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 JH안소니 주식투자여행

반응형
전체 글
반응형

2025. 9. 2. 04:04 블록창고1

9.대웅제약2025

반응형

 

 

●대웅제약2025

 

 

 

 

 

 

 

 

 

 

 

 

 

 

 

 

 

 

 

 

 

 

 

 

 

 

 

 

 

 

 

 

 

 

 

 

 

 

 

 

 

 

 

 

 

 

 

 

 

 

 

 

 

 

 

JH안소니TV를 사랑해주시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JH안소니입니다.

이 번 시간에는 " 나보타글로벌성장 실적개선 대웅제약 " 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업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대웅제약은 의약품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나보타,우루사,펙수클루,엔블로,올메텍,가스모틴,크레젯,임팩타민 등을 주력 제품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투자와 혁신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하며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디.나보타는 2024년 1,864억원 매출과 84% 수출 비중을 기록했으며 미국에서는 "주보"라는 브랜드로 톡신 시장 점유율 13%로 전년 대비 30% 성장하였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외연을 넓히고 있습니다. 2025년에들어 중동과 남미를 중심으로 신규 진출국을 늘리고 기존 거점에서도 성과를 확대하며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중국 진출 지연과 관세 변수라는 과제도 남아있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2030년까지 매출 5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장기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2025년 나보타는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진출을 잇달아 성사시키며 보폭을 넓히고 있습니다.지난 1월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3월 에콰도르, 6월 카타르, 7월 쿠웨이트, 8월 콜롬비아까지 총 5개국에 새로 발을 들였습니다. 이와 함께 기존 거점국에서는 계약 규모를 확대하며 입지를 강화하는 모습입니다.중동은 대웅제약이 공을 들이는 핵심 시장으로 꼽히고 있습니다.아랍에미리트 UAE와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쿠웨이트까지 확보하며 걸프만 연안 6개국 중 네 곳에서 나보타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중동은 소득 수준이 높고 미용, 성형 수요가 집중된 프리미엄 시장인 만큼 교두보로 삼아 지역 전역으로 영향력을 넓힌다는 구상입니다.이 같은 전략은 실적 개선으로도 이어졌습니다. 나보타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1154억원으로 전년보다28% 성장했습니다. 신규 진출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하반기에는 연간 2000억원 돌파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보타는 기존 거점 시장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태국에서는 파트너사 몬타나 마케팅과 738억원 규모의 5년 재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규모는 2020년 첫 계약보다 약 3배 늘어난 것으로 현지 시장 점유율도 30%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대 미용 톡신 시장인 미국에서는 '주보(Jeuveau)'라는 브랜드로 판매되는 나보타는 상반기 기준 업계 2위에 올랐습니다. 협력사 에볼루스는 나보타의 올해 2분기 매출이 597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약 11% 감소해 출시 이후 첫 분기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웅제약은 단기 성과와 미국시장의 과제를 동시에 안은 만큼 중장기 성장 전략에도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대웅제약은 항체의약품 바이오시밀러 사업 진출을 위해 개발 품목을 확대하고 국내외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유럽, 미국 등 메이저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입니다.대웅제약이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밝은 시장 전망에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고가의 바이오의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특허 만료 품목과 의료비 절감 수요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 마켓리서치 컨설팅 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는 2024년 265억달러 36조원으로 2033년에는 1851억달러 2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더불어 바이오시밀러는 신약 대비 개발 기간이 짧고 개발, 허가 성공률이 높은 것도 장점입니다. 2025년 3월 유럽 의약품청 EMA는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3상 임상시험 없이 품질 자료 및 1상만으로 품목허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개발 리스크는 줄이고 원가 경쟁력은 높이는 전략이 가능해졌다는게 대웅제약 설명입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웅제약은 바이오시밀러를 차세대 핵심 사업군으로 삼고 자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 국내외 바이오시밀러 및 위탁개발생산 CDMO 기업과의 긴밀한 전략적 협력을 통해 경쟁사 대비 높은 허가 및 론칭 성공률 , 빠른 시장 안착과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대웅제약의 중장기적 추세추종 종목으로서 기초적가치판단이 되는 펀더멘탈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중장기적 추세추종을 하기 위한 추정목표주가를 성장성.수익성 안정성의 세가지 요소를 보도록하겠습니다.

 

성장성지표는 영업이익, 수익성지표로는 당기순이익, 안정성지표에는 BPS를  기준으로 수익성지표인 ROE를 멀티플로 주어 추정목표가를 산출해 보았습니다.따라서 각 요소별로 추정목표주가를 산출하여 평균추정목표가를 산출한 결과 JH안소니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04,212 원으로 산출하였습니다.추정가격이 높게 나온 것은 2025년도 실정추정치가  우수하고  수익성지표인 ROE가 15%를 넘어서고  안정성 BPS 지표가  멀티플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향후 실적성향과 ROE의 수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현재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가정하에 그 추세의 방향성을 말하는 것입니다.참고로 시장에서의 목표가는 224,000 에서 250,000원까지 리포트가 나오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성장성.수익성이 년도별로 성장하고 안정정지표는 개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도표에서 보면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개년도 비교차에서 매출액성장률은 성장하고 있습니다.영업이익률도 매년성장하고 있습니다.수익성지표인 매출액순이익률.ROE도 꾸준하게 상향되고 있는 모습입니다.안정성지표인 부채비율과 재무레버리지비율은 매우 안정적 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만  자기자본비율이 50%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점은 글로벌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기업을 공격적으로 운영하는 작용도 있어보입니다.향후 수익성자산을 안정성 강화 방향으로 확대할 필요는 있을 것으로 보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대웅제약의 수급동향에 대해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메이저중장기수급동향

 

2024년 9월2일부터 2025년 9월2일까지 1년간 메이저 중장기수급을 살펴보면외국인 39,016주를 순매수하고, 기관은 -17,869주를 순매했습니다.개인투자자는 14,701주를 순매수했습니다.

 

 

 

◎메이저단기수급동향

 

2025년8월2일부터 2025년9월2일까지 한달간 메이저단기수급을 살펴보면외국인 2,040주를 순매수하고, 기관은-220,872주를 순매도했습니다.개인투자자는 216,429주를 순매했습니다.

 

 

 

 

◐다음은 외국인 보유비중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외국인이 취득하여 보유할 수 있는 대웅제약 취득한도주식수 11,586,575주입니다.이 한도에서 외국인이 이미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1,070,550주로서 비중은 현재 9.24%입니다.이를 외국인한도주식수에서 이미  9.24%를 소진했다라고 하고 그것을 현재 소진율 9.24%라고 합니다.나머지 90.76%인 10,516,025주를 취득가능주식수라고 합니다.물론 외국인들은 대웅제약 주식을 더 살 수도 있고 반대로 보유한 주식을 매도할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수급동향 분석에서 소진율이 줄어드는지 늘어나는지를 수시로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습니다.

 

 

 

 

◐다음은공매도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2025년 8월29일에는 누적공매도비중은 5.98%이고 공매도누적거래대금은 442,648,600원 이었습니다.2025년9월1일 현재 누적공매도비중은 3.89%로 감소했고 공매도누적거래대금은 209,444,700원으로 감소했습니다.거래소공매도거래대금순위가 100위권 밑으로 있기 때문에 우려할 수준은 아닙니다.그러나 공매도 비중이 더 올라가게 되면 반드시 매도세력의 주포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기술적차트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중장기적추세추종 월봉차트로 보도록하겠습니다.

