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6.맟춤형수주 실적호전 산일전기
반응형

 

 

 

 

 

 

●맟춤형수주 실적호전 산일전기

 

 

 

 

 

 

산일전기는 전력망. 신재생 에너지.산업용 변압기 시장에서 변압기 및 리액터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전방 산업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80% 이상이 수출을 통해 발생하며 주요 제품은 변압기로 유입변압기. 몰드변압기. 주상변압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2024년 7월 29일 KOSPI 시장에 신규 상장하였다.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8.8% 증가.영업이익은 80.7% 증가.당기순이익은 60.2% 증가하였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신의 제조설비와 품질경영으로 국제규격 및 고객의 요구에 잘 부합하도록 생산하고 있다. 산일전기의 변압기는 단상 혹은 삼상의 용량 70MVA와 72.5kV급 전압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변압기 수요 증가와 송배전 변압기 판매를 확대하면서 큰 폭의 성장 예상되고 있다.LS증권은 2025년 1월13일 산일전기에 대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폭발적 성장에 이어 증설을 통해 2025년에서 2027년 성장단계  2028년에서 2030년 고성장도 안배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9만7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글로벌 동종기업(Global Peer) 대비 성장성.수익성 등 펀드멘털 지표에서 압도적 우위에 있어 밸류에이션 멀티플도 상당 수준할증이 합당함에도 소폭 할증 또는 할인 수준만 적용해 밸류에이션 여력은 상당하다고 평가했다.목표주가는 주가 상승여력을 확인해가며 단계적으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LS증권에 따르면 산일전기의 지난해 4분기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0% 늘어난 934억원.432% 성장한 255억원으로 대호조를 시현하며 LS증권 및 컨센서스 전망치에 부합할 것으로 바라봤다. 지난해 12월2일 가동을 시작한 2공장 주상동은 아직 실적이 창출되기 전이다.아울러 지난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49% 상승한 3190억원.117% 증가한 1010억원으로 사측의 가디언스인 매출 3200억원.영업이익 1000억원에 정확하게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다.매출이 연간 3500억원 생산능력(Capa)를 소폭 하회는 것은 2공장 증설에 따른 1공장 몰드.건식과임대공장 주상.단상 패드의 2공장 이전 작업에 따른 과도기적 영향에 따른 것일 뿐이라는 분석이다.2022년과 2023년에 이어 2024년 실적도 폭발적 성장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업황 호황 지속과 함께 2공장 1차 증설 반영으로 2025년부터 2027년까지도 상당한 수준의 고성장이 안배돼 있고 2028년부터 2030년까지 또한 2026년에서 2027년까지  2공장 2차 증설을 통해 고성장을 안배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1.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보았다. 

 

 

 

 

산일전기 실적표 (단위: 억원, %, 배 ) 4,789,000 주)

 

 

124,697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3.31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548억X26.59)÷30,445,000주=135,199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155억X26.59)÷30,445,000 주=100,875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4,274원X26.59) ÷2.75=138,017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124,697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97,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124,697원 으로 분석하였다. 

 

 

 

 

2).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당해년도매출액-전년도매출액)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2 2023 2024 2025(E)
ROE N/A 46.03 29.88 26.59
매출액순이익률 3.81 28.23 25.06 25.01
매출액성장률 39.83 49.79 35.78 27.66
제무레버리지비율 301.59 151.94 113.46 122.58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 본다. 레버리지비율이  250-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3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201.59 51.94 13.46 22.58
자기자본비율(%) 33.18 65.81 88.13 81.58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그러나 부채비율은 150%까지는 안정적인 수준으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부채총계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https://trak23.tistory.com/

 

JH안소니트러스트쇼핑세상

좋은상품과 함께

trak23.tistory.com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