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지표설정 세나' 카테고리의 글 목록

반응형
지표설정 세나
반응형
반응형

 

 

 

 

 

●DMI와 ADX이동평균선

 

 

 

 

 

 


시장은 추세적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추세적시장이란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라는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    포지션을 다음날로 이월시키는 Position Trading에 의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비추세적 시장이란 장중에 일정한 박스권내에서 매매하는 Day Trading에   적합한 상황을 말한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DMI차트는 현재의 시장추세와 함께 그 추세의 강도까지 알려 주는 지표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한다.1978년 미국의 WELLES WILDER가 저술한 "기술적 트레이딩 시스템의 신개념" 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DMI지표는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계량화한 지표이다. DMI는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아니면 비추세적 시장인지 또는 상승추세인지 아니면 하락추세인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추세가 분명하지 않거나 급등락을 반복하는 추세일 경우 향후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1.DMI는 방향운동지수이고, ADX는 평균방향운동지수이다.DMI지표가 속임수 파동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ADX평균이동선으로 DMI지표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따라서 DMI와 ADX를 같이 사용하면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2.지표설정   

 

 

 

 

▶차트를 띄우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지표추가 창을 불러온다.찾기창에서 DMI라고 입력하고 클릭하면 차트하단에 지표가 설정된다.

 

▶차트에서 DMI지표를 클릭하고 라인설정에서 마음에 드는 색갈을 지정하고, 기준선 설정에서는 30과 10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준다.

 

 

 

①. DI  PLUS   14 

 

②. DI MINUS 

 

③.ADX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낸다.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한다.

 

 

<해석>

 

 

+ DI와 -DI의 교차

 

 


①.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할  수 있다  

 


②.  +DI가 -DI를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수,  하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


 

③.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해야  한다.   

 

 

 

 

+DI가 -DI를 상향돌파한다고 하더라도 ADX이동평균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ADX이동평균선이 20이상으로 확인되면 상승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반대로 ADX이동평균선이 20이하 일 때는 하락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④. ADX이동평균선과 주가와 다이번젼스 발생 

 

 

+DI와  -DI의 차이가 최대치를 기록한 후에 그 간격이 점점 좁혀지면서 동시에 ADX의 방향이 주가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다이번젼스가 발생한다.이는 추세전환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MACD 강세약세패턴과 MACD 0선 상향돌파신호

 

 

 

 

 

 

 

 

 

위 차트에서 MACD 강세약세패턴과 MACD 0선 상향돌파화살표을 설정하고 주가가 MACD 약세패턴 구간에 있을 때는 매도하거나 주식을 사지 않고 강세구간에서 MACD 0선 상향돌파화살표가 나올 때 주식을  매수하고 상승에 성공하여 주가가 TRIX고가 중심선이나 피보나치 고가선(지표설정 참조)이 수평으로 저항선을 그는 경우에 주가가 더 이상 돌파하지 못하고 저항을 맞는 시점을 고점으로 보고 매도하는 투자전략을 세울 수 있다.

 

 

 

 

 

1.MACD 강세패턴 약세패턴 설정방법

 

 

1).위 차트는 키움증권  영웅문 HTS(홈트레이딩) 차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2).위 차트에다 마우스을 갖다 대고 오른쪽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가 나온다-강세약세적용을 클릭

3).지표 추가.전환 강세약세-찾기MACD기준선 강세약세 를 적용하면 주가차트 상단에 표시되고 주가차트에 강세패턴과 약세패턴이 적용된다.

4).주가차트 상단에 설정된 MACD기준선 강세패턴 약세패턴을 두번 클릭하면 강세약세 설정메뉴기 나온다.

5).강세약세 설정메뉴에서 수식에서 첫 번째로 강세패턴을 누르고 마음에드는 색상을 설정한다.두 번째로 약세패턴을 누르고 마음에드는 색상을 설정한다.-확인을 누른다.

 

6.지표변수를 누른다.

 

조건 기간
short period 9
long period 26
sig period 9
base line 0

 

 

▶기간을 짧게하고 싶으면 단기 5, 장기12, 시그널9 로 할 수 있다.

 

기본값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7).이용방법 은 약세패턴이 나오는 구간에서는 주식을 매도하거나 주식을 사지 않는다.강세패턴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주식을 분할매수하는 투자전략을 새울 수 있다.

 

 

 

 

 

 

 

 

 

2.MACD 0선 상향돌파화살표 적용하기 1

 

 

 

 

 

1).위 차트에다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을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가 나온다 .

2)).신호검색적용을 누르면  지표 추가/전환  신호검색 화면이 나온다.