 

 

 

대웅제약은2020년 3월 저점 63,200원에서 100%상승하여 2020년 12월에 최고점 286,500 원을 찍고 하락하면서 2023년 7월에 88,300 원 저점을 지지하고 반등하면서 2025년 9월 현재주가는 137,00원 에 있습니다.차트에서 빨간박스권은 피보나치조정대 12.9%구간에서 38.2%구간 박스권에 있습니다.따라서 주가가 조정을 보일 때 마다 분할매수 신규매수에 가담할 수 있는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박스권 하단을 이탈하지 않는한 꾸준한 매수로 대응하여 물량을 확보하는 전략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물론 박스권하단을 이탈하더라도 중장기적 바닥권으로 판단하고 손절없이 주식을 분할매수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빛을 내지않는 내 돈이어야하고 용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돈도 안 됩니다.단, 분할매수를 여러번에 나누어서 하더라도 현재구간에서는 공매도비중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리스크르르관리해야되므로 공매도 세력이 주가를 더 끌어내릴 가능성에 대비하여 반드시 체크를 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일목균형표 동행매수조건으로 한 번 보도록하겠습니다.

 

 

 

현재주가가 피보나치조정대 25.6% 구간에서 38.2% 구간으로 진입한시기에 있기 때문에 주가가 바닥권에서 저점을 높히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따라서 신규매수종목에 해당할수 있다 보겠습니다.일목균형표에서 동행매수조건은 현재주가로부터 26개월 앞에 선행하여 배치해놓은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가 만드는 구름층의 추세와 다시 현재주가로부터 26개월 이전에 후행배치하여 놓은 후행스팬의 추세가 동시에 진행하면서 분할매수의 최적조건을 찾아내는 기법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우선 판단할 기준은 앞구름층에서 선행스팬1의 추세를 주목해야 합니다.현재의 구름층은 검은구름입니다.앞 구름층이 두꺼운 검은구름으로 되있다는 것은 그만큼 팔려는 매물이 쌓여있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이 검은구름밑에서 선행스팬은 매수세력들이 들어오게 되며는 우상방으로 진행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물론 한방에 이룰 수는 없겠지만 무수한 매물층과 부딪치면서 시간적가치의 완성에 따라 공간적가치를 확대해 나가려 할 것입니다.우리는 이 선행스팬1의 당월추세에서 청색지지선을 그어서 추세의 변화를 관찰해야합니다.따라서 현재주가로부터 26개월 이전에 있는 후행스팬의 추세가 후행주가의 무리군을 돌파하여 청색지지선 위로 올라오는 시점에서 그로부터 26개월 앞에서 진행하고 있는 현재주가도 청색지지선 위로 부상하는지를 확인하고 동시에 26개월 앞에 선행하는 선행스팬1의 추세가 우상향하는가를 확인하여 분할매수시점을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따라서 현재주가가 매수세가 들어와서 반등하더라도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추세가 정배열 우상향 추세를 보일때 까지는 반등과 반락을 되플이하는 모습이 나오는 과정을 극복하고 나서야 바른 추세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서두루지도 말고 손절도 하지말고 공매도비중의 순위를 체크하면서 주가가 싸다고 생각하는 구간에서 조금씩 조금씩 주식을 사모으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겠습니다.

 

 

끝까지 시청해주시어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JH안소니 였습니다.

격려의 차원에서 알림설정! 좋아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더 좋은 컨텐츠로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록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8.DB하이텍2025  (0) 2025.08.24
7.현대모비스2025  (0) 2025.08.22
6.SK2025  (0) 2025.08.21
5.북극항로기업정보  (0) 2025.06.19
4.KRX정규시장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0) 2025.03.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목표주가괴리율1

 

 

 

<2025.09.02>

 

 

◈괴리율 상위종목은 목표주가보다는 현재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 위 종목군에서는 중장기적관심주로는 대웅제약, 단기적으로 선익시스템, 티앤엘 정도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겠다.

 

 

 

<2025.09.02>

 

 

 

◈괴리율 하위 종목군은 목표주가보다는 현재주주가 고평가 되어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겠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2025년9월1일 시황체크

 

 

 

국내 증시는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 상법 개정안 통과 등 정책 모멘텀과 잭슨홀 미팅 발언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차익실현 매물로 지수 상승 폭은 제한됐다.지난주 환율은 1380원대로 후퇴했다. 달러 강세 압력 완화 속에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으로 외국인 배당금 역송금에 따른 환율 상방 압력이 완화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금융 불균형 위험에 초점을 두며 매파적 통화긴축신호를 보낸 점도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9월 첫 주간에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굵직한 입법 논의가 본격화되는 동시에, 미국 고용 지표 발표를 앞두고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에 대한 시각으로 투자자들의 눈치싸움이 지속될 전망이다.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도 조선과 방산 관련 종목의 주가 상승 재료로 작용했으나 회담이 종료된 이후에는 차익실현이 이뤄지면서 이들 종목의 주가는 하락했다.결국 시장은 오르면 팔겠다는 심리적 수요가 많다고 볼 수 있겠다.이제는 고점구간에 있는 종목은 매수보다는 현금화하는 전략이 필요하고 신규매수종목은 주가가 조정할 때 분할매수로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겠다.가능한 현금을 많이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실적성장주가 싸다고 생각되는 가시권에서 총알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9월을 넘어서서 3분기 실적성장주를 고르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보겠다.향후 증시는 일정기간 박스권을 유지하는 흐름을 보이다가 미국기준금리가 인하되는 경우에는 신흥국에 자금유입이 가능하게되고 외국인들의 매수가 재유입되는 시점에 거래소지수는 재반등을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겠다.증시세제개편안이 마무리되는 10월과 2차 상법개정안 통과시점을 전후하여 지주사의 주가움직임도 살펴볼 재료이다.




 

 

 

 

 

▶미국 주식시장은 미국동부시간으로 8월29일 금요일 미국시장은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92.02포인트 -0.20% 하락한 45,590.96포인트를 기록했다.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 S&P500지수는 -41.60포인트 -0.64% 하락한 6,489.28포인트.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249.61포인트 -1.15% 하락한 21,630.23포인트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미국투자자들의 금리인하 관망이 투심을 누르면서 3대시장 지수 몯가 하락하였다.

 

 

 

 

▶이번주는 미국 내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공급관리협회 ISM서비스업 지수, 7월 구인·이직보고서JOLT, 8월 비농업고용지수 발표가 예정돼 있다.주 초보다 주 후반에 몰려 있어 발표 전까지 외환시장은 관망 심리가 우세할 것으로 보인다.최근 페드워치에 따르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 금리 인하 확률은 약 87% 정도로 이미 금리 인하 기대가 높게 형성돼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고용 지표 결과를 통해 금리 인하를 확인하려는 시장의 움직임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전반적으로 노동시장 둔화를 예상하고 있다. 오는 9월 5일 발표되는 미국 8월 비농업 취업자수는 7만 8000명 증가가 예상된다. 전월7만 3000명보다 5000명이 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특히, 8월 실업률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오른 4.3%로 전망된다. 이는 과거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상승 압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 기대를 뒷받침할 수 있다.9월2일 발표되는 8월 미국의 ISM 서비스업 지수는 7월 중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8월 중 50 초반으로 소폭 반등하겠으나 2010년대 평균 56을 크게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피를 향한 외국인의 러브콜이 식어가면서 원화도 힘을 잃어가고 있지만 관건은 달러 방향성으로 분석되고 있다.9월 초순에는 트럼프 측근으로 연준 새 이사에 지명된 스티브 미란 청문회 8월 고용보고서 경계감에 환율이 하방 압력에 노출될 것으로 내다봤다.이번주 환율은 1300원 중후반대로 완만한 하락이 이어질 전망으로 이번주 발표될 한국 8월 수출입동향에서 수출 하방 위험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6년 예산안에서 확장 재정 편성 시 재정건전성 우려보다는 유동성 확대에 따른 자금 유입이 기대되어지고 있다. 대외 불확실성이 잔존한 만큼 환율 하락은 점진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하이라이트 라인업  2025년 9월

 

 

▷추천주가 아닙니다.투자의 판단은 개인에 분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기초적 가치분석과 수급동향분석 및 기술적차트 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를 기원합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2025. 8. 24. 14:26 블록창고1

8.DB하이텍2025

반응형

 

 

 

●DB하이텍2025

 

 

 

 

 

 

 

 

 

 

 

 

 

 

 

 

 

 

 

 

 

 

 

 

 

 

 

 

 

 

 

 

 

 

 

 

 

 

 

 

 

 

 

 

 

 

 

 

 

 

 

 

 

 

 

 

 

 

 

 

JH안소니TV를 사랑해주시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JH안소니입니다.

