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31. 09:42 일목균형표 추세매매
5.일목균형표 단기고점 및 추세의 흐름
반응형
●일목균형표 단기고점 및 추세의 흐름
차트1-1 후행스팬추세의 고점과 TRIX고가선의 고점
추세상승하던 주가가 어느 덧 일봉상에서 단기적으로 고점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세력들은 반드시 차익실현하기 위해서 주식을 팔게된다.세력들의 많은 물량은 한 꺼번에 팔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장중에 팔았다 샀다 하면서 결국은 하락추세가 진행돨 수 있을 정도로 주식을 팔아 차익실현을 하게 된다.이러한 현상 때문에 주식시장에서는 추세의 관성이 생기게 된다.즉, 오를 때는 일정한 방향으로 꾸준하게 오르려는 현상이 있고 내릴 때는 일정한 방향으로 꾸준하게 내리려는 현상이다.주가의 고점구간에서는 TRIX고가선은 주가의 위에서 수평으로 길게 저항선을 긋고 주가가 상방을 돌파하는 것을 강력하게 저지하게 된다 .차트에서 초록색 원 2번의 주가는 이로부터 26일 과거로 돌아가서 후행스팬이 초록색 1번원에서처럼 추세가 아래로 꺾이는 시점은 초록색 원2번에서 주가가 아래로 꺾이는 모습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초록색 원 2번의 주가는 정확하게 TRIX고가 노란색선이 수평으로 선을그으면서 주가의 길을 막아버리자 저항을 맞고 밑으로 하락하였다.이 처럼 고점에서 TRIX고가선이 수평으로 길게 선을그으면서 저항선을 만들면 주가는 더 이상 위로 돌파하지 못하고 밑으로 흘러내릴 수 밖에 없다.그것은 주가가 어느 정도 올랐기 때문에 새력들이 차익 실현을 하기 때문이다.
차트 1-2 후행스팬과 현재주가의 흐름 및 앞구름층의 추세방향
일목균형표의추세분석에서 초록색 원의 1번구간 후행스팬.초록색원의 2번구간 현재주가.초록색원의 3번구간 앞구름층의 추세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간적가치의 흐름이다.현재주가는 후행스팬으로부 터 26일 .앞구름층의 현재추세는 현재주가로부터 26일의 시간적가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후행스 팬의 추세는 현재주가의 추세의 흐름을 그대로 선으로 이어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다시말하자면 현재주가의 흐름을 26일 과거로 거슬려 올리는 자리에 위치시켜 선으로 이어서 현재주가의 흐름의 추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일목균형표에서는 가장 중요한 추세로 여겨지고 있다.후행이라는 말에 이해하는데에 상당한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현재주가가 후행스팬의 위치로부터 26일 앞에서 봉이라는 형태로 당일 종가를 나타내고 있다면 이 당일의 종가를 그대로 후행스팬의 위치에서 선으로 나타내서 추세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따라서 후행스팬은 과거의 주가의 흐름이 아니고 현재주가의 흐름을 선이라는 형태로 시현하면서 우리에게 일목 즉, 한눈에 시세의 흐름을 파악하게 하려는 것이다.마찬가지로 현재주가로부터 26일 앞에 선행시켜 놓은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추세의 흐름도 결국은 현재주가의 시간적가치의 흐름을 계산하여 배치하여 놓은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현재주가와 동시에 시간적가치의 흐름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서 추세방향의 공간적가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초록색2번원에서 현재주가는 TRIXR고가선(노란색 수평저항선)이 길을 막자 더 이상 우상향 추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밑으로 하락하였다.밑에는 연한하늘색 단기추세선인 전환선과 검은색 중기추세선인 기준선이 있다.현재주가가 상승추세를 보이는 동안은 주가>전환선>기준선이 정배열 우상향추세를 보인다.그러나 주가가 저항선에 가로막혀 돌파하지 못하고 밑으로 추락하는 경우에는 제일 먼저 주가 전환선을 데드크로스하게된다. 이 때 전환선의 추세가 우하향으로 꺾이는 경우에는 전화선<주가의 역배열상태가 되면서 단기하락추세를 보인다.그러나 전환선 밑에 있는 기준선이 우상향 추세를 유지하고 있고 주가가 기준선위에 있는 동안은 중기추세가 완전하게 꺾였다고는 볼 수 없다.따라서 이 구 간에서는 상단의 TRIX고가선(매도세력)과 하단의 TRIX저가선(매수세력)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반등과 반락이 일어나고 있다.결론은 이 힘겨루기에서 승리하는 쪽으로의 추세저환에 따른 흐름의 변동이 결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그에 대한 판단은 현재주가로부터 26일 앞에 선행시켜놓은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시간적가치의 흐름에서도 볼 수 있겠다.단기적으로는 선행스팬1의 추세의 흐름과 장기적으로는 선행스팬2의 추세의 흐 름이다.선행스팬1의 추세선은 현재의 (전환선+기준선)÷2로 평균값을 구하여 26일앞으로 선행 배치하여 놓은 선을 말한다.선행스팬1은 현재주가의 흐름에 대하여 단기적인 힘의 균형과 시세의 중심을 나타내는 지표이다.선행스팬2의 추세선은 당일을 포함한 최근 52일긴 최고가와 최저가의 중간값을 구하여 52일 앞에 선행배치하여 놓은 선을 말한다.장기적인 힘의 균형과 시세의 중심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변동 속도가 가장 느린 선이다.
