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24. 12:18 지표설정 세나
9.DMI와 ADX이동평균선
반응형
●DMI와 ADX이동평균선
시장은 추세적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추세적시장이란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라는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 포지션을 다음날로 이월시키는 Position Trading에 의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비추세적 시장이란 장중에 일정한 박스권내에서 매매하는 Day Trading에 적합한 상황을 말한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DMI차트는 현재의 시장추세와 함께 그 추세의 강도까지 알려 주는 지표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한다.1978년 미국의 WELLES WILDER가 저술한 "기술적 트레이딩 시스템의 신개념" 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DMI지표는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계량화한 지표이다. DMI는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아니면 비추세적 시장인지 또는 상승추세인지 아니면 하락추세인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추세가 분명하지 않거나 급등락을 반복하는 추세일 경우 향후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1.DMI는 방향운동지수이고, ADX는 평균방향운동지수이다.DMI지표가 속임수 파동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ADX평균이동선으로 DMI지표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따라서 DMI와 ADX를 같이 사용하면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2.지표설정
▶차트를 띄우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지표추가 창을 불러온다.찾기창에서 DMI라고 입력하고 클릭하면 차트하단에 지표가 설정된다.
▶차트에서 DMI지표를 클릭하고 라인설정에서 마음에 드는 색갈을 지정하고, 기준선 설정에서는 30과 10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준다.
①. DI PLUS 14
②. DI MINUS
③.ADX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낸다.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한다.
<해석>
+ DI와 -DI의 교차
①.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할 수 있다
②. +DI가 -DI를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수, 하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
③.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해야 한다.
+DI가 -DI를 상향돌파한다고 하더라도 ADX이동평균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ADX이동평균선이 20이상으로 확인되면 상승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반대로 ADX이동평균선이 20이하 일 때는 하락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④. ADX이동평균선과 주가와 다이번젼스 발생
+DI와 -DI의 차이가 최대치를 기록한 후에 그 간격이 점점 좁혀지면서 동시에 ADX의 방향이 주가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다이번젼스가 발생한다.이는 추세전환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반응형
'지표설정 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8.MACD 강세약세패턴과 MACD 0선 상향돌파신호 (0) | 2023.12.09 |
---|---|
7.CCI 강세패턴 약세패턴 (0) | 2023.12.09 |
6.CCI시그널선과 CCI시그널선상향돌파신호검색 (0) | 2023.12.09 |
5.TRIX 추세 보조지표 (0) | 2023.04.23 |
4.분봉차트에 저항선 지지선 설정하기 (0)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