3).찾기에서 MACD 0선상향돌파를 클릭하면 주가차트 상단에 표시된다.

4).주가차트 상단에 표시된 MACD 0선상향돌파두 번 클릭하면 신호검색 설정화면이 뜬다.

5).수식을 누르고 색상(검정), 표시(매수), 모양(화살표)로 설정하고 기본값으로 체크-확인

6).지표변수

 

shortperiod 7
longperiod 16
sigperiod 9

 

 

MACD 강세패턴 초기구간에서 MACD 0선 상향돌파화살표가 나올 때 매수 투자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겠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CCI 강세패턴 약세패턴

 

 

 

 

 

 

 

 

위 차트에서 CCI시그널선지표와 CCI시그널선상향돌파화살표을 설정하고 CCI(기간20)지표가 시그널(30)을 상향돌파할 때 매수하고 상승에 성공하여 주가가 TRIX고가 중심선이나 피보나치 고가선(지표설정 참조)이 수평으로 저항선을 그는 경우에 주가가 더 이상 돌파하지 못하고 저항을 맞는 시점을 고점으로 보고 매도하는 투자전략을 세울 수 있다.

 

 

 

 

 

1.CCI강세패턴 약세패턴 설정방법 

 

 

 

 

1).위 차트는 키움증권  영웅문 HTS(홈트레이딩) 차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2).위 차트에다 마우스을 갖다 대고 오른쪽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가 나온다-강세약세적용을 클릭

3).지표 추가.전환 강세약세-찾기/CCI기준선강세약세 적용하면 주가차트 상단에 표시되고 주가차트에 강세패턴과 약세패턴이 적용된다.

4).주가차트 상단에 설정된 CCI기준선 강세패턴약세패턴을 두번 클릭하면 강세약세 설정메뉴기 나온다.

5).강세약세 설정메뉴에서 수식에서 첫 번째로 강세패턴을 누르고 마음에드는 색상을 설정한다.두 번째로 약세패턴을 누르고 마음에드는 색상을 설정한다.-확인을 누른다.

6.지표변수를 누르고 PERIOD  20을 설정하고 확인을 누른다.(지표변수는 20에서 70까지 자유롭게 설정해보고 잘맞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7).이용방법 약세패턴이 나오는 구간에서는 주식을 매도하거나 주식을 사지 않는다.강세패턴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주식을 분할매수하는 투자전략을 새울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CCI시그널선과 CCI시그널선상향돌파신호검색

 

 

 

위 차트에서 상단의 CCI시그널선이 나오는 지표와 주가차트에 CCI지표가 CCI시그널선을 상향돌파하는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다.

 

 

 

 

 

1.CCI시그널 만들기 

 

 

 

위 차트는 키움증권  영웅문 HTS(홈트레이딩) 차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1).위 차트에다 마우스를 대고 한 번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 화면이 나온다.

2).수식관리자(M)을 클릭→기술적지표→사용자지표-새로만들기를 클릭한다.

3.지표명:CCI시그널선

4).수식1-수식이름:CCI%PERIOD%

CCI(PERIOD)5.

5).수식-수식이름:SIGNAL

AVG(CCI(PERIOD),SIGNAL)

6).지표설정

PERIOD 20
SIGNAL 20

7).라인설정:-본인의 기호에 따라 색상과 선의크기 설정

8).수식검증-이상이 없습니다-작업저장→지표가 사용자지표에 저장된다.

 

 

9).차트에 CCI시그널선 적용하기

 

 

①.위 차트에다 마우스를 대고 오른쪽 클릭-세로로 긴 메뉴-지표추가-지표 추가/전환기술적지표

②.찾기-CCI시그널선-적용을 쿨릭하면 차트하단에 CCI시그널선지표가 설정된다.이 지표를 차트맨 위 상단에 위치하고 싶으면 오른쪽 X표가 있는 곳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서 위로 끌어다 놓으면 된다.

 

 

 

 

 

 

2.CCI시그널선상향돌파화살표만들기

 

 

 

CCI지표가 시그널선을 돌파하는 시점을 잡기위해서 시그널선 상향돌파화살표를 만들 수 있다.

 

1).위 차트에다 마우스를 대고 한 번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 화면이 나온다.
2).수식관리자(M)을 클릭→신호검색→사용자지표-새로만들기를 클릭한다.

3.검색식명:CCI시그널선상향돌파화살표

4).수식

A=AVG(CCI(PERIOD),SIGNAL);
B=CCI(PERIOD);
CROSSUP(B,A)

5.지표변수

PERIOD 20
SIGNAL 30

 

색상(검정)/표시(매수)/모양(화살표)-설정한후 수식검증-이상없습니다-작업저장/사용자검색에 신호가 저장된다.

