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2.건설 재건 인프라 전진건설로봇
반응형

 

 

 

 

 

 

 

●건설 재건 인프라 전진건설로봇 

 

 

 

 

 

 

 

 

콘크리트 펌프가 국내 1위 기업, 북미지역 점유율 2위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건설장비 플랫폼 사업으로  건설부분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다.부가가치 콘크리트 펌프카가 북미지역서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고 있다.콘크리트 펌프카 완성품, 콘크리트 펌프카 상부 구조 및 CKD 제품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고 콘크리트 펌프카 상품 매출 비중이 일부 매출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3개년 평균 수출 비중은 약 78.20%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매출 구성을 보이고 있다.북미, 유럽, 중동 등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자체 기술연구소에서 여러 국책과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허 실용신안 10건, 디자인 4건, 상표 80건을 보유하고 75M급 CPC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기술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콘크리이트펌프가.플레싱붐, 스테이셔너리, 몰리, 어태치먼드 등 각종 건설기계 및 소방특장 장비개발에 선도적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북미 인프라 투자, 우크라 재건, 韓 기후대응댐 건설 수혜주로서 향후 생산 설비의 대형화와 자동화에 투자해 콘크리트 펌프카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규 사업으로 친환경 하이브리드 모델 개발 , 스마트 로봇 CPC 개발을 통해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전진로봇건설실적표 (단위: 억원, %, 배 ) 15,361,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2.10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363억X29.79)÷15,361,000주=70,397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311X억29.79)÷15,361,000 주=60,313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7,377원X29.79) ÷3.50=62,799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64,503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64,503원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다시 2024년 매출액 성장률 10.96%를 할증한 가격은 71,572원이  최종 추정목표가로 산출되었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150% 이하( 1.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 현재 연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현재 연도 매출액 X100=매출액성장률

 

②. 당기순이익/매출액 X100(%)=매출액순이익률

 

 

③. 총 자산/자기 자본 X100(%)=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20.10 27.02 29.35 29.79
매출액순이익률 14.98 16.49 18.24 17.42
매출액성장률   11.18 10.79 10.96
제무레버리지비율 160.73 153.71 151.66 153.90
재무레버리지비율은 170%(1.7배)이하이면 양호하게 본다.레버리지비율이 171%-200%까지 추정목표가의15%할인, 2011-300까지는25%할인, 301% 이상은 35%할인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60.73 53.71 51.66 53.90
자기자본비율(%) 62.20 65.01 65.95 64.97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매우 안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자기자본비율은 70%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그 이상 넘어가면 기업의 안정성은 더욱 커질 수 있으나 성장성이 둔화될 수 있다.

부채비율=(부채총액÷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산)X100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至山의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