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16. 13:43 코스닥실적성장주1
2.근골격계 및 안면주름살제거 시장선도주 파마리서치
●근골격계 및 안면주름살제거 시장선도주 파마리서치
파마리서치는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재생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재생바이오 전문 제약회사이다. 인체 고유의 재생 매커니즘을 활성화 및 촉진시키는 물질인 PDRN 및 PN의 제조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국내 공장 설립으로 원재료 조달부터 완제품 제조까지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PDRN 및 PN 제조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관절강주사인 콘쥬란 개발.기능성 화장품 출시. 건강기능식품 등 해당 물질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였다.소비자 중심의 마케팅과 스포츠 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감으로서 다양한 수요층을 확보하여 매출을 성장시키고 있다. R&D를 통한 제품개발 및 중국 및 일본 중심의 아시아 시장과 유럽. 북미 시장을 통한 글로벌 시장진출 계획을 수립하여 해외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스킨부스터 리쥬란 핵심 성분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인 PDRN을 기반으로 한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리쥬란 코스메틱"이 노화케어 화장품 시장에서 빠르게 성정하고 있다.리쥬란 코스메탁은 특허기술로 PDRN성분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리쥬란은 파마리서치가 2014년 출시한 제품으로 스킨부스터의 원조로 꼽힌다.스킨부스터란 피부 상태를 촉진기켜줄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이 들어있는 고농축 약물을 진피층에 직접 주입해 본연의 건강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파마리서치가 PDRN성분으로 피부미용 의료기기를 만들어 판매하면서 연구하는 중에 PDRN성분을 피부에 발라도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와 화장품사업으로 확장하게 되었다. PDRN이라는 게 연어에서 추출한 DNA 조각으로 합성해서 만드는 성분이 아니고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물이 상당히 중요하다. 파마리서치는 자사만의 원물을 100% 활용하기 때문에 타사의 PDRN과는 성능의 차이가 분명히 있고 독자적인 특허로 독특하게 만들어낸 PDRN이기 때문에 타사와 공법과 원물이 달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없다고 보고 있다.PDRN 성분은 연어의 정소 등 생식세포에서 DNA 조각을 추출한 물질로 주로 조직 재생. 각막 재생 등 의약품에 활용된다. 리쥬란의 경우 즉각적인 효과가 좋지만 주사를 맞고 1개월 후 효과가 가장 좋고 리쥬란 코스메틱 역시 1~2달 정도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낸다.지속적으로 화장품을 바르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파마리서치는 의료기기 사업에서 출발한 화장품 브랜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화장품 브랜드하고는 차별화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재생의학 기반의 근골격계 치료제와 안면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PDRN과 PN 기술을 활용한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면서 매출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와 근골격계 질환 증가로 재생의료 제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안면미용 시장도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파마리서치 실적 (단위: 억원, %, 배 ) 10,510,000 주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 2025.4.1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689억X23.31)÷10,510,000주=374,601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400억X23.31)÷10,510,000 주=310,504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56,522원X23.31) ÷2.75=479,101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388,068원 |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39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88,068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 2022 | 2023 | 2024 | 2025(E) |
ROE | 12.51 | 19.71 | 18.93 | 23.31 |
매출액순이익률 | 22.28 | 29.62 | 25.39 | 31.52 |
매출액성장률 | 20.89 | 25.36 | 25.45 | 21.18 |
제무레버리지비율 | 128.63 | 115.81 | 150.27 | 124.55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00%(2.0배)이하이면 양호하게 본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2 | 2023 | 2024 | 2025(E) | |
부채비율(%) | 28.63 | 15.81 | 50.27 | 24.55 |
자기자본비율(%) | 77.74 | 87.09 | 66.54 | 80.29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하고 있다.그러나 부채베율은 150%까지는 안정적수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코스닥실적성장주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상처치료제인 창상피복재 티앤엘 (0) | 2025.01.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