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제수지
일정기간 동안 일국이 다른 나라와 행한 모든 경제적 거래 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타산을 말하고,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한다.이때 ‘일정기간’은 통상적으로 1년을 지칭한다.flow의 개념이다 . 모든 형태의 거래를 포함하는 것으로 재화 및 용역의 거래, 국가간의 이전거래,자본거래등 일체의 거래를 포함한다.
1. 국제수지의 분류
(1).종합수지
국제수지 구성항목 중 경상수지(經常收支) ·장기자본수지 ·단기자본수지(금융계정에 속하는 것은 제외)의 합계.
(2).경상수지
일반적인 상거래,즉각종재화(비누,연필같은 일반적인 상품)와 서비스의 수출과 수입에서 발생한 수지타산을 의미한다. 이때 수입한것이 수출한 것보다 많으면 경상수지가 흑자라고 한다
1). 무역수지(상품수지)
반도체, 스마트폰 같은 재화의 거래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차액을 나타내는 수지를 의미한다.
2).무역외수지
해외여행이나 보험료, 로열티 등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익을 나타내는 수지
(가). 서비스수지
해외여행, 유학, 연수 등 순수한 서비스 거래관계가 있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나타내는 수지.
(나). 소득수지
임금, 배당금, 이자처럼 투자의 결과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익을 나타내는 수지
(다). 경상이전수지
송금, 기부금, 정부의 무상원조 등 대가없이 주고받은 거래의 수입과 지출의 차익을 나타내는 수지
(3). 자본수지
돈만 오고가는 거래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나타내는 수지로서 , 외국으로 나간 돈(해외에 빌려준 돈)보다 들어온 돈(빌려온돈 또는 외국인이 국내주식에 투자한 돈)이 많으면 자본수지가 흑자를 이루었다고 한다.
1).단기자본수지- 1년미만의 자본(돈)이 오고가는 것
2).장기자본수지- 1년이상의 자본(돈)이 오고가는 것
경상수지는 국제간의 거래에서 자본거래를 제외한 경상적 거래에 관한 수지로서 국제수지의 기조를 판단하는 기준이기 되기 때문에 종합지수 다음으로 많이 이용한다.대체적으로 선진공업국은 경산수지가 흑자이어서 수입 또는 자본수출의 여력이 있으나 개발도상국은 경상수지가 적자이므로 외자를 도입하여 생산력을 확충하고 수출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무역수지는 장기적으로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반영하고 단기적으로는 경기순환 등을 반영하기 때문에 국제수지항목중 가장 중요하게 평가된다. 최근에는 흑자/적자크기가 통화의 평가절상, 평가절하의 지표로 간주되고있 다. 무역수지계산법은 국제통화기금방식에 따라 수입,수출의 모두 FOB방식의 가격으로 평가하여 집계하는것이 통상적이다
FOB방식-출항지.선적지 가격
CIF방식-자국항도착시까지의 선임, 보험료를 포함한 가격으로 계산하는 방식
2.국제수지표
국제수지표의 체계는 모든 국제거래를 크게 2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제거래는 각각의 거래가 일어나는 원인과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따라 경상계정(current account)과 자본계정(capital account)으로 나뉜다.
(1).경상계정
무역거래, 무역외거래, 이전거래로 구성된다.
1).무역거래- 재화의 수출과 수입을 포함한다.
2).무역외거래- 주로 용역의 수출 및 수입과 투자수익을 포함한다.
3).이전거래- 국가간에 수수(授受)되는 무상증여를 나타낸다. 이것은 민간이 정부 및 국제기관 기간에 수수되는 모든 국가간의 증여를 포함한다.
(2). 자본계정
1).직접투자
2).포트폴리오투자
한 국가의 국제수지, 즉 수입과 지출은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출이 수입보다 많을 경우 결국 그 국가의 보유외화가 고갈되고 긴급한 재화마저 수입할 수 없게 되어 경제가 파탄에 이를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수입이 지출보다 많은 경우도 반드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는데, 이것은 수출재화가 제 값을 받지 못하고 싸게 수출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고, 획득한 외화를 단순히 축적하는 데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여 외국의 소비재·자본재·원자재를 수입함으로써 국민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시장변동성요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복합적 변동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떻게 싸울 것인가? (0) | 2024.08.09 |
---|---|
11.폭락장은 영원하지않다.물론 상승장도! (0) | 2024.07.25 |
9.한국형 헤지펀드 (0) | 2023.06.20 |
8.헤지펀드의 정의 및 특성 (0) | 2023.06.19 |
7.에코프로와 쇼츠퀴즈 (0) | 202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