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2. 7. 18:02 주식펀더멘탈
6.종목선정을 위한 튜닝
반응형
●#종목선정을 위한 튜닝
1.종목선정을 위한 튜닝
(1). 종목튜닝의 정의
tun-ing 이란 조절, 조율이라는 어휘로 쓰이는 말이다. 흔이 악기연주 합주자들이 본격적인 합주에 들어가가전에 연주자 각자가 가지고 있는 악기의 음을 어떤 기준 악기에 맞추어 음을 조절하여 본격적인 합주에 들어가서 생길 수 있는 파열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주식투자에 있어서 종목튜닝은 1차튜닝은 기본적분석을 통하여 기업분석을 하고, 2차튜닝은 차트분석을 통하여 수급분석과 가격분석을 하여 향후 투자를 실행한 이후에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수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투자에 앞서 반드시 거쳐야할 필수적인 과정이다.
1. 종목튜닝(종목선정)의 방법
1). 기본적분석
▶현재 시장에 있어서의 트렌드(추세)파악이 중요하다고 보겠다.
①.현재 시징이 상승장인가? 하락장인가? 그에따른 주도주섹터, 경기민감주, 대형주 위주인가 그렇지 않으면 내수주, 방어주, 중소형주 위주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실적시즌에 있어서는 이미 매출액이 향상되고 꾸준한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가?
③. 환율의 뱡향에 따른 피해주인가? 아니면 수혜주인가?
④.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의 비율조정은 어떻게 할 것인가?
⑤. 시장의 메이저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섹터는 무엇인가?
▶내 자금의 성격은 빌려온 돈인가? 여유있는 내 자금인가? 에 따라 단기적투자를 할 것인지, 중장기적 투자를 할 것인지에 따라 자금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소한 알아야 할 기본적 펀드멘탈 지표
①.성장성을 보기 위하여 매출액, 영업이익, 순익률등 이 성장하는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②.외형의 성장성과 함께 기업의 수익성도 성장하는지를 위하여 ROE(자기자본수익률). 당기순이익 , 매출액순이익률.총자산회전율 이 증가하는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③.기업의 안정성을 체크하기 위하여 부채비율과 재무레버리지비율, 자기자본구성비율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실적을 통해 펀드멘탈(기초체력)이 튼튼한 종목이 선정되었으면 적정목표주가를 파악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고 투자 의사결정을 했다면 다음은 기술적 차트로 주가가 고점에 있을 때 따라잡지 말고, 저점구간에 있을 때 분할매수하는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그러한 종목이 안보이면 일단은 투자를 보류 신중한 접근으로 종목선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보겠다.
2).기술적분석
차트를 통한 가격분석/자기만의 원칙
3).매도목표치 설정
투자자가 특정한 가격목표를 설정하고 그 가격이 오면 팔려고 하지만, 주가는 자기 나름대로 시장의 논리에 따라 오르거나 내리게 되어 있다. 투자자의 매도 목표치가 적절하다는 보장도 없고 주가가 반드시 미리 설정한 목표치에 도달한다는 확신도 가질 수 없다. 투자자가 애초에 설정한 목표치가 너무 낮아서 주가가 단기간에 목표치를 달성해 버리거나, 목표치를 달성하고도 한참이나 상승세를 이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어느 종목을 매수하고 합리적으로 목표치를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수많은 사람들로 구성된 주식시장에서 수많은 종목들이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매도 목표치를 정하는 것이 칼로 무 베듯 일률적으로 적용된다고 고집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다. 어떤 종목을 매수하고 적정한 목표치를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그 주식을 매수하였을 때에 비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목표치를 상황에 따라 상향조정이나 하향조정을 하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 하향조정보다는 상향조정에는 아주 신중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매도목표를 상향조정한다는 것은 자칫 탐욕으로 흐를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격언에 " 무릅에서 사고 어깨에서 팔아라" 는 말이 있듯이 이는 자신의 탐욕을 억제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러서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어느정도 수익은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는 미덕으로 " 나는 이 정도에서 수익을 남기고 말테니 나머지 수익은 당신들이 취하시구려" 하는 여유가 바로 자신의 탐욕을 억제하는 노하우가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자금이 단기성 자금이라면 반드시 지지선을 설정하고 그 지지선이탈시에는 매도하여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①.단기매매에 있어서는 매수원가는 잊어라. 그리고 수익이 날 때는 정해진 기준선에 따라 철저하게 챙겨라. 매수원가가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두고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은 참으로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이다. 그러나 주식은 투자자가 주식을 싸게 매수했건 비싸게 매수했건 상관없이 제 나름대로 움직인다. 매수원가는 잊어라. 그리고 그 이후의 주식의 움직임에만 철저 대응하고 정해진 지지선이 이탈하면 아픔을 철저하게 감수하고 그 원칙을 지켜야만이 냉정한 주식시장에서 살아남는다. 만약에 그것이 어렵다면 자신에게 단기투자방법은 맞지 않기 때문에 단기투자보다는 중장기 투자를 하는 방법이 옳다고 할 수 있겠다.
②.단기성자금으로 투자하는 경우에는 당초 예상하였던 주가의 움직임과는 달리 매수한 이후 하락하기만 한다면 이는 손절매를 정한 라인에서 철저하게 손절하여 일정한 수준에서 손해를 막아야한다. 이는 원칙이다. 원칙이 훼손되면 리듬이 깨지고, 리듬이 깨지면 이후의 투자도 순조롭지 못하다. 오늘 하루만 주식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절매는 실패가아니고 훌륭한 성공전략의 하나가 된다. 물론 손절매를 다른 사람보다 너무 많이 한다면 자신의 종목선정 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종목선정에 신중을 기할 필요성이 있다. 손절매는 단기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거래방법이다. 일단 한 번 설정된 손절목표치를 낮추거나 혹은 손절매 주문을 취소 해버리는 사례가 몇차례 반복된다면 이후 손절매의 원칙을 지킬 수가 없게 된다. 손실을 보는 일이야 가슴아프지만, 독하게 마음먹고 손절매를 통하여 손실을 입는 경험이 나중에 더 큰손실을 막고 , 주식투자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매매습관이 될것이다.
반응형
'주식펀더멘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엘리어트파동이론2 (0) | 2023.05.06 |
---|---|
7.엘리어트 파동이론1 (0) | 2023.05.06 |
5.공모주청약계좌개설 방법 (0) | 2022.05.27 |
4.공모주청약의 목적과 배정방식 (0) | 2022.05.27 |
3.안정성 가치투자 장기포지션이다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