이 번 시간에는 "SPECIALTY  파운드리기업 DB하이텍" 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업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부천본사와 FAB1,FAB2 공장을 운영하며 웨이퍼 수탁생산, 판매와 DB글로벌칩의 디스플레이 구동 IC 사업 을 영위 하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고전압 제품 중심의 특화 파운드리 기업으로서 SiC, GaN 등 고성장 라인업을 확대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전력반도체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고전압 전력반도체와 특화 이미지센서 등 신규 공정을 확보하여 잠재고객 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AI와 데이터센터 수요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성장세에 따른 모멘텀 수혜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DB하이텍의 반도체는 PC, TV, 스마트폰, 웨어러블기기, 산업용장비,자동차전장 등 다양한 산업의 핵심부품에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2001년 국내 최초로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에 진출하여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파운드리업계를 선도해왔고 2008년에는 세계최초로 0.18 um 복합고전압소자 BCDMOS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특화 파운드리 시장을 적극 개척하여 글로벌 선두 파운드리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아날로그/파워 IC의 핵심 BCDMOS분야, 초정밀 아날로그 CMOS 분야, CMOS 이미지 센서 분야, MS/RF분야, 우수한 성능의 맞춤형 SJ MOSFET분야,환경 모빌리티를 위한 SiC 파운드리 분야, 독자적 GaN 기술의 파운드리 원스톱 서비스 분야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2025년 상하이에 DB Shanghai HiTek을 설립하였습니다.미국 샌타클래라에 위치한 미국법인에 이어 두 번째 해외법인입니다.DB하이텍은 이번 상하이 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내 급증하고 있는 반도체 주문 물량에 원활히 대응하고 현지 파운드리 고객사에 보다 밀착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8인치 파운드리를 주력 사업으로 하는 DB하이텍은 가전과 스마트폰, TV 등에 들어가는 구형 아날로그 반도체를 주문받아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IT기기 업황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중국 정부는 2024년 4월부터 소비 진작을 위해 자동차, 전자기기, 가전, 가구 등을 새 것으로 교체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구환신’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그 결과 가전·자동차·스마트폰 등의 소비가 늘면서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주문 물량도 급증했습니다.경기도 부천과 충북 음성에 위치한 DB하이텍 공장도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1분기 DB하이텍의 평택 공장 가동률은 91.9%까지 상승했습니다. 중국 매출 비중은 58%에 달하고 있습니다.DB하이텍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중국발 수요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심화로 중국이 반도체 자립에 나서고 있는 점도 호재라고 보겠습니다.최근 중국 상무부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를 반덤핑 조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중국 팹리스 반도체 설계전문회사들은 TI 제품을 대체하기 위해 차량용 반도체의 국산화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DB하이텍의 파운드리가 이들 회사의 물량을 수주하며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중국에도 SMIC라는 파운드리 기업이 있지만 첨단 공정에 집중돼 있다보니 중국 팹리스들의 범용 제품은 DB하이텍 같은 해외 파운드리로 몰리고 있습니다.DB하이텍은 중국 내 기존 팹리스 고객사와의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고 신규 고객사를 추가 확보해 현지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다음은 DB하이텍의 중장기적 추세추종 종목으로서 기초적가치판단이 되는 펀더멘탈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중장기적 추세추종을 하기 위한 추정목표주가를 성장성,수익성, 안정성의 세가지 요소를 보도록하겠습니다.

성장성지표는 영업이익, 수익성지표로는 당기순이익, 안정성지표에는 BPS를  기준으로 수익성지표인 ROE를 멀티플로 주어 추정목표가를 산출해 보았습니다.따라서 각 요소별로 추정목표주가를 산출하여 평균추정목표가를 산출한 결과 JH안소니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143,627원으로 산출하였습니다.추정가격이 높게 나온 것은 2025년도 실정추정치가  우수하고 안정성 지표인 BPS가  매우 높게나와 멀티플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향후 실적성향과 ROE의 수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현재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가정하에 그 추세의 방향성을 말하는 것입니다.참고로 시장에서의 목표가는 58,000 에서 64,000원 까지 리포트가 나오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성장성.수익성이 년도별로 성장하고 안정정지표는 개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도표에서 보면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개년도 비교차에서 매출액성장률은 2025년도에 들어서서 개선되고 있습니다.영업이익률은 평준화되면서 2024년도에 비해서는 개선되고 있습니다.수익성지표인 매출액순이익률.ROE도 4개년도 평균치가 평준화되면서 개선되고 있는 모습입니다.안정성지표인 부채비율과 재무레버리지비율은 매우 안정적 으로 유지되고 특히 자기자본비율이 70%에 육박하여 기업을 매우 안정적이고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DB하이텍의 수급동향에 대해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메이저중장기수급동향

 

 

2024년 7월27일부터 2025년 8월27일까지 1년간 메이저 중장기수급을 살펴보면외국인 3,023,147주를 순매수하고, 기관은 -1,437,001주를 순매했습니다.개인투자자는 -1,904,461주를 순매도했습니다.

 

 

 

◎메이저단기수급동향

 

 

2025년7월27일부터 2025년8월27일까지 한달간 메이저단기수급을 살펴보면외국인 661,487주를 순매수하고, 기관은 -537,087주를 순매도했습니다.개인투자자는 -308,997주를 순매도 했습니다.

 

 

 

 

◐다음은 외국인 보유비중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외국인이 취득하여 보유할 수 있는 DB하이텍 취득한도주식수 44,398,588주입니다.이중에서 외국인이 이미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12,850,962주로서 비중은 현재 28.94%입니다.이를 외국인한도주식수의 28.44%를 소진했다라고 하고 그것을 현재 소진율 28.94%라고 합니다.나머지 71.06%인 31,647,626주를 취득가능주식수라고 합니다.물론 외국인들은 DB하이텍 주식을 더 살 수도 있고 반대로 보유한 주식을 매도할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수급동향 분석에서 소진율이 줄어드는지 늘어나는지를 수시로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습니다.

 

 

 

◐다음은공매도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2025년 8월22일에는 누적공매도비중은 25.88%이고 공매도거래대금은 1,102,151,650 원 이었습니다.2025년8월27일 현재 누적비중은  3.15%로  대폭 했고 공매도거래대금은 146,908,650원으로 감소했습니다.공매도 비중이 더 올라가게 되면 반드시 매도세력의 주포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현재주가가 월봉상 차트에서 저점권에 있기 때문에 신규매수가 가능하다고 보여지지만 공매도 비중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투자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기술적차트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중장기적추세종목 월봉차트를 보도록하겠습니다.

 

 

DB하이택은2019년 1최저점 9,980원에서 상승하여 2022년 1월에 최고점 85,400 원을 찍고 하락하면서  2024년 12월에 33,150 원 저점을 지지하고 반등하면서 2025년 8월27일 현재주가는 46,200원 에 있습니다.차트에서 빨간박스권은 피보나치조정대 25.6%구간, 35.2%구간, 50.00%구간에 있습니다.따라서 주가가 조정을 보일 때 마다 분할매수 신규매수에 가담할 수 있는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박스권 하단을 이탈하지 않는한 꾸준한 매수로 대응하여 물량을 확보하는 전략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물론 박스권하단을 이탈하더라도 중장기적 바닥권으로 판단하고 손절없이 주식을 분할매수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빛을 내지않는 내 돈이어야하고 용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돈도 안 됩니다.단, 분할매수를 여러번에 나누어서 하더라도 현재구간에서는 공매도비중이 높아지는 경우에 공매도 세력이 주가를 더 끌어내릴 가능성에 대비하여 반드시 체크를 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일목균형표 동행매수조건으로 한 번 보도록하겠습니다.