6).차트에 적용하기 

 

 

 

 

1).위 차트에다 마우스를 대고 한 번 클릭하면  세로로 긴 메뉴 화면이 나온다.

2).신호검색클릭-지표/추가 신호감색-찾기-CCI시그널선상향돌파화살표

3).적용-클릭하면 주가차트 상단에 검정색표시로 설정이 된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TRIX 추세 보조지표

 

 

 

 

 

 

TRIX(Tripple Exponential Moving  Average)는 지수이동평균을 3번 행한 값의 변화율을 보여주는 모멘텀 오실레이터 지표이다.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주가 변화를 제거하고 변동성을 줄여 안정적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이다.따라서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가 지표를 보면서 편안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주가의 다이나믹한 변동성을 즉시 표현하지 않으므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역동적인 대처에는 부족한 점도 있다.매매를 빈번하게하는 단기적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는 지표이다.1960년대 초에 잭 헛슨(Jack .K. Hutson)이 개발하였다.

 

 

 

 

1.기간 

 

TRIX 산출시 사용되는 지수이동평균의 기간을 의미한다.기본값은 12이다.(TRIX 12일 지수이동평균선을 말한다)

 

 

 

2.시그널 

 

시그널 산출시 사용되는 지수이동평균의 기간을 말한다. 기본값은 9 이다.(TRIX 9일 지수이동평균선을 말한다)

 

 

 

3.투자전략 

 

 

1).시그널 교차를  이용한 매매전략   

 

TRIX 12일선이 시그널선을 골든크로스 할 때 매수하고, TRIX 12일선이 시그널선을 데드크로스할 때 매도하는 전략이다.TRIX의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을 찾는 것으로, TRIX 값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면 하락 모멘텀이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하고, 매수하기 보다는 기다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기준선 0선 돌파 매매전략   

TRIX값을 계산하여 그래프에 나타내면 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는 성질을 이용하여 TRIX12일 지수이동평균선이 0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 0선을 하향돌파하면 매도하는 전략이다.상승추세로의 전환을 예상하고 변곡점을 이용하여 추세전환의 초기에 매수하는 시그널 크로스매매 전략과는 달리 상승추세를 확인하고 이후에 매수하기 때문에 비교적 늦게 포착되는 점이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분봉차트에 저항선 지지선 설정하기

 

 

 

 

위 차트에서 빨간선은 주가 종가선이다. 종목 차트에서 종가선에 커서를 대고 클릭하면 차트유형에서 설정할 수 있다. 맨위에 있는 청색직선이  2차저항선 그다음 진한 청색선이 1차저항선이다.중간에 있는 빨간직선이 당일시가선이다.주가가 당일 시가선을 중심으로 위에 있으면 매수세력이 강하고  밑에 있으면 매도세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겠다.당일시가선을 하향이탈하는 경우  1차지지선은 연청색선이고 그 아래에 노란색선이 2차지지선이다.주가종가선이 어느 시점에서 매수와 매도가 겨루는지를 파악하고 투 자전략을 세우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이는 분봉을 보고 초단기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중장기 투자나 일봉상 지표를 보고 스윙 투자하는 전략에는 큰 의미기 없다고 할 수 있겠다.상단의 보조지표는 MACD지표이다(지수설정 수치는 5.20.5)

 

 

 

1.지표 만들기

 

 

 

◐ 저항선 지지선 설정하기 

 

1).HTS홈트레이딩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지표추가(A)클릭 

2). 찾기에서   p를 입력하고   pivot분봉이 나오면 적용 클릭

3).차트 상단에 pivot분봉이 설정되면 클릭하고 라인설정에서   

 

2차저항

1차저항 

1차지지 

2차지지       모두 체크하고 선 설정후  

 

4). 스케일 가격 체크 확인

5). 기본값으로 저장-확인  ----끝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분봉상 당일시가선  전일고가선 및 저가선 설정  

 

 

 

위 차트에서 빨간선은 주가 종가선이다. 키움증권 영웅문 차트에서 종가선에 커서를 대고 클릭하면 차트유형에서 설정할 수 있다.  맨위에 있는 청색직선이 전일고가선. 중간에 있는 빨간직선이 당일시가선. 아래에 있는 초록색색선이 전일저가선이다. 주가종가선이 어느 시점에서 매수와 매도가 겨루는지를 파악하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이는 분봉을 보고 초단기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중장기 투자나 일봉상 지표를 보고 스윙 투자하는 전략에는 큰 의미기 없다고 할 수 있겠다.상단의 보조지표는 MACD지표이다(지수설정 수치는 5.20.5)

 

 

 

