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AI클라우드 수요 확대 성장세 LG씨엔에스
●AI클라우드 수요 확대 성장세 LG씨엔에스
LG그룹의 IT서비스 계열사로 Digital Business Service. 클라우드&AI.스마트 엔지니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금융.공공.통신 기업의 컨설팅.시스템 구축 및 통합IT 전략 수립.기간계 시스템 운영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전환과 AI 기술로 디지털 혁신 추진 중이디. 제조.물류.시티 등 스마트 엔지니어링에서 신기술 적용 및 DX 추진을 통해 생산현장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클라우드 전환 및 AI 도입 수요 증가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며 실적이 개선되었다. 생성형 AI의 진화된 형태인 Agentic AI가 주목받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선진 기술을 확보하고 AX 전문 역량을 강화하며 클라우드AI 사업 생태계 주도권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LG CNS는 2025년6월 23일 공시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와 죽전 데이터센터에 대한 코로케이션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코로케이션 서비스는 기업 고객의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임대하고 해당 장비의 운영까지 위탁 받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 장비 자체를 임대하는 방식도 포함될 수 있다.이번 계약에 따라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달부터 2033년 5월까지 약 8 년간 LG CNS의 죽전 데이터센터 내 공간을 활용해 자사 서버를 운영하게 된다. 이는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서비스 고도화와 인프라 확충을 위한 투자 차원으로 해석된다.이번 계약은 올 상반기 데이터센터 업계에서 체결된 초대형 계약 중 하나이며 데이터센터 시장 선도 사업자인 LG CNS의 기술력과 운영 역량을 입증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해왔으며 이번 계약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기술력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추후 정부의 AI 개발·운영 과제 등을 지연 없이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사업을 강화하며 금융·게임 등 분야 기업고객을 확보해왔다. 지난해 LG CNS의 클라우드·AI 사업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56%인 3조3518억원을 기록했다. LG CNS 측은 이 같은 실적 배경으로 데이터센터 DBO 사업 본격화를 꼽았다. LG CNS는 2022년 3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한 죽전 데이터센터 사업을 수주했다. 데이터센터 총 두 개 동 가운데 1개 동은 지난해 12월 준공되고 나머지 1개 동은 오는 9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전체 연면적은 99,070㎡이며, 수전용량은 100메가와트(MW)에 달한다.네이버클라우드는 LG CNS 죽전 데이터센터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 가산 데이터센터 내 상면을 확보했고 세 번째 임차 사업도 발주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최근 공모 마감한 정부의 연내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확보 사업에 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1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확보한 정부 예산 1조4590억원으로 최신GPU 1만 장을 구매하고 이를 5년간 위탁 운용할 클라우드서비스제공업체(CSP)를 선정할 계획이다.
1. 밸류서치분석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LG씨엔에스실적표(단위: 억원, %, 배 ) 87,197,000 주
1).성장성,수익성, 안정성 분석으로 적정목표주가 산출하여 보았다.
분석일자 | 2025.7.1 |
성장성 | (영업이익XROE)÷발행총주식수=(5,678억X17.47)÷87,197,000주=113,759원 |
수익성 | (당기순이익XROE) ÷발행총주식수=(4,137억X17.47)÷87,197,000 주=82,885원 |
안정성 | (BPSxR0E) ÷기준금리=(26,591원X17.47) ÷2.50=185,818원 |
적정목표주가 | (성장성+수익성+안정성)÷3 =127,487원 |
▶시장에서는 추정목표가를 80,000원 까지 분석하였다
▶밸류서치분석은 추정목표가를 127,487 원으로 분석하였다.
