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5. 18:22 종목창고1
11.HBM반도체장비와 산업용로봇 제우스
반응형
●HBM반도체장비와 산업용로봇 제우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산업용 로봇.밸브 SYSTEM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매엽식 웨이퍼 세정장비.디스플레이 열장비.검사장비.공정장비 및 산업용 Robot. Process 플러그 밸브 등이다.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쓰리젯.쓰리젯메탈.일본기업JET 등 국내외 13개사이다.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TBDB(임시본딩·디본딩). PEP(고온·고식각율식각장비) 등 신규 아이템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제조·첨단 패키징 혁신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펄스포지사와 포토닉 디본딩 자동화 장비도 개발 중이다.제우스는 HBM으로 인해 2024년 호실적을 기록했다.매출액 4,908억.영업이익 588억.당기순이익 431억이다.고객사의 HBM 투자 확대에 따른 첨단 패키징 AVP세정 장비의 납품 본격화가 주요인으로 밝혀졌다.
세정장비를 만드는 전 세계 기럽은 3개 정도가 있다.독일 수스마이크로텍.일본 도쿄일렉트론.제우스이다.제우스 HBM 전용 세정정바를 경쟁사보다 빠르게 개발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다.2025년에 예상되는 장비 매출과 관련해 최근 납품이 이연된 일부 장비는 올 상반기에 셋업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역성장한 자회사 JET를 통한 중화권향 장비 매출도 올해엔 정상화될 것으로보인다.2024년 하반기에 공급 계약을 맺은 디스플레이 반송 로봇 매출도 올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025년 예상 추정실적은 매출액 5525억원(+17%).영업이익 569억원(+22%)"으로 전망되고 고객사의 HBM 추가 투자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로봇 부문의 성장과 관련해서는 최근 수주한 디스플레이 반송로봇은 계약 기간 등을 감안 시 대규모 수주로 예상되며 단순 유통 뿐 아니라 제조 및 서비스 인력 등을 직접 운용해 이익 기여도도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불어 산업용 로봇 브랜드 ZERO의 성과도 주목된다. 자율이동 ARM 등에 사용이 용이해 제조업 및 F&B 분야에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다관절로봇과 AMR을 결합한 기술로 국내 고객사와 프로젝트를 협의 중이라고 밝혀졌다.2018년 일본 업체의 산업용 로봇 사업 부문 인수를 통해 엑츄에이터 모듈 기술을 확보한 후 모터 자체 제작 기술 등을 확보했다. 다른 산업용 협동 로봇 대비 ZERO의 경쟁력은 가벼운 무게와 낮은 전기 사용량으로도 높은 정밀도 구현이 가능한 경량 로봇이라는 점이다.제우스가 수주한 디스플레이 반송로봇은 국내 장비사를 통해 해외 고객사로 최종 납품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계약 기간 등을 감안 시 대규모 수주로 예상되며 제우스가 단순 유통 뿐 아니라 제조 및 서비스 인력 등을 직접 운용함에따라 이익 기여도 또한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2024년 7월 제우스는 아바코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반송 로봇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6년 1월 31일까지다. 계약금액은 계약 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 요청 등에 따라 유보기한인 2026년 1월 31일 이후 공시할 예정이다.제우스의 산업용 로봇 브랜드 ‘ZERO’의성과도 주목되고 있다. 로봇 부문의 성과 본격화와 반도체 부문의 해외 고객사 확대 및 신규 장비 개발 모멘텀이 지속됨에 따라 본격적인 기업가치 제고가 이루오질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반응형
'종목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유리기판 TGV 장비 필옵틱스 (0) | 2025.02.24 |
---|---|
9.뷰티 디바이스 에이피알 (0) | 2025.02.12 |
10.로봇용 감속기 선두주자 에스비비테크 (0) | 2025.02.09 |
9.로봇 솔루션 및 서비스 클로봇 (0) | 2025.02.07 |
8.뇌 수술용 의료 로봇 고영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