 

 

현재주가가 피보나치조정대  25.6% 구간에서 38.2% 구간으로 진입한시기에 있기 때문에 주가가 비닥권에서 저점을 높히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따라서 신규매수종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보겠습니다.그러나 일목균형표상 동행매수조건의 지표로 본다면 후행스팬의 당월추세가 후행주가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후행주가의 당월추세로부터 26개월 앞에서 선행하는 현재주가도 그물망안에서 갇혀있습니다.이 현재주가의 당월추세로부터 다시 26개월 앞에 선행하고 있는 선행스팬1의 당월추세도 우상향 방향으로 전환하지 못했습니다.따라서 현재주가가 매수세가 들어와서 반등하더라도 선행스팬1의 추세가 정배열 우상향 추세를 보일때 까지는 반등과 반락을 되플이하는 모습이 나오는 과정을 극복하고 나서야  바른 추세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서두루지도 말고 손절도 하지말고 공매도비중의 순위를 체크하면서 주가가 싸다고 생각하는 구간에서 조금씩 조금씩 주식을 사모으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겠습니다. 

 

 


더 좋은 컨텐츠로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록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9.대웅제약2025  (0) 2025.09.02
7.현대모비스2025  (0) 2025.08.22
6.SK2025  (0) 2025.08.21
5.북극항로기업정보  (0) 2025.06.19
4.KRX정규시장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0) 2025.03.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현대모비스2025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록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9.대웅제약2025  (0) 2025.09.02
8.DB하이텍2025  (0) 2025.08.24
6.SK2025  (0) 2025.08.21
5.북극항로기업정보  (0) 2025.06.19
4.KRX정규시장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0) 2025.03.30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자동차부품전문기업 현대모비스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으로 자동차 모듈 및 부품제조 사업과 A/S 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생산거점 30곳, 물류거점 23곳, 연구소 5곳을 운영하며 자동차 3대 핵심 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FEM을 생산해 현대차와 기아에 직서열 공급하고 있습니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에서 핵심 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기회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 전동화 등 미래기술 분야 특허를 조기 발굴하고 있습니다.모듈 및 부품제조사업의 매출 증가, 원가 혁신, 차량 믹스 개선으로 실적이 개선되었으며 자율주행과 전동화 등 미래 핵심기술 개발로 성장세 지속되고 자율주행, 전동화, 커넥티비티 등 핵심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글로벌 연구개발 네트워크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현대모비스는 전동화와 전장 등 미래차 핵심 영역에서 선행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이는 전기차 전환기와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업계 위기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수익성 기반 내실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글로벌 톱 플레이어로 도약하겠다는전략입나다.최근 5년 사이 매출이 두 배가까이 늘며 60조 원에 달한 것도 이러한 성과압니다. 회사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결합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기술, 보급형 전기차 구동 시스템 등 전동화 핵심 기술을 내재화해 다양한 시장 수요에 대응 가능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전장 부문에서도 고성능 통합제어기 등 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군을 확대하며 시장을 선제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자체 기술 내재화뿐 아니라 전략적 협업과 투자,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하며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현대모비스는 현대차그룹 내 핵심 계열사로 자리 잡고 있지만 그룹 내부 역할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완성차 업체로 고객 기반을 넓히며 독자적인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동화, 첨단운전자 지원 시스템 ADAS,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IVI 등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영업을 강화해왔습니다. 지난 10년간 해외 완성차 대상 수주는 10배 이상 늘었으며  2025년 해외 수주 목표는 74억4000만 달러로 설정했습니다.특히 배터리시스템, 구동시스템 분야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확보하고  전장,램프,샤시 등 주요 부품에서도 신기술을 앞세워 신규 고객 확보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매출과 이익이 함께 성장하는 질적 성장 구조를 구축한다는 복안입니다.한편으로 

현대모비스가 최근 공개한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협력사에 지급한 현대모비스의 구매대금은 약 150조원에 달합니다. 현대모비스는 부품과 비부품을 망라해 지난해 기준 국내외 총 4108개 협력사를 운용 중입니다.협력사 규모 역시 2022년 3682개에서 같은 기간 400곳 넘게 늘어나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계열사 이외에 글로벌 완성차 대상 수주실적이 최근 3년간 160억 달러 약 22조원를 넘어서면서 국내외 협력사로부터 구매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이 이를 뒷받침했다는 분석압니다.기술혁신과 사업체질 개선에 기반한 현대모비스의 성장세가 낙수효과로 발현돼 가치사슬 내 상생과 동반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가치사슬 전반의 지속가능성이 함께 증진될 수 있도록 탄소저감,안전설비 구축, ESG 컨설팅, 리스크 점검과 평가 등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모비스는 부품 공급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대리점을 소비자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동반자로 인식하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리점을 비롯한 여러 협력사와의 상생경영의 층위를 한층 끌어올려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한계를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현대모비스(단위: 억원, %, 배 ) 92,995,000 

 

 

 

 

 

 

◈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8.22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35,103억X8.77)÷92,995,000주=331,043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41,929억X8.77)÷92,995,000 주=395,416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542,917원X8.77) ÷2.50=1,904,553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877,004원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877,044 원으로 분석하였다.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370,000 원에서 390,000 원 까지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2.40 -3.52 6.66
영업이익률 3.90 3.87 5.37 5.72
매출액순이익률 4.79 5.78 7.09 6.84
ROE 6.80 8.73 9.35 8.77
재무레버리지비율 146.55 144.10 144.40 143.35
부채비율 46.55 44.10 44.40 43.35
자기자본비율 68.24 69.39 69.25 69.76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2025. 8. 21. 20:32 블록창고1

6.SK2025

반응형

 

 

 

 

●SK2025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록창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8.DB하이텍2025  (0) 2025.08.24
7.현대모비스2025  (0) 2025.08.22
5.북극항로기업정보  (0) 2025.06.19
4.KRX정규시장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0) 2025.03.30
3.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 시장  (0) 2025.02.26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하이라이트 라인업  2025년 8월

 

▷추천주가 아닙니다.투자의 판단은 개인에 분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기초적 가치분석과 수급동향분석 및 기술적차트 분석을 통한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를 기원합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미래성장성확대강화 지주회사SK

 

 

 

 

 

 

 

투자부문과 Digital 기술 기반 종합 IT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투자부문은 SK이노베이션,SK텔레콤,SK스퀘어 등 649개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배당수익 및 브랜드 사용수익이 29.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사업부문은 Digital 기술을 활용해 국내외 IT서비스를 제공하며  Cloud.AI 등 신기술을 적용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첨단소재,바이오, AI/디지털,그린 사업을 육성하며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의 첨단소재,기술 투자로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고자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SK AX 소유의 데이터센터를  2025년 6월에 SK브로드밴드에 5,068억에 매각했습니다. 2024년에는  SK스페셜티의 지분 85%를 2.7조원에 사모펀드로 매각하면서 SK의 순부채는 7.9조원으로 감소했습니다.현재  웨이퍼 제조사인 SK실트론에 대한 지분 매각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순부채는 5년래 최저치인 5조원대로 정상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최근 6년간 15조원 규모의 배터리 공급 수주 등 추가적인 실적 둔화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에 합병된 SK E&S의 현금 창출력으로 재무 건전성의 추가 악화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2025년 하반기부터 국내 기업의 AI 도입 가속화와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SK그룹사 차원에서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을 전담하며 중장기 실적 성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SK(단위: 억원, %, 배 ) 72,503,000 