2). 위에서 산출한 추정목표주가가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종합적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타당성이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실적성장성으로 평가하는 펀드멘털(기본적인 가치)
▶ ROE는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X100(%)으로 산출한다.기업은 자본+부채로 구성된 총자산을 통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가치로 평가하는 척도로 삼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주주지분의 가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에 ROE를 더 중시해야 투자의 성과를 높힐 수 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 즉, 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30%이면 10억원의 자기자본을 투자했을 때 3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일단은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많기 때문에 ROE를 투자의 제일 척도로 삼고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은 단연코 필요하다고 보겠다.그러나 ROE는 본질적으로 수익성 지표일 뿐 성장성을 보장하는 지표가 아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수익성지표인 ROE만 보고 투자하는 것 보다는 장기적 성장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외형 확대를 같이 보아야하고 안정적지표인 부채비율.레버리지비율 및 지기자본비율과 BPS 등을 함께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기업의 수익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ROE 즉.자기 자본수익률을 보아야 한다. 그러나 ROE와 함께 살펴볼 것은 매출액순이익률을 함께 고려하여 수익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진정한 수익성 여부를 알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수익성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서는 매출액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 매출액순이익률이 증가할수록 수익성이나 높아지는 것이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아질수록 성장성은 높아지는 것이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산출한 ROE가 높게 나오더라도 자기 자본은 낮고 부채가 커진다면 추정목표주가는 할인되어야 할 것이다.매출액순이익률이란 총매출액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커지게 되어 ROE수치는 높아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ROE가 너무 높게 나올 경우에는 재무레버리지가 높기 때문에 ROE가 높게 나온 것은 아닌지 반드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아서 ROE가 높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조달받은 자금을 통해 경영활동을 하여 수익을 극대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잘 못 쓰면 독이 될 수 있다. 재무 레버리지는 호경기 때에는 부채를 투입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불경기 때에는 레버리지가 큰 기업의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 매출액 순이익률이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하락하는 것을 단지 재무 레버리지를 높여 방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분석해 내야 하고 이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바율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목표주가를 할인하여 산출하여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 이하( 2.5배)이어야 하고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자기 자본비율이 높아져 기업안정성은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적당히 부채를 끌어와서 그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매출액을 확대하는 과감한 성장정책이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영방법은 반드시 위험하다고만은 할 수 없다.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그러나 BPS가 단지 현재 자산의 청산가치일 뿐 현재의 현금흐름이나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예를 들어 BPS가 높은 즉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면 주가는 낮을 것이고, BPS가 낮은 즉 자산이 적은 기업도 순이익이 크다면 주가는 높게 책정될 것이다따라서 BPS의 적정성도 ROE와 비교하여 분석하면 적정주가의 정도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겠다.
①. [(당해년도 매출액-전년도매출액) X100]÷당해년도매출액=매출액성장률
②.(당기순이익 X100)÷매출액=매출액순이익률
③.(자산총계÷자본총계)X100(%)=재무레버리지비율
2022 | 2023 | 2024 | 2025(E) | |
매출액성장률 | 11.34 | 6.31 | 7.84 | |
영업이익률 | 7.75 | 8.28 | 8.57 | 8.75 |
매출액순이익률 | 5.33 | 5.93 | 6.10 | 6.37 |
ROE | 17.21 | 19.05 | 18.32 | 17.47 |
재무레버리지비율 | 237.01 | 216.28 | 212.20 | 194.60 |
부채비율 | 137.01 | 116.28 | 112.20 | 94.60 |
자기자본비율 | 42.19 | 46.24 | 47.13 | 51.39 |
재무레버리지비율은 250%(2.5배)이하이면 양호하게본다.레바리지비율이 250%이상에서 300%까지추정목표가 15%할인하고 300% 이상에서400%까지는추정목표가의 25%를 할인하고 400%이상은 35%를 할인한다. |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50%이하는 안정적으로 본다. 자기자본비율은 60%이상은 매우 안정적으로 본다. 부채비율=(부채총계÷자기자본)x100 자기자본비율=(자본총계x100)÷자산총계 |
◈추천종목이 아닙니다. 반드시 종목 선정은 투자자가 재무제표. 실적.수급동향 및 공매도잔고현황. 본인의 자금성향등을 고려하여 시장분석을 통하여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JH안소니TV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jhstock21
JH안소니TV 주식투자여행
JH안소니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br0NeSTSwixTn-eDnzOlTw
◇유익한영상이 많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한 번 방문해주십시요!감사합니다.