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3.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세 코미코
반응형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세 코미코

 

 

 

 

 

 

 

코미코는 반도체의 정밀세정. 특수코팅 사업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물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회사이다. 2023년 7월 모회사 (주)미코로 부터 반도체 장비용 세라믹 부품 생산 업체인 (주)미코세라믹스를 인수하여 중간지주사로서 역할하게돠었다.메모리반도체산업 회복에 따른 아시아 고객사의 가동률 정상화 및 세정코팅사업 매출 증가. 유럽 장비사 세정사업 확대에 따른 수익성이 기대되고 있다.삼성.SK하이닉스. 인텔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으며 한국.미국. 중국.대만.싱가포르 총 5개국에서 국내외 장비사를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메모리반도체산업 회복에 따른 아시아 고객사의 가동률 정상화 및 세정코팅사업 매출 증가. 유럽 장비사 세정사업 확대에 따른 수익성이 기대되고 있고 미국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하여 글로벌 반도체 공급사로의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반도체는 각종 가스와 용액.고온의 플라즈마 등 물리적.화학적 특성 탓에 생상 장비 부품의 손상과 오염이 잦은 편이다.따라서 짧게는 1주일 길게는 3개월 정도 공정 후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교체에 따른 비용뿐만 아니라 수율에도 크게 영행을 준다.반도체는 워낙 미세한 공정의 연속이다 보니 작은 파티클 하나만으로도 크게 떨어잘 수 있다.코미코는 부품의 세정과 특수 코팅을 통해 수명을 연장시켜 원가경쟁력을 향상시킨다.특정 장비를 남품하는 것이 아니고 직접 세정및 코팅 서비스를 제공한다.즉. 셀 메이커 업체가 오염된 부분을 보내오면 내부적으로 세정.코팅 프로세르를 거친 뒤에 고객사에 납품하는 형태이다.따라서 고객사 라인별.공정별.재질별로 별도의 세정 라인을 구축하고 있다.팹 근처에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계에 지사를 두고 있다.삼성전자.SK하이닉스.TSMC.UMC.인텔.마이크론.중국의 YMTC 등이 주요 고객사이다.따라서 코미코의 매출은 글로벌 반도체 팹의 가동률에 달려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코미코 실적 (단위: 억원, %, 배 ) 10,461,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1.20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237억X22.23)÷10,461,000주=262,866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840억X22.23)÷10,461,000 주=178,503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24,942원X22.23) ÷3.00=184,820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08,729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3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208,729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엑=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 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2021 2022 2023 2024(E)
ROE 24.09 17.50 13.48 20.23
매출액순이익률 18.37 14.56 14.81 16.29
매출액성장률   16.89 6.15 40.41
제무레버리지비율 169.39 150.50 206.23 187.32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2022 2023 2024(E) 
부채비율(%) 69.39 50.50 106.23 87.32
자기자본비율(%) 59/02 66.45 48.49 53.38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평가한다.그러니 부채비율이 150%까지는 안정적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부채비율=(부채총액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 ÷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至山의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