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1.전통적투자와 대체투자
반응형

 

 

 

 

 

●전통적투자와 대체투자

 

 

 

 

 

1.전통적투자

 

 

 

주식, 채권 같은 투자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투자란 이런 전통적인 투자가 아닌 나머지 모든 대안투자 방식을 말한다. 사모펀드나 헤지펀드는 투자대상이 주식이나 채권이기는 하나 주식시장 등을 통한 기존의 투자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대체투자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무용빌딩 같은 부동산에 투자하는것도 대체투자로 분류하고 있다.

 

 

 

 

 

 

2. 대체투자

 

 

 

1).실물형 대체투자

 

사무용빌딩이나 백화점 같은 데 투자하는 부동산 투자 공항,항만 같은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하는 인프라투자가 대표적이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석유, 광물 같은 자원개발투자 역시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기업형 대체투자

 

주식과 채권의 형태로 기업에 투자하지만 일반 대중이 참여하는 시장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투자와 다르게 구분된다. 사모펀드나 헤지펀드가 이에 해당된다.주식을 고위험-고수익자산으로, 채권을 저수익-저위험자산으로 분류한다. 실물형대체투자는 주식과채권의 중간정도에 해당하는 중위험-중수익이라고 할 수있고, 기업형대체투자는 주식보다 더 높은 위험을 추구하는 고위험투자라고 볼 수 있다.

 

 

 

 

 

 

3. 대체투자는 누가 하는 것 일까?

 

 

글로벌금융위기 여파로 "주식과 같은 자산은 위험하다" 라고 교육된 효과로 위험자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대부분의 국가가 자국의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인위적저금리정책을 펴기 때문에 채권투자 역시 그 메리트가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가입자에게 보험금이나 연금을 지불하기위하여 보험회사나 연기금같은 기관은 그동안 전통적이 투자방식인 채권위주의 투자방식을 고수하기가 어렵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가 대체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저금리시대에 낮아진 투자수익률을 조금이나마 높이고, 서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분산투자하여 위험을 회피하가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4. 대체투자가 가지는 위험요인

 

 

 

대체투자가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단점은 낮은 유동성이다. 주식이나 채권처럼 시장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투자자의 입장에서 현금이 필요할 때 즉각적으로 현금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사모펀드 같은 경우에는 투자초기에 일정 기간 환매자체를 금지하는 조항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 투자가 대체투자에 직접나서기는 쉽지않다. 기본적으로 상당한 기간 동안 돈을 굴릴 수 있는 기관투자자에게 적합한 투자상품이다. 대신에 개인은 간접적 방법으로 대체투자를 하는것이 더 유용한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반응형

'시장변동성요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대차거래와 신용거래  (0) 2023.06.05
5.공매도와 대차잔고  (0) 2023.06.04
4.공매도 순기능과 역기능  (0) 2023.02.10
3.공매도와 대차거래의 정의  (0) 2023.02.04
2.불공정한 공매도 제도  (0) 2022.06.29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至山의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