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7.이동평균선 후행성 극복지표 MACD
반응형

 

 

 

 

●이동평균선 후행성 극복지표 MACD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법으로서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되었다.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어느 시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게되는 가장 큰 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1.MACD의 계산

 

 

이동평균선은 실제로 주가보다 늦게 움직이는 후행성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평균값의 산출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MACD는 두개의 이동평균선의 괴리도가 가장 큰 시점을 찾아내므로 이동평균선이 갖는 후행성을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는 지표로 대표되고 있다.

 

 

 

 

(1).MACD선/단기 지수 이동평균선(12일)-장기 지수이동평균선(26일)

 

(2).MACD SIGNAL선/MACD의 n일(9일)동안의 지수 이동평균

 

(3).MACD 오실레이터/MACD-SIGNAL LINE

 

 

 

 

2.MACD의 해석

 

 

 

(1)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가 일어나는 시점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최대가 되는 시점이다.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가 일어나는 시점의 후행성을 두 이동평균선의 괴리가 최대가 되는 점을 찾아 후행성을 극복하여 이를 이용하여 매매를 한다.

 

1).MACD선이 아래에서 시그널선(MACD의 n일 지수 이동평균)을 상향돌파/매수신호

2).MACD선이 위에서 시그널선(MACD의 n일 지수 이동평균)을 하향돌파/매도신호

 

 

 

 

(2).MACD의 0선 돌파

 

 

MACD선이 0선을 돌파한다는 것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교차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가격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와 같은 시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3. 단기적 매수와 매도시점을   포착하기 위한 MACD선과 시그널선의 교차

 

 
 

1).MACD선/단기 지수 이동평균선(5일)-장기 지수이동평균선(10일)

 

 

2).MACD SIGNAL선/MACD의 n일(5일)동안의 지수 이동평균  일봉상과 분봉싱에서 좀더 빠르게 메수하고 매도하기 위한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위 차트의 1번구간, 2번구간, 3번구간에서처럼  MACD와 시그널선의 골든크로스 시점에서 매수하고 데드크로수 시점에서 매도하는 단기적 투자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至山의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카테고리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