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22. 01:34 종목의 탐색2
8.미국시장 매출증가로 실적개선 한국콜마
●미국시장 매출증가로 실적개선 한국콜마
화장품 ODM사업. 제약 CMO사업. HB&B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화장품업계 최초로 국내에 ODM 방식을 정착시키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로 업계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사업부문별로는 한국콜마 및 해외 자회사로서 중국, 미국, 캐나다는 화장품 ODM사업을 영위하고 자회사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과 HB&B사업을 영위하고 있다.자외선차단제 매출 비중이 높다.애터미를 비롯 조선미녀. 스킨1004. 메디힐. 아누아 등 한국 화장품 글로벌 모멘텀을 주도하는 주요 업체들에 스킨 제품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제조사들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1년 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개선된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을 미국·일본 등 신규 진출 지역에서 만회하면서다.한국콜마도 미국 수출 효과를 톡톡히 봤다. 국내 공장에서 생산하는 주요 고객사들이 대부분 미국 수출 물량으로 매출 규모를 키우고 있어서다. 한국콜마의 경우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6157억원. 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38.3%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코스맥스도 매출액 5128억원, 영업이익 365억원으로 각각 17.4%, 62.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화장품 제조사는 지난해부터 미국 현지 고객사를 확보하는데 주력 중이다. 한국콜마는 건립 중인 미국 제2공장을 2025년 상반기 중완공하고 제1공장과 함께 북미법인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기존 1억8000만개에서 3억개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최근 북미 시장에서 신규 고객사 유입이 늘면서 현지 생산력을 확충한 것이다.
1.시장밸류 분석은 다음과 같다.
한국콜마 실적(단위: 억원, %, 배 ) 22,881,000 주
![](https://blog.kakaocdn.net/dn/c0tDXE/btsLV58b8I8/nAeONZtkx1IzYE5h3reW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d3Hv/btsLWt8OV8M/6YNxaoXeARWcfFlEDXONQ0/img.jpg)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 2025.1.22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2.102억X10.29)÷22,881,000주=94,531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998억X10.29)÷22,881,000 주=44,882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30,824원X10.29) ÷3.00=105,762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9,380원 |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1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81,725원으로 분석하였다.2024년 매출액성장률 12.95% 를 할증한 최종 수정목표가는 92,308 원이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 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
①. <(당해연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 (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 (자산총계X100)÷자본총계=재무레버리지비율
% | 2021 | 2022 | 2023 | 2024(E) |
ROE | 5.48 | -3.26 | 0.79 | 10.29 |
매출액순이익률 | 2.74 | -0.22 | 4.66 | 4.63 |
매출액성장률 | 14.98 | 13.45 | 12.95 | |
제무레버리지비율 | 191.68 | 199.62 | 122.14 | 207.46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레버리지비율이 250이상 300까지는추정목표가의15%할인, 300% 이상은 20%할인 하여 목표가를 추정할 수 있다. |
▶다음은 부채비율, 자기 자본비율로 안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2021 | 2022 | 2023 | 2024(E) | |
부채비율(%) | 91.68 | 99.62 | 112.14 | 107.46 |
자기자본비율(%) | 52.17 | 50.09 | 47.12 | 48.20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자기자본비율은 70%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평가한다.그러니 부채비율이 150%까지는 안정적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부채비율=(부채총액x100)÷자본총계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 ÷자산총계 |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 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kw3V/btsLT4b9RPJ/GeEdV4Prc0kW1UDCzgdBqk/img.jpg)
'종목의 탐색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테이터센터 액침냉각기술 GST (0) | 2025.01.22 |
---|---|
9.니케게임 글로벌 매출 호조로 수익 증가 시프트업 (0) | 2025.01.22 |
7.한화화그룹의 방산 3사 2025년 지속적 호실적 가능 (0) | 2025.01.21 |
6.세계최초 독보적 원천기술확보 HPSP (0) | 2025.01.21 |
5.지속적인 성장세 경동나비엔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