 

 

 

 

 

 

◈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8.22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29,688억X7.61)÷72,503,000주=311,609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35,459억X7.61)÷72,503,000 주=372,182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394,363원X7.61) ÷2.50=1,200,441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628,077원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628,077원으로 분석하였다.단 재무레버리지비율이 269.23%에 달해 추정목표가의 15%를 할인하면 최종 추정목표가는 533,866 원으로 분석되었다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28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2.56 -3.29 -0.07
영업이익률 6.18 3.21 1.65 2.44
매출액순이익률 3.00 -0.32 0.42 2.92
ROE 5.13 -3.67 -5.64 7.61
재무레버리지비율 270.87 265.76 267.76 269.23
부채비율 170.87 165.76 167.76 169.80
자기자본비율 36.92 37.63 37.35 37.06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견조한성장세 지주회사CJ

 

 

 

 

 

식품 서비스.생명공학. 물류 신유통.엔터 및 미디어 등 4대 사업을 하는CJ그룹 지주회사이다. 식품 서비스는 가공식품 및 식자재 유통.생명공학은 바이오 및 사료.물류 신유통은 하역 운송 및 이미용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글로벌 확장을 위해 Culture.Platform. Wellness. Sustainability를 미래 성장엔진으로 정립하고 있다.신유통 부문의 전국 택배 Network와 풀필먼트 인프라 구축. TV·인터넷 쇼핑 서비스로 매출이 전년비 6.2% 성장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있다. 종합물류사업은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로 아시아 대표 물류기업으로 신유통은 중국·동남아·미주 진출로 글로벌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CJ는 비상장자회사의 우호적인 사업환경과 성장 기반으로  CJ올리브영의 성장과 수익이 금년에도 향상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높은 장악력과 브랜드 인지도는 방한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도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대상 매출 성장세가 방한하는 관광객 증가율을 상회한다. 직영점 중심의 점포는 대형 상권에집중하고 지역 특성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K뷰티 선호도가 높은 국가에 플랫폼 및 브랜드 전략을 강화한다.한편으로 CJ는  CJ올리브영 합병을 통하여 승계를 위한 기업구조개편 가시화되고 있다.합병이후 CJ올리브영 기업가치 반영되면서 동사 기업가치 제고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K뷰티성장에 일조뿐만 아니라  해외 점포가 지난해말 대비 8개 늘어 전체 점포에서 비중이 17.5%로 성장한 CJ푸드빌은 글로벌 확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자회사들이 좋은 효자노릇을 하고 있어 성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CJ(단위: 억원, %, 배 ) 29,177,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29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27,988억X5.20)÷29,177,000주=498,809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7,883억X5.20)÷29,177,000 주=140,493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65,751원X5.20) ÷2.50=344,762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328,021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20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28,021원으로 분석하였다.단 재무레버리지비율이 262.30%에 달해 추정목표가의 15%를 할인하면 최종 추정목표가는 278,818 원으로 분석되었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03 5.26 3.81
영업이익률 5.26 4.93 5.84 6.17
매출액순이익률 1.68 1.27 0.35 1.74
ROE 3.94 3.64 1.83 5.20
재무레버리지비율 272.03 263.81 267.64 262.30
부채비율 172.03 163.81 167.64 162.30
자기자본비율 36.76 37.91 40.66 38.12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사업다각화 지주회사  한화

 

 

 

 

 

한화한화그룹의 지주회사로서 한화생명.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케미칼 등 계열사 지분 보유하고 있다. 자체사업은 화약.방산.기계.무역 부문이 있다. 화약부문은 발파기술사업.발파해체사업.불꽃프로모션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방산부문은 정밀유도무기를 포함한 정밀타격 전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기계부문은 주요 산업별 핵심설비 개발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확보하고 무역부문은 자체 영업권과 전문성을 보유한 사업의 확대대하고 있다.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8% 증가.영업이익은 354.9% 증가.당기순이익 흑자전환하였다.산업용 화약 부문은 축적된 기술력과 유통망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대응을 위해 원가절감과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초안 및 전자뇌관의 내수 및 수출 시장 다변화와 장기공급계약 확대를 통해 안정적 수요 기반 확보 및 판매 확대를 추진 중이다. 시장에서는 한화에 대하여 자회사 지분가치 상승과 자회사 이익 성장을 감안했을 때 추가적인 주가 리레이팅(재평가)이 가능하다며 분석하고 있다.한화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1% 오른 17조9000억원.영업이익은 97.9% 오른 1조원으로예상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고성장이 연결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이며 한화오션 연결편입 효과와 더불어 폴란드향 K-9. 천무 인도가 지속되며 매출과 이익 모두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이어서 한화솔루션도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하며 연결 이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고 있는 모멘텀이 견고한 펀더멘탈과 자회사 가치 상승에 따른 실적성장세가 더 해질 전망이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한화(단위: 억원, %, 배 ) 74,959,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29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43,229억X7.97)÷74,959,000주=459,631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25,202억X7.97)÷74,959,000 주=267,960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19,316원X7.97) ÷2.50=380,379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369,323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5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69,323원으로 분석하였다.단 재무레버리지비율이 630.75%에 달해 추정목표가의 35%를 할인하면 최종 추정목표가는 240,000 원으로 분석되었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4.23 4.51 20.85
영업이익률 4.66 4.54 4.34 6.15
매출액순이익률 3.95 3.08 3.04 1.77
ROE 14.40 3.52 7.19 7.97
재무레버리지비율 593.73 631.77 637.07 630.75
부채비율 493.73 531.77 537.07 530.75
자기자본비율 16.84 15.83 15.70 15.85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에너저전력 사업다각화 한국전력

 

 

 

 

 

 

 

