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2. 1. 20:06 지표설정 하나
5.보조지표 활용과 다이버젼스
반응형
●보조지표 활용과 다이버젼스
전반적인 추세의 흐름은 매수세력과 매도세력간의 결정체로 나타나는 주가의 위치와 거래량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기본적추세의 흐름이 파악이 된 다음 현재의 위치가 매도자리인가? 매수자리인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판단방법으로 사용할 때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추세의 초기 단계에서는 보조지표에 크게 유의할 필요가 없겠으나. 추세의 움직임이 완성단계에 이르면 보조지표가 나타내는 신호에 세밀하게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보조지표의 신뢰도는 기간이 길수록 그 신뢰도가 높다. 월봉상/주봉상의 매수신호가 나오고 일봉상 매수신호 발생하면 그 신뢰도가 높다고 하겠다. 추세구간에서는 MACD지표의 신뢰도가 크고, 비추세구간에서는 스토캐스틱지표의 신뢰도가 높다.
1. 다이버젼스
1). 주가와 보조지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주가와 보조지표의 힘의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나간다는 것으로서 이는 현재의 진행추세가 지속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주가는 고점을 높혀가고 있음에도 보조지표가 고점을 낮추어가고 있거나, 반대로 주가는 저점을 낮추어가는데 보조지표는 저점을 높혀간다면 이는 방향성에 그 어떤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주가라는 기본적 데이터에서 파생되어온 보조지표가 주가와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이제 부터 무언가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예비 신호라고 할 수 있다.
2). 주가와 보조지표가 다르게 움직이는 현상(비동조화, 디커플링)을 다이버젼스라고 한다. 다이버젼스는 자주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단 나타나면 기존추세를 반전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2. 다이버젼스의 유형
1). 상승다이버젼스=매수신호로 본다.
2). 하락다이버젼스=매도신호
3. 다이버젼스의 해석
1). 다이버젼스의 파동의 숫자가 많을 수록 그 신뢰도가 높다. 일반적으로 주가와 보조지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처음으로 다이버젼스가 발생하여 주가의 추세가 즉각적으로 전환된다면 이는 추세의 전환으로 보기 어렵다. 이렇게 처음으로 다이버젼스가 발생하고 이후 계속적으로 다이버젼스가 발생한다면 이는 추세의 반전으로 그 신뢰도를 믿을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2). 보조지표의 중심선, 즉 0선 부근에서 다이버젼스가 발생하면 그의 움직임은 주가의 강한 반전이나 기존의 추세의 가속화를 결정지을 수 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다.
반응형
'지표설정 하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가차트에 급등신호화살표 설정하기 (0) | 2023.12.11 |
---|---|
6.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 (0) | 2022.12.01 |
4.지표설정 세력선 (0) | 2021.10.08 |
3.지표설정 RSI가격선 (0) | 2021.10.08 |
2.피보나치 조정대(Fibonacci Retracement)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