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7. 10:00 종목창고1
12.전고체배터리 한농화성
반응형
●전고체배터리 한농화성
글로벌 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대량양산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리튬황.리튬메탈.전고체 배터리 등이 상용화돼야 한다는소식이 전해지고 있다.한농화성은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과 상용화 기술 개발의 국책과제 주관기업으로 한국 화학연구원·LG화학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테슬라가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4680 배터리를 사용해 2차전지 산업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로봇부터 인공지능 AI .드론 등 첨단산업에 배터리가 활용되는 신시장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이 급성장하는 로봇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기술이 선행돼야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업계에서는 휴머노이드의 대량 양산과 상용화를 위한 마지막 허들이 배터리 기술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 2022년 AI 데이를 통해 공개된 테슬라 옵티머스의 사양을 보면 전체 로봇의 무게가 73kg이고 2.3KWh의 에너지를 갖는 배터리팩을 가슴 부위에 배치하고 있다. 2.3KWh는 일반적인 작업 환경 기준으로 2시간이면 완전 방전되는 수준의 양이다.작업 시간 동안 2시간 마다 충전을 빈번하게 한다는 건 작업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고성능의 배터리 기술이 필요함을 방증한다. 휴머노이드의궁극적인 상용화 목표는 가정용에 있다. 세대마다 1대의 휴머노이드가 보급된다고 가정한다면 결국 관건은 고용량 고밀도의 배터리 기술이 필수요건이 된다. 2.3KWh의 배터리 용량으로 테슬라 전기차에 탑재될 4680 배터리 셀의 기본 사양을 감안하면 배터리 팩 무게는 대략 10에서 12kg정도가 된다.배터리 탑재량을 늘리게 되면 무게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족 보행과 높은 자유도의 손 작업에 제약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차세대 배터리 기술 중 리튬황. 리튬메탈.전고체 배터리 등이 상용화돼야 동일한 무게로 에너지 용량을 2배 가량 늘릴수 있게 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한농화성은 농업용 화학부터 참단화학제품까지 다양한 정밀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다.사업부문별로 GE(Glycol Ethers).EOA(Ethylene Oxide Additives).EM(Emulsifier)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분자 전해질 개발에 참여하고 전고체 베터리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글리콜에테르와 계면활성제 제품의 해외 수출 증가와 내수 매출 호조로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원자재 가격 상승과 영업 환경 악화로 인한 매출원가 증가로 매출원가 증가하였다. 제품의 경쟁력 강화. 해외 시장 수요 증가. 전략적 제휴 및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해외 수츨이 증가였다.
반응형
'종목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SK바이오팜 (0) | 2025.03.23 |
---|---|
11.정보기술 IT비즈니스 LG씨엔에스 (0) | 2025.02.15 |
10.신사업 AI 비지니스 SK텔레콤 (0) | 2025.02.15 |
8.천연액화가스 LNG 관련주 (0) | 2025.01.27 |
7.자회사 실적호조 LS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