전력자원 개발. 발전.송전.변전.배전 및 관련 영업을 수행하고 있다. 전기판매.원자력발전.화력발전. 기타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판매부문이 매출의 96.1%를 차지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해외 원자력발전사업.신기술·신사업.수소·암모니아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전기판매부문의 안정적 전력공급과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매출이 성장하였으며 원자력발전 이용률 상승과 발전원가 개선으로 수익성이 개선돠고 있다.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목표 달성과 청정수소·암모니아 사업.재생에너지 확대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 추진 중이다.한국전력은 2021년 2분기부터2023년 2분기까지 9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지속하는 암흑기를 지나 2023년 3분기부터 영업손익의 흑자 구조를 회복했다.투자심리는 대선 국면에서 국가 핵심자산인 발전 및 전력망 운영 주체인 한국전력의 정책 방향성에대한 여론이 주효했다.이후에는 원자력발전 테마에도 포함되며 주가의 상승 탄력이 더해졌다.국내외 신규 원전 확대와 관련한 팀 코리아를 주도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기술 및 한전KPS 등을 연결대상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는 한국전력의 수혜 포인트는 시장의 관심이 되고 있다.한편 한국전력은 2025년 7월10일 LS전선 및 LS일렉트릭과 함께 데이터센터용 전력망 구축을 위한 기술협력 양해각서 MOU를 체결하였다.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에 초전도 전력망 적용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차세대 전력 인프라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초전도 전력망은 대형 변전소를 약 10분의 1 크기의 소형 스테이션으로 대체하고 초전도 케이블로 전력을 공급하는 차세대 전력 시스템이다.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건설 비용절감은 물론 주민 수용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이번 협약은 인공지능 AI와 데이터센터 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 고효율·친환경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한전은 초전도 시스템에 대한 기술 검증과 관련 제도 정비를 담당하고 LS전선은 초전도 케이블의 설계와 생산을  LS일렉트릭은 초전도 전류제한기 및 전력 기자재 공급을 맡는다. 초전도 시스템은23kV 의 낮은 전압으로도 154kV급 대용량 전력 송전이 가능해 도심 내 신규 변전소 건설 없이도 전력 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고장 전류를 즉시 차단해 설비 손상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운영 안정성을 높인다.초전도 전력망의 표준 모델을 정립하고 기술 개발과 실증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한편 해외 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할계획이다.전력 산업을 대표하는 세 기업이 함께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용 초전도 전력망 구축에 나선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LS전선의 초전도 케이블과 LS일렉트릭의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친환경 전력공급 신뢰성이 요구되는 대용량 전력망 시장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한국전력(단위: 억원, %, 배 ) 641,964,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8.20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43,012억X18.57)÷641,964,000주=413,689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82,514억X18.57)÷641,964,000 주=238,687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74,116원X18.57) ÷2.50=550,534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400,970원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400,970원으로 분석하였다.단 재무레버리지비율이 514.75%에 달해 추정목표가의 35%를 할인하면 400,970원-140,000=최종 추정목표가는 260,000 원으로 분석되었다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44,000 원 에서 5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29.23 5.55 3.38
영업이익률 -45.83 -5.15 8.96 14.79
매출액순이익률 -34.28 -5.35 3.88 8.54
ROE -46.90 -12.63 9,22 18.57
재무레버리지비율 559.06 643.28 596.69 514.75
부채비율 459.06 543.28 496.69 414.75
자기자본비율 17.89 15.55 16.76 19.43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종합화학소재 한솔케미칼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를 대표하는 종합 화학소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과산화수소 등 정밀화학 제품을 비롯하여  반도체 박막. 디스플레이용 전자. 이차전지용 소재 등 첨단 전자소재를 폭넓게 생산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분야에 집중 투자하며 차세대 핵심소재 내재화 및 기술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IT소재 전략적 확장과 신규 성장동력 발굴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이익은 22.0% 증가.당기순이익은 14.6% 증가하였다 고객사의 반도체라인 증설로 인한 초고순도 과산화수소 수요와 전기차·ESS 시장 확대에 따른 이차전지 소재 수요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 반도체 초미세화 및 3차원 구조 증가로 Precursor 수요가 증가하며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의 거래 확대 및 신규 개발을 통해 시장 확대 중이다.모든 소재의 업황 회복이 기대되고있다.  반도체 소재 부문은 고객사 가동률 회복에 따른 초고순도 과산화수소 수요 증가 및 캐퍼시터용 High-k 소재 양산 확대에 힘입어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차전지 소재 부문은 산업 전반의 수요 정체에도 불구하고 신규 고객사 확보를 기반으로 외형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고객사 가동률 정상화에 따른 물량 증가가 기대된다.  중장기 성장동력인 고체전해질은 4월 파일럿 라인 구축을 완료하고 샘플 생산을 시작하였으며  제한적인 CAPA에도 불구하고 약 100억원 규모의 매출이 발생하였다. 2028년 양산 예정으로 내년부터 CAPEX 투자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격적인 양산이 이뤄질 경우 실적 기여도는 더욱 확대될 전망으로분석되고 있다.삼성전자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에 따른 반도체용 과산화수소 실적회복과 더불어 국내 고객사향 이차전지 바인더의 물량증가.국내·외 고객으로 반도체 프리커서 실적성장 등을 예상되고 있다.반도체 프리커서의 경우 중국향 매출 비중이 15%에서 20%로 높아지면서 성장하고 있는 중국 반도체산업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그동안 부진을 겪었던 테이팩스 실적도 이차전지 테이프를 중심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돼 실적성장성은 매우 긍정적이다.

 

 

 

<정밀화학>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한솔케미칼(단위: 억원, %, 배 ) 11,335,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8.11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559억X13.47)÷11,335,000주=185.264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422억X13.47)÷11,335,000 주=168,984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98,180원X13.47) ÷2.50=528,994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94,415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9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294,415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4.75 0.61 9.08
영업이익률 21.00 16.09 16.59 18.28
매출액순이익률 18.86 14.09 16.09 16.67
ROE 21.36 13.09 13.48 13.47
재무레버리지비율 147.02 143.49 136.70 135.03
부채비율 47.02 43.49 36.79 35.00
자기자본비율 68.02 69.69 73.15 74.20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종합화학기업 자산가치주 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 합성수지.정밀화학.CNT.건자재.에너지 사업 및 페놀유도체 등을 영위하며 타이어.신발용 고무제품과 가전.자동차 플라스틱 소재를 주요 산업으로 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온실가스감축.친환경소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 증가. 영업이익은 53.4% 증가. 당기순이익은 21.9% 증가하였다. 합성고무는 고형고무 포트폴리오 전환 하여 NB Latex 판매량 증대하고  천연고무 가격 강세로 실적이 개선되었다. 합성수지는 소비재 위축에도 고기능.친환경 제품으로 매출 증가하였다. 주요 수출시장의 타이어.신발용 수요가 지속되며 합성수지는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로 전환되고 있다.금호석유화학은 지난해까지  3년에 걸친 262만주 자사 주 소각 계획을 발표해 지금까지 209만주를 소각했고  주식 수 감소가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지고 있으며 추가 자사주 매입 역시 진행 중이며 이 역시 자사 주 소각 예정이다. 이에따라  하반기 쌓일 이익이 주주환원 정책으로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다.자사주 전량 소각 시 주당순자산가치 BPS는  15% 증가할 전망이다.하반기 주목할 부문은 페놀유도체 부문이다. 원재료인 벤젠의 하향 안정화가 이어지고 있으며 미국·유럽 관세 부과 후 에폭시 계열 시황 개선에 따른 수혜가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금호석유화학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설비 구축을 마치고 준공식을 했다고 7월16일 밝혔다.지난 2023년 12월 착공식 이후 약 19개월만이며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발전설비의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할 계획이다. 향후 포집된 이산화탄소로 다른 유용한 화학물질을 만들 수 있는 전환 활용사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설명하였다.포집된 이산화탄소는 K&H특수가스의 처리 과정을 거쳐 드라이아이스, 식음료용 탄산을 비롯해 용접 및 절단. 원예 등 농업.폐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인 만큼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누릴 것으로기대한다.금호석유화학의 CCUS는 이산화탄소를 비용이 아닌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금호석유화학(단위: 억원, %, 배 ) 27,335,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24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3,879억X6.66)÷27,335,000주=94,509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4,123억X6.66)÷27,335,000 주=100,454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216,981원X6.66) ÷2.50=578,037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57,667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7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257,667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26.55 11,64 1.76
영업이익률 14,39 5.68 3.81 5.33
매출액순이익률 12.79 7.07 4.87 5.66
ROE 18.96 7.77 5.88 6.66
재무레버리지비율        
부채비율 35.89 36.78 38.03 35.54
자기자본비율 73.59 73.11 72.45 73.78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나보타글로벌성장 실적개선 대웅제약

 

 

 

 

 