1.지표 만들기

 

 

 

◐1-1   분봉전일고가

 

1).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수식 관리자 선택(M)

2). 기술적 지표 클릭-사용자 지표-새로 만들기-지표명(분봉전일고가)

 

3). 수식 1: 분봉전일고가 

 

                    predayhigh()

 

 

4). 라인 설정-분봉전일고가 에 체크 하고 선 설정 

5). 스케일/가격에 체크-

6).수식 검증(이상이 없습니다)-작업 저장-닫기

 

 

 

 

 

 

◑1-2   분봉당일시가

 

1).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수식 관리자 선택(M)

2). 기술적 지표 클릭-사용자 지표-새로 만들기-지표명(분봉당일시가)

 

3). 수식 1: 분봉당일시가 

 

                  dayopen()

 

 

4). 라인 설정-분봉당일시가 에 체크 하고  선 설정 

5). 스케일/가격에 체크-

6).수식 검증(이상이 없습니다)-작업 저장-닫기

 

 

 

 

 

◑1-3   분봉전일저가

 

1).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수식 관리자 선택(M)

2). 기술적 지표 클릭-사용자 지표-새로 만들기-지표명(분봉전일저가)

 

3). 수식 1: 분봉전일저가 

 

                  daylow()

 

 

4). 라인 설정-분봉전일저가 에 체크 하고  선 설정 

5). 스케일/가격에 체크-

6).수식 검증(이상이 없습니다)-작업 저장-닫기

 

 

 

 

 

 

2.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지표 겹치기-해당 지표 선택하고 적용 클릭-Y 측 표시방법에서-다음 지표와 y측공유/해당 종목을 클릭-확인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거래량에 거래대금 표시하기

 

 

 

 

 

위 차트에서 매수세와 매도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거래량 지표에다가 거래대금 화살표를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화살표 신호 만들기

 

1). 키움증권 영웅문 종목 차트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수식 관리자(M) 선택

 

2). 기술적 지표-사용자 지표-신호 검색-새로 만들기 선택

 

3). 검색 식 명   M10

 

 

    ◎ 수식: 거래량*((고가+저가)/2)>Money

    ◎ 지표 변수: Money   1000000000

 

     

수식 검증(이상 없습니다)-저장

 

 

 

◎. 이와 같이 M10(10억 이상)이 신호 검색 지표에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M30, M50, M100, M500, M1000, M3000, M5000을 추가하면 된다. 수식은 똑같이 해주고, 지표 변수에서 Money  3000000000, Money  5000000000,............. 순서 되로 해주고 수식 검증 -저장

 

 

 

 

2. 차트에 적용하기

 

 

 

1). 종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신호 검색 적용-M을 치면 ㅡM10이 검색되면 선택-종목 차트에 M10이 표시되고 화살표는 봉에 표시된다.

2). 봉에 표시된 화살표를 거래량 지표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차트 상단의 M10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거래량 지표의 공간에 놓는다. 그다음에는 반드시 차례대로 M30, M50,......

순서대로 끌어다가 논 다음 작업이 다 끝나면 반드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한후 차트율 적용/관리에서 일봉을 선택하여야 저장이 끝나게 된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지표설정 일중 강도 지수 ( Bostian,s Intraday Intensity Index )

 

 

 

 

 

 

경제학자 데이비드 보스티언(David Bostian)에 의해 개발된 지표이다. 이는 대량으로 거래하는 메이저들의 행동을 따라 하는 것을 의미한다.

 

 

 

 

 

1. 정의

 

 

​하루의 거래 범위와 종가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비교해 수치화한 것 이다. 종가의 위치가 수요 공급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2. 수식

 

일중 강도 지수 =거래량 * (value1-value2)/(고가-저가)의 누적 

 

 

                                ◎ value1=(종가-저가)의 2승(제곱)

                                ◎ value1=(고가-종가)의 2승(제곱)

 

 

 

 

3. 위 차트에서 후행스팬이 강력한 매수세와 함께 일목균형표 전환선을 돌파하는 경우에 현재 주가도  전환선을 돌파하였으나 하락/횡보를 하고 있다. 이런 경우 단기적으로 주가가 전환선을 이탈하지 않고 지지해 줄 것인지 아니면 전환선을 하향 이탈할 것인지가 단기투자인 경우에 헤갈리게 된다. 이런 경우에 일중 강도 지수 ( Bostian, s Intraday Intensity Index )와 함께 비교하여 BIII지수가 위로 올라가면 세력들이 들어오고, 아래로 내려가면 세력들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확인하여 매매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사용할 수가 있다.  키움증권 영웅문 (지표 추가/전환-기술적 지표)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至山의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