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 23:38 신성장산업1
8.피지컬(PHYSICAI)로봇과 휴모노이드 로봇
●피지컬(PHYSICAI)로봇과 휴모노이드 로봇
최근에 테슬라.보스턴 다이내믹스.피규어 AI 등 글로벌 기업들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미래 신업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그러나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질적인 산업 현장에 투입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현재 산업 현장에서는 가장 실용적인 것은 바퀴가 달린 로봇이나 팔과 같은 형태의 자동화 솔루션이다.이족보행을 하는 휴머이드 로봇은 이동과 작업이 가능하지만 기술적 난이도와 비용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비즈니스 관점에서 가장 실효성이 높은 물류 로봇에 집중해야 할것으로 보고 있다.현 재 로봇 시장은 사람들의 일을 대신하는 물류 로봇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물류 로봇은 가장 실잘 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진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로봇이 산업과 생활 속에서 널리 활용될 것이며 피지컬 AI의 발전과 함께 정교한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질 것으로 보겠다.이러한 산업용 로봇 물류 로봇의 관절에 사용되는 전동모터를 액츄에이터(Actuator)라고도 한다.구동장치를 의미하며 로봇을 동작시키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인간이나 동물이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는 건 많은 관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로봇도 관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자연스럽고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로봇에 많은 관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동장치인 로봇용 액츄에이터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어야 하고 움직이는 동안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지 확인도 할 수 있어야 한다.많은 관절을 가지고 있어도 에너지 소모가 크지 않아야 하고 제어기의 성능이 아주 높지 않아도 모든 관절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국내기업으로는 에스비비테크.케이엔알시스템 .로보티즈 .뉴로메카 .하이젠알앰엔 .에스피지 등이 활약하고 있다. 2025년1월8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인 'CES2025' 기조연설에서 '피지컬 AI' 개발 플랫폼인 '코스모스'출시를 선언했다. 이에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종목에 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피지컬AI는 로봇이나 자율주행차와 같은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 하는 AI시스템을 말한다. 엔비디아가 출시하는 코스모스는 로봇이 현실 세계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은 2000만 시간에 달하는 영상을 14일 만에 파악할 수 있다.
해당 영상을 중앙처리장치(CPU)만 사용했을 때 3.4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단 점을 고려하면 코스모스 출시는 피지컬AI 산업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다. 이에 엔비디아는 오픈소스로 대중에게 코스모스를 무료 개방한다.엔비디아의 코스모스 출시에 국내 시장에서도 관련 업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가장 주목 받는 기업은 국내 대기업들이 투자한 로보틱스 기업들이다.이중 투자자들이 제일 많이 몰린 기업은 레인보우로보틱스다.해당 기업은 2011년 카이스트 연구진이 설립한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두발로 걷는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를 개발했다.삼성전자는 해당 기술에 AI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할 계획이다 .LG전자가 투자에 나선 로보스타와 로보티즈.엔젤로보틱스도 최근 주가 흐름이 우상향을 기록하고 있다.로보스타는 1999년 산업용로봇의 개발과 제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다.로보티즈는 2019년 국내 최초 실외 자율주행로봇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실증 특례를 획득한 기업이다.핵심 기술은 자율주행로봇을 비롯한 서비스 로봇 구축 솔루션이다.엔젤로보틱스는 2017년 설립된 기업으로 의학과 공학을 결합한 고유 기술을 활용해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두산그룹은 두산로보틱스를 통해 협동로봇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한화는 지난해 10월 한화 모멘텀 부분의 자동화 사업부 중 협동로봇과 무인운반차.자율이동로봇 사업을 분리해 한화로보틱스를 신설했다.현대차그룹은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하틀란스'를 첨단화하고 있다.이 외에도 물류로봇인 제이스텍.티로보틱스.휴림로봇 의료용로봇인 피앤에스미케닉스. 큐렉소 교육용로봇 로보로보 청소용로봇인 유진로봇.에브리봇.이랜시스 등이 주목을 받는다.단기적으로는 완성품 업체를 중심으로 한 투자가 유효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향후 정부 지원이 몰리게 될 부품 업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산업통상자원부가 로봇산업 육성의 최우선 과제로 핵심부품 기술개발을 지목했기 때문이다.한국은 낮은 로봇 시장 점유율로 수입 의존도가 높고 감속기.센서 등 주요 로봇 부품의 국산화 진척도가 낮아 산업 육성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에 따른 로봇용 부품기업 육성지원에 따른 부품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겠다.
'신성장산업1'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대화형인공지능서비스 챗GPT와 딥시크 R1 (0) | 2025.01.31 |
---|---|
5.일반기업 AI인공지능사업 (0) | 2025.01.31 |
4.로봇산업 AI인공지능 기업 (0) | 2025.01.31 |
3.응용소프트웨어 AI인공지능 기업 (0) | 2025.01.31 |
2. 의료AI인공지능기업 개요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