대웅제약은 의약품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나보타,우루사,펙수클루,엔블로,올메텍,가스모틴,크레젯,임팩타민 등을 주력 제품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투자와 혁신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하며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디.나보타는 2024년 1,864억원 매출과 84% 수출 비중을 기록했으며 미국에서는 "주보"라는 브랜드로 톡신 시장 점유율 13%로 전년 대비 30% 성장하였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외연을 넓히고 있습니다. 2025년에들어 중동과 남미를 중심으로 신규 진출국을 늘리고 기존 거점에서도 성과를 확대하며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중국 진출 지연과 관세 변수라는 과제도 남아있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2030년까지 매출 5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장기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2025년 나보타는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진출을 잇달아 성사시키며 보폭을 넓히고 있습니다.지난 1월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3월 에콰도르, 6월 카타르, 7월 쿠웨이트, 8월 콜롬비아까지 총 5개국에 새로 발을 들였습니다. 이와 함께 기존 거점국에서는 계약 규모를 확대하며 입지를 강화하는 모습입니다.중동은 대웅제약이 공을 들이는 핵심 시장으로 꼽히고 있습니다.아랍에미리트 UAE와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쿠웨이트까지 확보하며 걸프만 연안 6개국 중 네 곳에서 나보타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중동은 소득 수준이 높고 미용, 성형 수요가 집중된 프리미엄 시장인 만큼 교두보로 삼아 지역 전역으로 영향력을 넓힌다는 구상입니다.이 같은 전략은 실적 개선으로도 이어졌습니다. 나보타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1154억원으로 전년보다28% 성장했습니다. 신규 진출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하반기에는 연간 2000억원 돌파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보타는 기존 거점 시장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태국에서는 파트너사 몬타나 마케팅과 738억원 규모의 5년 재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규모는 2020년 첫 계약보다 약 3배 늘어난 것으로 현지 시장 점유율도 30%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대 미용 톡신 시장인 미국에서는  '주보(Jeuveau)'라는 브랜드로 판매되는 나보타는 상반기 기준 업계 2위에 올랐습니다. 협력사 에볼루스는 나보타의 올해 2분기 매출이 597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약 11% 감소해 출시 이후 첫 분기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웅제약은 단기 성과와 미국시장의 과제를 동시에 안은 만큼 중장기 성장 전략에도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대웅제약은 항체의약품 바이오시밀러 사업 진출을 위해 개발 품목을 확대하고 국내외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유럽, 미국 등 메이저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입니다.대웅제약이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밝은 시장 전망에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고가의 바이오의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특허 만료 품목과 의료비 절감 수요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 마켓리서치 컨설팅 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는 2024년 265억달러 36조원으로 2033년에는 1851억달러 2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더불어 바이오시밀러는 신약 대비 개발 기간이 짧고 개발, 허가 성공률이 높은 것도 장점입니다. 2025년 3월 유럽 의약품청 EMA는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3상 임상시험 없이 품질 자료 및 1상만으로 품목허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개발 리스크는 줄이고 원가 경쟁력은 높이는 전략이 가능해졌다는게 대웅제약 설명입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웅제약은 바이오시밀러를 차세대 핵심 사업군으로 삼고 자체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 국내외 바이오시밀러 및 위탁개발생산 CDMO 기업과의 긴밀한 전략적 협력을 통해 경쟁사 대비 높은 허가 및 론칭 성공률 , 빠른 시장 안착과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대웅제약(단위: 억원, %, 배 ) 11,587,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9.2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1,863억X15.48)÷11,587,000주=248,893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255억X15.48)÷11,587,000 주=167,665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80,116원X15.48) ÷2.50=496,078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85,976원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04,212원으로 분석하였다.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224,000에서 25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6.92 3.31 5.60
영업이익률 7.48 8.91 10.40 12.36
매출액순이익률 3.06 8.73 1.64 8.33
ROE 7.17 17.70 3.17 15.48
재무레버리지비율 210.91 194.05 213.27 209.08
부채비율 110.91 94.05 113.27 109.08
자기자본비율 47.41 51.53 46.89 47.83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sta-u5m

 

JH안소니TV 쇼핑 써프라이즈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쇼핑 써프라이즈 !

www.youtube.com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거래소성장수익안정주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안정적실적성장세 기아  (0) 2025.06.15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신약 원료의약품위탁생산업체 에스티팜

 

 

 

 

 

 

 

신약 원료의약품과 제네릭 원료의약품을 주력으로 하며 올리고핵산치료제 및 small molecule 원료의약품 CDMO와 mRNA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올리고 생산능력을 6.4mol로 확대하였고  2025년 제2 올리고동 생산 시작으로 연간 8mol 이상 규모로 확장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신약 API와 제네릭 API 사업 중심으로 매출이 발생하며 선진국 수준의 QA/QC 역량과 고난이도 합성·양산 기술로 고부가가치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글로벌 처방약 시장은 희귀의약품 급성장과 혁신 의약품 승인으로 2028년까지 연 5.9% 성장이 전망되며 원료의약품도 유사 성장 예상되고 있다.에스티팜이 올리고핵산치료제 생산 역량 확장을 위한 '제2올리고동' 가동을 눈앞에 두고 있다.수주와 생산을 연결하는 마지막 고리를 갖추게 되면서 글로벌 올리고 시장에서 입지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에스티팜은 지난 2023년 9월 기공식을 연 '제2올리고동'을 올해 하반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해당 시설은 반월 캠퍼스 부지에 연면적 약 1만900㎡(높이 60m, 7층) 규모로 조성됐다.가동이 시작되면 올리고핵산 생산능력은 약 약 14mol(2.3~7t) 수준으로 확대되며 단일 공장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설비 확장에 발맞춰 수주도 빠르게 늘고 있다. 에스티팜의 올해 7월까지 집계된 수주잔고는 4400억원으로 지난해 말 2320억원에서 약 2000억원 증가했다. 수주 품목은 올리고를 포함해 저분자 합성신약 원료 등 10건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올해 확보한 다수의 수주 물량은 제2올리고동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높고 신규 설비를 통한 가동률 상승과 생산 효율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제품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연내 승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매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이번 제2올리고동은 에스티팜의 수주 선순환 구조에 있어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 소량 생산 라인도 추가돼 전임상 및 초기 임상용 물량수주에도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초기 임상부터 후기 임상, 상업화까지 이어지는 수주 구조의 정점에 제2올리고동이 자리하는 셈이다.다올투자증으권은 에스티팜에 대하여 2Q25 연결 매출액 682 억원(+52.9% YoY, +30.1% QoQ), 영업이익 104억원(흑전 YoY, +910.6% QoQ)으로 추정하였다. 고마진 올리고 생산 확대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하반기에는 상업화 물량 확대로 신약 API 매출 성장 이어질 전망이고 올리고 생산 일정 고려 시 4분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예정으로 분석하였다. 제2올리고동은 4Q25부터 가동 시작해 2026년부터 매출 본격화가기대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120,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에스티팜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35.0%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내놓았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에스티팜(단위: 억원, %, 배 ) 20,153,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24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435억X7.85)÷20,153,000주=16,944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360억X7.85)÷20,153,000 주=14,023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26,425원X7.85) ÷2.50=82,974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37,980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12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37,980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1.46 -1.92 0.44
영업이익률 14.66 6.79 8.96 10.91
매출액순이익률 11.02 5.32 7.0 8.39
ROE 26.70 10.50 12.69 13.84
재무레버리지비율 135.70 123.47 138.92 133.53
부채비율 35.70 23.47 38.92 33.53
자기자본비율 73.70 81.01 71.98 74.89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자동차용반도체와방열기판사업LX세미콘

 

 

 

 

 

 

 

 