일목균형표의 핵심은 시간론에 있다.시세의 주체는 시간에 있고 가격은 결과로써 따라오는 것이다라는 대명제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앞구름층에서 단기적으로 26일간의 평균값이 오르고 있다면 그 시간적 가치의 결과인 가격은 오를 것이다. 장기적으로 52일 간의 중간값이 오르고 있다면 그 시간적가치인 가격도 오를 것이다.이 두개의 시간적 가치가 정배열 우상향으로 흐르면 붉은 구름이라는 공간적가치를 만들어내고 이 두개의 시간적가치가 역배열 우하향으로 흐르면 검은구름이라는 공간적가치를 만들어 낼 것이다.현재주가의 단기적흐름은 첫 번 째로 선행스팬1의 추세와 연동되어 있다.26일간의 평균값이 올라가면 선행스팬1의 추세는 단기적으로 우상향 추세를 보일 것이다.현재주가도 단기적 반등을 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단기적 반등추세가 상승추세로 가기 위해서는 장기적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선행스팬2의 추세가 중요하다.이러한 설명은 차트 1-3에서 보기로 하겠다.
차트 1-3 현재주가로부터 26일 앞에 선행배치한 선행스팬
선행스팬2의 추세는 장기적추세흐름을 포착할 수 있는 지표이다.이 선행스팬2가 우상향 추세를 보아는 경우에는 단기적추세를 보이는 선행스팬1의 추세가 등락을 보이더라도 결국은 현재주가의 추세는 눌림을 보이다가도 매세력의 유의미한 유입으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상승추세가 유지될 수 있는 흐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선행스팬2의 추세가 초록색원의 1번에서 보는바와 같이 옆으로 누워 횡보를 보이는 동안은 현재주가는 선행스팬1의 추세가 상승하더라도 등락을 되풀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결국 상승추세의 지속은 이 선행스팬의 추세가 초록색원의 2번 구간의 시점에서 추세가 우 상향으로 전환되면 역시 선행스팬1의 추세역시 우 상향추세가 되면서 구 름층이 정배열 우상향 추세를 보이게 되어 현재주가도 상승추세로 전환돨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구름층의 상승추세의 전환은 결국은 매도세력과 매수세력간의 힘겨루기에서 어느쪽으로 우세지는가의 시간적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우리는 그것을 수급이라고 한다.이 수급이 결국은 일목균형표의 시간적가치를 완성시켜서 구름층의 공간적가치를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이 이루 어진다면 현재주가는 단기적지표인 전환선과 중기적지표인 기준선과 현재주가>전환선>기주 선이 장배열 우 상향추세를 유지하면서 상승추세를 이루는 것이다.이러한 현재주가의 움짐임과 함깨 항상 같이 파악할 수 있는 주가의 고점과 저점에서 부딪치는 TRIX고가선과 저기선에서의 매도세력과 매수세력의 움직임ㅇ ㄹ 파악하여 지금이 살자리인지 팔자리인지를 분석하는 것이 추세분석의 목적이리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일목균형표 추세매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일목균형표의 파동종류 (0) | 2024.06.09 |
---|---|
6.일목균형표 월봉상 저점매수구간과 후행스팬의 추세 (0) | 2024.06.08 |
4.후행스팬 추세지표와 TRIX가격선 (0) | 2024.05.29 |
3.일목균형표 선행스팬 추세지표 (0) | 2024.05.19 |
2.일목균형표 전환선과 기준선 추세지표 (0) | 20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