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11. 13:01 시장변동성요인1
7.에코프로와 쇼츠퀴즈
반응형
●에코프로와 숏스퀴즈
숏커버링은 공매도한 주식을 갚기 위해 주식을 다시 환매수하는 것을 말한다.공매도는 빌린 주식으로 매도하기 때문에 반드시 주식을 다시 매수하여 상환하여야 한다.선물시장의 용어에서 롱(long)은 매수하다, 숏(short)은 매도하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공매도 잔고가 높은 종목중에서 이 숏커버링이 들어오면 주가는 단기적으로 상승 할 수 있다.숏커바링의 수혜를 볼 수 있는 종목은 당연히 그 동안 공매도 물량이 쌓였거나 대차거래잔고가 많은 종목이 될것으로 보겠다.이들 종목에서 공매도 물량이 많이 쌓혀있다는 것은 하락에 베팅한 세력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 기업의 실적이 나날이 성장하여 매수하는 투자자들도 많아진다면 반대로 주가는 급등할 여지가 커질 수 있다.이렇게 되면 공매도를 했던 세력들은 주가의 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를 했지만 주가가 급등할 수록 손실이 커지게 되므로 빌린 주식을 상환하기 위해서는 숏커버링에 나설 수 밖에 없고, 이 숏커버링으로 인한 주식의 급등세는 더 가파라지게 된다.이 처럼 예상하지 못한 상태로 주식이 급등하는 경우 상승하는 주식을 사야만 하는 공매도 세력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주라도 더 사기 위하여 주식을 쥐어 짜듯이 매수하게 된다는 의미로 (short+squeeze)를 합성한 용어를 숏스퀴즈라고 한다.
1.2023.6.14 조회 공매도잔고 상위 종목
코스닥 시장 공매도 잔고 상위 종목에서 에코프로는 20236.14일 기준으로 6.00%로 4위를 기록하면서 공매도 잔고 금액은 1,064,678,073,000 원에 이른다.
2.2023.6.16일 에코프로 공매도 종합정보
개별종목 공매도 종합정보를 통해 일별 공매도 수량과 잔고수량이 중요하다고 보겠다.잔고수량이 증가추세인지 감소추세인지를 모니터링하여야 한다.6월14일 까지의 잔고수량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업틱률이란 대차한 주식은 매도를 할 때 현재가 보다 호가가 높은 가격으로만 매도 할 수 있다.예를 들어 현재가 1만원이면 1만 500원, 1만 1000원에 매도할 수 있다.이는 업틱률을 적용하지 않으면 현재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내놓아 주가 하락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이다.
3.2023.6.16일 에코프로 공매도 거래추이
공매도잔고 데이터가 최근 조회일로부터 +2일은 처리가 되지 않으므로 최근 장마감일의 공매도 종합사항을 체크하기위해서 KRX의 개별종목 공매도 거래 개별추이를 통해 공매도 거래량의 추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대체적으로 공매도 거레량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에코프로의 공매도 금액이 1조600억정도가 되고 있다는 것은 공매도세력과 에코프로 일반투자자들과의 혈투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양자간의 이익과 손실이 엄청나게 대립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4.에코프로 일목균형표 일봉 추세차트
일목군형표 일봉상 TRIX저가 준심선은 1차적 상승추세를 마무리하고 2차적 상승추세를 보이는 구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겠다.잎 구름층에서 선행스팬1과 2의 추세가 정배열 추세에 놓여 있으나, 구름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게 일어날 수 있다고 보겠다.선행스팬1의 추세에서 갈색지지산을 그으면 하단 지지선이 되고 주가가 이지지선을 하향 이탈하는 경우에는 공매도세력의 매도세가 확대될 수 있다.반대로 상단의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공매도 세력의 숏커버링이 들어오고, 공매도 세력의 손실이 커져가는 구간에 진입하게 되어 숏스퀴즈가 발생할 수 있다.따라서 2023년 6월19일 시장은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보겠다.
5.수급동향
최근 수급동향에서 공매도 세력중에서 기관투자자 및 기타법인(일반법인회사)에서 먼저 숏커버링이 들어오는 듯한 매수물량이 늘어나고 있고, 이어서 외국인들도 일부 숏커버링이 들어오는 듯한 하면서 공매도 물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추세가 보인다. 2023.6.14일 처럼 어떠한 핑계만 있으면 악재를 부각시켜 주가를 떨어뜨리기 위해 외국인고 기관들이 손을 마주 잡는 날도 있지만 금융투자(증권사),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와 기타법인은 공매도에서 서서히 손을 빼는 모습이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이다.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반드시 수급동향괴 공매도 종합추이를 통해 공매도잔고와 공매도 금액이 감소하는지 증가하는지를 모니터링힐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위의 사례는 공매도와 숏스퀴즈의 예를 말하는 것이므로 종목을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반응형
'시장변동성요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9.한국형 헤지펀드 (0) | 2023.06.20 |
---|---|
8.헤지펀드의 정의 및 특성 (0) | 2023.06.19 |
6.대차거래와 신용거래 (0) | 2023.06.05 |
5.공매도와 대차잔고 (0) | 2023.06.04 |
4.공매도 순기능과 역기능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