신정부가 AI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공식 지정하고 대규모 투자·세제지원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반도체주가 증시의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초거대 AI(생성형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성능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AI 반도체(팹리스·파운드리), 메모리, 소재·장비 전방위에 대한 R&D와 투자 확대, 전문 인력 양성, 국산화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이 동원되고 있다.정책 수혜 기대감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AI 반도체 대표주는 물론, DB하이텍, LX세미콘, 유진테크, 원익IPS 등 반도체 장비·소재·부품.설계 관련주까지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다.정부 정책 신호에 따라 반도체 전방산업 전반이 수혜를 받고 있다고 분석되고 AI 산업 투자 확대와 글로벌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증설로 인한 AI 반도체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당분간 관련주의 강세가이어질 전망으로 보고 있다.LX세미콘은 Display Panel 구동 핵심부품인 Driver-IC. T-Con, PMIC 제품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며 신규 성장동력으로 MCU.전력반도체.방열기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LCD에서 OLED로 전환되는 시장 트렌드에 선제적 대응하며 글로벌 Display Driver IC 시장 Top 3로 경쟁력 확보하였다.자동차용 반도체와 방열기판 사업을 신규 육성 중이며 방열기판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3%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 구동칩 DDI 외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MCU에 이어 방열기판도 초도 양산에 돌입하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는 '무선 커넥티비티(Wireless Connectivity)' 사업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에서는 DDI 사업에서도 입지를 다지려면 올해 출시 예정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아이패드에 DDI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LX세미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4762억3279만원, 영업이익 596억9055만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91%, 29.1% 증가한 규모다. 전년 동기보다 수익성이 개선된 이유는 '풀인(pull-in, 선구매)' 효과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 시행에 앞서 DDI 구매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업계에서는 LX세미콘이 올해 출시되는 OLED 아이패드에 탑재될 DDI를 납품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발매한 OLED 아이패드 프로의 11·13인치 모델을 전부 공급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에서 DDI를 납품했다. 업계에 따르면 LX세미콘은 OLED 아이패드용 DDI를 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모바일 OLED DDI에서는 노바텍과 경쟁하는 만큼 IT OLED 분야에서 우위를 점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올해 신제품에 DDI가 채택될 경우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한층 높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한편 LX세미콘은 방열기판.실리콘카바이(SiC) 전력 반도체. 마이크로컨트롤러유 MCU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그중 MCU는 LG전자 등 가전 업체에 제품을 납품하며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방열기판도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했다. LX세미콘은 지난 2022년 경기도 시흥시에 3000평 규모의 공장을 세우고 제품 양산을 위해 1000억원을 투자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생산 가능한 수량은 25만장으로, 내년 말까지 이를 50만장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방열기판은 반도체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는 데 특화된 패키지 기판이다.LX세미콘이 50만장까지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것은 고객사를 확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LX세미콘은 현대차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M'에 방열기판을 납품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eM은 전기차 승용차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으로, 2026년부터 전기차 양산 모델을 출시한다. 최근 영역을 넓혀 '무선 커넥티비티(Wireless Connectivity)'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LX세미콘은 올해 1분기 시스템반도체 벤처기업 뉴라텍의 지분을 150만주(5.90%) 사들였다. 이를 통 2대 대주주로 올라섰다.앞서 양사는 시스템반도체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무선 커넥티비티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무선 커넥티비티는 기기 간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을 뜻한다. 뉴라텍은 저전력의 장거리 사물인터넷(IoT) 시장을 겨냥한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칩을 출시한 바 있다.LX세미콘이 뉴라텍 지분을 매입한 만큼 양사는 올해부터 무선 커넥티비티 칩 양산에 협력할 것으로 보인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LX세미콘(단위: 억원, %, 배 ) 16,264,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21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2,044억X13.84)÷16,204,000주=174,580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1,572억X13.84)÷16,204,000 주=134,266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73,256원X13.84) ÷2.50=405,545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238,130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8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238,130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1.46 -1.92 0.44
영업이익률 14.66 6.79 8.96 10.91
매출액순이익률 11.02 5.32 7.0 8.39
ROE 26.70 10.50 12.69 13.84
재무레버리지비율 135.70 123.47 138.92 133.53
부채비율 35.70 23.47 38.92 33.53
자기자본비율 73.70 81.01 71.98 74.89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반도체 전공정 장비업체 유진테크

 

 

 

 

코스닥 기계.장비 업종에 속하고  반도체 전공정 박막형성 장비인 BlueJay™. Albatross™. Harrier™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반도체 소자업체와 공동개발을 통해 CVD장비 국산화 및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특수가스와 패키지 소재 개발로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BlueJay와 Albatross는 우수한 기술력으로 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의 핵심장비로 채택되어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5G.자율주행. IoT. AI 발달로 반도체 수요가 확산되고 모바일·PC 교체수요 증가로 설비투자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신정부가 AI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공식 지정하고 대규모 투자·세제지원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반도체주가 증시의 새로운 주도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초거대 AI로서 생성형 AI.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성능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AI 반도체로서 팹리스·파운드리.메모리.소재·장비 전방위에 대한 R&D와 투자 확대.전문 인력 양성.국산화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이 동원되고 있다.정책 수혜 기대감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메모리·AI 반도체 대표주는 물론 DB하이텍.LX세미콘. 유진테크.원익IPS.알파홀딩스.두산테스나 등 반도체 장비·소재·부품 관련주까지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정책 신호에 따라 반도체 전방산업 전반이 수혜를 받고 있고  AI 산업 투자 확대와 글로벌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증설.AI 반도체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당분간 관련주의 강세가이어질 전망으로 내다봤다.엔비디아의 중국 AI 반도체 H20 모델의 수출 재개 소식이 국내 시장 반도체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주요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데다 AI와 고대역폭메모리 HBM시장에서의 재도약 기대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가 HBM 차세대 제품 개발과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 투자자의 낙관론에 불을 붙였다.삼성전자 반도체 투자 재개에 따른 기대와 함께 반도체 전공정 장비업체인  유진테크도  AI 기반 생산성 향상에 대한 좋은 평가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유진테크(단위: 억원, %, 배 ) 22,916,000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2025.7.18
성장성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787억X16.99)÷22,916,000주=58,348원
수익성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690억X16.99)÷22,916,000 주=51,157원
안정성 (BPSxR0E) ÷기준금리=(18,272원X16.99) ÷2.50=124,177원  
적정목표주가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77,893원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52,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77,893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2023 2024 2025(E)
매출액성장률   -12.33 18.22 20.11
영업이익률 17.27 8.80 18.10 18.60
매출액순이익률 13.72 9.19 19.34 16.30
ROE 12.28 7.30 16.85 16.99
재무레버리지비율 125.18 118.59 128.81 119.84
부채비율 25.18 18.59 23.81 19.84
자기자본비율 79.88 84.32 80.76 83.44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
÷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반도체산업 확장기 2025년

 

 

 

 

 

 

 

 

 

 

반도체가 우리나라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2025년 상반기 반도체 수출금액은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특히 2분기 이후 매달 수출 증가세가 커지면서 반도체 호황이 지속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반도체 수출 호황은 역대로 6번째 확장기에 해당되고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관련주를 눈여겨 보아야 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2000년 이후 5번의 순환기는 대체로 3년에서 4년의 확장 밑 수축 사이클을 나타내곤 했습니다.2025년에 확장기에 나타난 큰 특징은 AI혁명이라는 산업의 불꽃이 타오르며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고 보겠습니다.AI혁명이 가져올 IT생태계의 근본적인 변화와  HBM이라는 새로운 첨단기술.주문형상품의 출현 등을 감안할 때 지속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겠습니다.특히 HBM의 출현은 기존 범용형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주문형 제품이라는 점에서 기술력이 앞선 우리 반도체기업의 경쟁력이 상당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물론 불확실성도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최근 반도체 의 수출호조가 미국이 아직까지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아 미리 사두려는 선수요를 자극한 면이 있기도 합니다.이와관련 미국은 현재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조사가 진행중이고 이르면 7월 중에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한편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기업이 빠르게 기술력을 향상시키면서 위협적요인이 되고 있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따라서 AI혁명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겠습니다.다행인 것은 기업과 정부가 이러한 인식을 같이하고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것으로 보겠습니다.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우수한 반도체 및 AI인재의 확보는 물론 인재의 유출 방지에도 노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어려운 여건속에서도 기술과 정보 및 정책이 함께 이루어 각자도생이 근본이 되버린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우리나라의 특유한 협상력과 신뢰감으로 위기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여 확실하게  도약하면서 다시한 번 대한민국이 될 것으로 보겠습니다.유망기업으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DB하이텍.하나머티리얼즈 등이 있습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투자와 건강노트
Yesterday
Today
Total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