 기업들과 지난 3월 결성한 '퀀텀 얼라이언스(가칭)'와 서울대간 기술 교류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다.SK텔레콤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양자 분야를 이끌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해 우리나라 양자 분야 생태계 선순환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23 양자정보기술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양자 관련 핵심인력의 규모는 대략 400여명 수준으로, 양자 분야를 선도할 관련 인재들의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다.서울대가 가지고 있는 양자 과학 기술 분야의 기초 과학 및 응용 기술을 SK텔레콤 상용화 역량 및 자원과 결합시켜 국내 양자 기술 생태계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노력들을 통해 양자 기술 분야에서 더 많은 전문 인력 양성과 기술 혁신을 이어가겠다는 의지와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12대 국가전략기술 가운데 하나인 양자 과학 기술에 대한 글로벌 주도권 확보 및 인력 양성에 기여하고 기초과학기술과 상용기술 간 긴밀한 협력은 양자 생태계를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는 다가올 양자시대를 이끄는 대한민국의 힘이 될 것으로 볼 수 있겠다



 

 

 

1.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보았다. 

 

 

 

 

 

SK텔레콤실적표 (단위: 억원, %, 배 ) 218,833,000 주)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4.12.03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9,108억X10.01)÷218,833,000주=87,405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2,087억X10.01)÷218,833,000 주=55,289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56,613원X10.01) ÷3.25=174,368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105,687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8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105,687 원 으로 분석하였다.이에다 2024년 매출액성장률 2.10%를 할증한 107,906 원이 수정한 추정목표가로 보겠다.

 

 

 

 

2).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 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래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할 필요성이 있다.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 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 수록 자기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13.63 7.97 9.63 10.01
매출액순이익률 14.44 5.48 6.51 6.89
매출액성장률   3.21 1.77 2.10
제무레버리지비율 250.60 257.57 246.31 239.94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 본다.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매츨[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150.60 157.57 146.31 139.94
자기자본비율(%) 39.90 38.82 40.60 42.20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부채비율은 150% 까지는 안정적인 수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산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